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줄거리 및 소설과 영화의 차이점
Ⅲ. 비평 유형 소개 및 분석
Ⅳ. 느낀 점
Ⅴ. 참고문헌
Ⅱ. 줄거리 및 소설과 영화의 차이점
Ⅲ. 비평 유형 소개 및 분석
Ⅳ. 느낀 점
Ⅴ. 참고문헌
본문내용
른 사람을 만나면서 겪는 갈등 또한 보여주고 있다. 졸업 후, 예술가로서 진로를 정한 엠마와 유치원 선생님인 아델은 그 직업적 차이, 즉 사회경제적 지위의 차이로 인해 갈등을 겪는 모습을 보여주기도 한다.
비록 아델 스스로 겪는 고뇌이고 고민이지만 그저 \'유치원 선생\'에 불과한 아델과 예술가로서 한 걸음 내딛는 \'엠마\' 사이의 거리감은 인간을 상품으로 보고 그 경제적 가치에 따라 사회경제적 지위를 나누고자 하는 자본주의 지배이데올로기와 그 체화된 형태의 고민에 지나지 않는 것으로 생각된다.
Ⅳ. 느낀 점
문학을 포함한 모든 작품들은 살아있는 예술이라는 이야기가 있다. 또한 단순히 작가의 생각을 투사하기 보다는 독자, 혹은 관객과 소통하며 그 의미를 만들어나간다는 점에서 비평이론은 새로운 시각을 전해주기 때문에 매우 유용하고 재미있는 틀이라고 할 수 있다. 하지만 비평이론의 환원주의적 성격은 오히려 작품을 편협적으로 이해하게 하는 도구가 될 수 있다는 점에서 주의가 필요할 것이다. 예컨대 정신분석학 비평이론은 모든 것을 작중 인물의 드러나지 않은 \'과거의 상처\'와 그 작용으로 환원시키는 환원주의적 성격과 결과주의적 성격을 동시에 내포하고 있으며 이는 마르크스주의 비평, 퀴어 비평 모두 다르지 않다.
비평이론이 갖는 특유의 목표는 해당 작품의 내용을 해체하여 그 목표에 맞는 형식으로 재배열함으로써 기존 문학의 의미를 퇴색시키거나 \'비평을 위한 비평\' , \'이론을 위한 이론\'에 그치게 될 수 있는 것이다. 현실에서 구성되는 섹슈얼리티에 대한 담론과 그 해체를 위한 퀴어 비평은 오히려 현실 성소수자와 동성애자의 현실을 무시한 체, 바람직한 \'퀴어\' 상이라는 유토피아적 환상을 가지고 작품을 해석함으로써 동성애자가 처한 사실과 그 사랑 이야기라는 주된 흐름에서 벗어나 다른 차원의 비평을 함으로써 작품의 의미를 저해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한 작품을 해석함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것은 작품의 본래 의미를 살피는 것이며 비평이론의 적용을 통한 비평 작업에 있어서도 하나의 비평 이론을 활용하기 보다는 다양한 비평이론을 이용한 비평을 같이 하여 그 총체적인 의미와 함께 작품을 \'규정짓는\' 작업은 지양함이 옳을 것이다. 비평이론은 단지 작품의 이해를 돕는 보조의 역할을 할 뿐이지 그 작품의 본질을 결정짓고 규정짓는 전가의 보도가 아니기 때문이다.
Ⅴ. 참고문헌
Rois Tyson, 역:윤동구, 『비평이론의 모든 것』
비록 아델 스스로 겪는 고뇌이고 고민이지만 그저 \'유치원 선생\'에 불과한 아델과 예술가로서 한 걸음 내딛는 \'엠마\' 사이의 거리감은 인간을 상품으로 보고 그 경제적 가치에 따라 사회경제적 지위를 나누고자 하는 자본주의 지배이데올로기와 그 체화된 형태의 고민에 지나지 않는 것으로 생각된다.
Ⅳ. 느낀 점
문학을 포함한 모든 작품들은 살아있는 예술이라는 이야기가 있다. 또한 단순히 작가의 생각을 투사하기 보다는 독자, 혹은 관객과 소통하며 그 의미를 만들어나간다는 점에서 비평이론은 새로운 시각을 전해주기 때문에 매우 유용하고 재미있는 틀이라고 할 수 있다. 하지만 비평이론의 환원주의적 성격은 오히려 작품을 편협적으로 이해하게 하는 도구가 될 수 있다는 점에서 주의가 필요할 것이다. 예컨대 정신분석학 비평이론은 모든 것을 작중 인물의 드러나지 않은 \'과거의 상처\'와 그 작용으로 환원시키는 환원주의적 성격과 결과주의적 성격을 동시에 내포하고 있으며 이는 마르크스주의 비평, 퀴어 비평 모두 다르지 않다.
비평이론이 갖는 특유의 목표는 해당 작품의 내용을 해체하여 그 목표에 맞는 형식으로 재배열함으로써 기존 문학의 의미를 퇴색시키거나 \'비평을 위한 비평\' , \'이론을 위한 이론\'에 그치게 될 수 있는 것이다. 현실에서 구성되는 섹슈얼리티에 대한 담론과 그 해체를 위한 퀴어 비평은 오히려 현실 성소수자와 동성애자의 현실을 무시한 체, 바람직한 \'퀴어\' 상이라는 유토피아적 환상을 가지고 작품을 해석함으로써 동성애자가 처한 사실과 그 사랑 이야기라는 주된 흐름에서 벗어나 다른 차원의 비평을 함으로써 작품의 의미를 저해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한 작품을 해석함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것은 작품의 본래 의미를 살피는 것이며 비평이론의 적용을 통한 비평 작업에 있어서도 하나의 비평 이론을 활용하기 보다는 다양한 비평이론을 이용한 비평을 같이 하여 그 총체적인 의미와 함께 작품을 \'규정짓는\' 작업은 지양함이 옳을 것이다. 비평이론은 단지 작품의 이해를 돕는 보조의 역할을 할 뿐이지 그 작품의 본질을 결정짓고 규정짓는 전가의 보도가 아니기 때문이다.
Ⅴ. 참고문헌
Rois Tyson, 역:윤동구, 『비평이론의 모든 것』
추천자료
독서 토론과 토론 수업 모형
인생수업
내러티브를 활용한 역사수업
[인지갈등학습]인지갈등학습모형(인지갈등수업)의 개념과 유형, 인지갈등학습모형(인지갈등수...
독서토론학습(독서토론수업)의 의의, 독서토론학습(독서토론수업)의 준비와 진행, 독서토론학...
체육과 탐구중심학습(탐구중심수업)의 의의, 체육과 탐구중심학습(탐구중심수업)의 단계, 체...
반응중심학습(반응중심수업, 반응중심문학교육) 정의, 반응중심학습(반응중심수업, 반응중심...
[초등영어] 초등영어 학습을 위한 스토리텔링의 수업 지도기법
과학과(교육,수업) 순환학습, 과학과(교육,수업) 측정학습, 과학과(교육,수업) 발견학습, 과...
음악감상교육지도(수업, 학습), 역할놀이교육지도(수업, 학습), 영어일기쓰기교육지도(수업, ...
초등국어 수업지도안- 역할극을 중심으로
체육수업에서비수업활동이차지하는부분연구
[괴테 빌헬름 마이스터]괴테 빌헬름 마이스터의 특성, 괴테 빌헬름 마이스터의 수업시대, 괴...
바람직한 체육 교사상에 관하여 (좋은 체육 수업과 좋은 체육 교사, 바람직한 교사상)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