본문내용
이 콘돔이나 기타 피임기구를 원한다면 이를 지급해야 한다고 생각하는가?
오늘날 우리 사회의 성문화는 조선 시대에 확립된 가부장적 성문화와 성의 개방과 자유화라는 서구의 성문화, 이 두개의 큰 성격이 부딪힘으로써 큰 혼란을 가져오고 있다. 이러한 혼란의 중심에 서 있는 중, 고등학생들에게 행하는 성교육은 그 무엇보다도 중요하다고 할 수 있으며, 그 내용도 좀 더 진보된 성격을 지니고 있어야 할 것이라는 점은 셋 모두의 공통된 생각이었으나, 이런 성교육시간에 학생들에게 피임기구를 지급하느냐 하는 점에선 반대와 찬성 두 가지 의견으로 나뉘어졌다.
성교육이 특히 피임에 대한 교육이 필요하지 않다는 것은 아니다. 요즘 학교에서 성교육이 의무적으로 실시되고 그 교육과정에서도 피임교육이 강화되고 피임도구까지도 간략히 가르치는 건 사실이고 필요하다고 본다.
하지만 학교에서 피임기구를 지급한다면 신성한 학교에서 학생들에게 무절제한 성행위를 정당화시키고 성에 대한 지나친 개방은 도리어 학생들을 방종하게 만들게 된다.
학생은 말 그대로 배우는 사람이다. 아직 성에 대한 정체감도 제대로 세워져 있지 않고 모든 것을 배우는 단계인 것이다. 성교육 시간에 피임도구를 지급한다면 숭고한 성에 대해 쉽게 생각하게 되고 심하면 몇몇 학생의 무분별한 성행위를 학교에서 공식적으로 인정하는 셈이 되는 것이다.
이런 여러 가지 이유에서 반대하는 것이며, 찬성의 이유는 아래와 같다.
위의 반대 입장은 현실적인 문제에서 큰 도움을 주지 못한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피임기구를 줄 수도 있다고 생각한다. 내가 고등학교를 다닐 때 옆의 학교에서 교내에 재떨이 설치 문제에 대해 왈가왈부 하다가 재떨이가 설치된 적이 있었는데 이것과 같은 문제일 수는 없지만 이것은 현 중, 고등학교가 그저 이상적인 생각만을 가지고서 교육할 수는 없다는 문제를 여실히 보여주는 단편이라고 생각한다. 단지 학교의 명예와 도덕적 관념으로 교육하기엔 이미 너무나 많은 문제를 안고 있다. 따라서 올바른 성교육이 널리 퍼지고 또 그 교육의 성과가 나타나 교육의 효과가 보여 질 때까지는 사생아와 미혼모의 문제 등 직면한 현실에 대처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한 방법이라 보여진다. 다시 말해 점차적이고 끊임없는 교육으로 바로 코앞의 결과보단 미래를 위한 대계가 필요할 것이라 생각하므로 피임기구를 꼭 나눠준다는 방법을 원하는 것이 아니라 더욱 현실적인 문제 해결책이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것이다.
오늘날 우리 사회의 성문화는 조선 시대에 확립된 가부장적 성문화와 성의 개방과 자유화라는 서구의 성문화, 이 두개의 큰 성격이 부딪힘으로써 큰 혼란을 가져오고 있다. 이러한 혼란의 중심에 서 있는 중, 고등학생들에게 행하는 성교육은 그 무엇보다도 중요하다고 할 수 있으며, 그 내용도 좀 더 진보된 성격을 지니고 있어야 할 것이라는 점은 셋 모두의 공통된 생각이었으나, 이런 성교육시간에 학생들에게 피임기구를 지급하느냐 하는 점에선 반대와 찬성 두 가지 의견으로 나뉘어졌다.
성교육이 특히 피임에 대한 교육이 필요하지 않다는 것은 아니다. 요즘 학교에서 성교육이 의무적으로 실시되고 그 교육과정에서도 피임교육이 강화되고 피임도구까지도 간략히 가르치는 건 사실이고 필요하다고 본다.
하지만 학교에서 피임기구를 지급한다면 신성한 학교에서 학생들에게 무절제한 성행위를 정당화시키고 성에 대한 지나친 개방은 도리어 학생들을 방종하게 만들게 된다.
학생은 말 그대로 배우는 사람이다. 아직 성에 대한 정체감도 제대로 세워져 있지 않고 모든 것을 배우는 단계인 것이다. 성교육 시간에 피임도구를 지급한다면 숭고한 성에 대해 쉽게 생각하게 되고 심하면 몇몇 학생의 무분별한 성행위를 학교에서 공식적으로 인정하는 셈이 되는 것이다.
이런 여러 가지 이유에서 반대하는 것이며, 찬성의 이유는 아래와 같다.
위의 반대 입장은 현실적인 문제에서 큰 도움을 주지 못한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피임기구를 줄 수도 있다고 생각한다. 내가 고등학교를 다닐 때 옆의 학교에서 교내에 재떨이 설치 문제에 대해 왈가왈부 하다가 재떨이가 설치된 적이 있었는데 이것과 같은 문제일 수는 없지만 이것은 현 중, 고등학교가 그저 이상적인 생각만을 가지고서 교육할 수는 없다는 문제를 여실히 보여주는 단편이라고 생각한다. 단지 학교의 명예와 도덕적 관념으로 교육하기엔 이미 너무나 많은 문제를 안고 있다. 따라서 올바른 성교육이 널리 퍼지고 또 그 교육의 성과가 나타나 교육의 효과가 보여 질 때까지는 사생아와 미혼모의 문제 등 직면한 현실에 대처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한 방법이라 보여진다. 다시 말해 점차적이고 끊임없는 교육으로 바로 코앞의 결과보단 미래를 위한 대계가 필요할 것이라 생각하므로 피임기구를 꼭 나눠준다는 방법을 원하는 것이 아니라 더욱 현실적인 문제 해결책이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것이다.
키워드
추천자료
[사회복지론]지역사회복지 욕구조사의 필요성 및 자원개발 방안
[사회복지실천기술론]사회복지 상담심리학
[지역사회복지론] 그리스도의 영성과 지역사회복지
[사회복지실천기술론] 사회복지실천기술에서 면접의 기초기술에 대하여 설명 (면접기술)
최근 사회복지행정은 어떻게 변화하고 있으며, 어떻게 사회복지행정이 변화되어야 하는지 본...
[지역사회복지론] 지역사회복지실천 모델인 로스만의 모델, 웨일과 갬블의 모델, 테일러와 로...
[사회복지실천기술론] 가치와 윤리에 관하여 설명하고 사회복지실천 현장에서 일어날 수 있는...
[학교사회복지론] 청소년 미혼모 혜원이에 대한 학교사회복지 실천과정에 따른 개입
[사회복지실천기술론] 사회복지사의 윤리적갈등이 발생 할 수 있는 구체적인 상황의 사례나 ...
우리나라의 전통사회복지역사에서 계승해야 할 점이 무엇인지 제시 (전통사회복지)
[학교사회복지] 현재 아동 및 청소년관련 문제를 제시하고 그에 따른 서비스, 학교사회복지...
[사회복지실천론] 사회복지실천현장에서 클라이언트의 문제를 확인하고 개입하여 원조를 제공...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