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윤리적 상대주의와 문화적 상대주의
2) 개인윤리와 사회윤리
3) 목적론(teleology)적 자연관, 섭리의 자연관, 기계론적 자연관
4) 법칙론과 목적론
5) 성악설과 성선설
6) 동기론(motivism)과 결과론(consequentialism) : 행위에 대한 선악판단 의 기준을 어디에 두는가?
7) 자연주의(naturalism)와 직관주의(intuitionism)
2) 개인윤리와 사회윤리
3) 목적론(teleology)적 자연관, 섭리의 자연관, 기계론적 자연관
4) 법칙론과 목적론
5) 성악설과 성선설
6) 동기론(motivism)과 결과론(consequentialism) : 행위에 대한 선악판단 의 기준을 어디에 두는가?
7) 자연주의(naturalism)와 직관주의(intuitionism)
본문내용
영미철학의 전통에서 많이 나타난다대표적 학자 : 벤담과 밀). 단점: 의인이나 윤리적 행위가 경시되거나 약화되어 인간성이 소외 듀이 : 동기와 결과를 분리하지 않고 서로가 연결된 하나의 의지활동이라고 보았다.
7) 자연주의(naturalism)와 직관주의(intuitionism)
(1) 자연주의(귀납법에 의거한 경험론을 윤리학으로 접목)
17세기 이후 기계론적 자연관이 지배적이었고, 자연과학적 방법이 윤리학에 도 영향을 주었다 기계론적 자연관이 윤리학에 적용된 것이 자연주의 윤리학, 윤리적 자연주의이며, 도덕적 관념이 자연적 원천에서 도출된다고 봐, 그 원 천을 찾아내려고 노력하였다. 따라서 도덕적 관념의 원천에 대해 찾고자 하였다. 스피노자나 홉스, 흄, 스펜서 등이 대표적 학자이다.
(2) 직관주의(연역법에 의거한 합리론을 윤리학으로 접목)
도덕적 관념이나 의무는 어떤 것에서 도출되는 것이 아니라 주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어떤 행동을 보았을 때 그 자체로서 직관되는 것이며, 인간은 선과 악을 선험적으로 인식할 수 있는 능력을 소지하고 있다고 본다 그러나 무엇이 직관의 인식기능을 하는가에 관해서는 직관주의자들 사이에 다양한 견해가 존재한다.
7) 자연주의(naturalism)와 직관주의(intuitionism)
(1) 자연주의(귀납법에 의거한 경험론을 윤리학으로 접목)
17세기 이후 기계론적 자연관이 지배적이었고, 자연과학적 방법이 윤리학에 도 영향을 주었다 기계론적 자연관이 윤리학에 적용된 것이 자연주의 윤리학, 윤리적 자연주의이며, 도덕적 관념이 자연적 원천에서 도출된다고 봐, 그 원 천을 찾아내려고 노력하였다. 따라서 도덕적 관념의 원천에 대해 찾고자 하였다. 스피노자나 홉스, 흄, 스펜서 등이 대표적 학자이다.
(2) 직관주의(연역법에 의거한 합리론을 윤리학으로 접목)
도덕적 관념이나 의무는 어떤 것에서 도출되는 것이 아니라 주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어떤 행동을 보았을 때 그 자체로서 직관되는 것이며, 인간은 선과 악을 선험적으로 인식할 수 있는 능력을 소지하고 있다고 본다 그러나 무엇이 직관의 인식기능을 하는가에 관해서는 직관주의자들 사이에 다양한 견해가 존재한다.
추천자료
학업계획서(사회복지학과)
[사회복지학]사회보장정책의 역사
[사회복지학]자원봉사활동의 의의와 필요성 (A+리포트)
[사회복지학과]가족복지
독후감-사회복지학 전공'당신들의 대한민국'
디지털서울문화예술대학교)사회복지학과 자원봉사론-중간고사대체리포트
사회복지학과 - 사회복지 프로포절 : 맞벌이 가족 프로그램 프로포절
[사회복지학과] 사회복지실천기술론 - Erikson의 심리사회이론
[사회복지학과] 의학일반 - 건강불평등 사회
사회복지학과 자기소개서
[사회복지학개론] <아동 복지> 아동복지의 이해, 아동복지의 변천과정, 아동복지의 원칙, 아...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 요약, 문제점, 개선안을 사회복지학 관점에서 논하시오.
[사회복지학] <국민기초생활보장법>에 의거한 국민기초생활제도의 근본 문제점과 개선방안 (...
[사회복지학과] 지역사회복지 기말고사 예상문제 50문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