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머리말
Ⅱ. 들어가서
1. 기독교의 유입과 조선인의 입교
2. 기독교의 전개과정
Ⅲ. 맺음말
Ⅱ. 들어가서
1. 기독교의 유입과 조선인의 입교
2. 기독교의 전개과정
Ⅲ. 맺음말
본문내용
0여 교회가 강제로 폐쇄되었다. 1943년에 이르러 일제의 강압으로 일본 기독교 조선장로교단으로 개편되었다. 1945년 7월에는 장로교, 감리교, 구세군 등의 모든 교파가 해산되고, 일본 기독교 조선교단으로 통합되었다. 이때는 이미 70만을 헤아리던 개신교인의 숫자가 그 절반으로 줄어들었다. 한국교회는 가장 어려운 수난의 시기를 맞이해서 크게 위축되었다.
1945년 일본이 2차 세계대전에서 패전하고 우리는 독립을 회복했으나 한반도는 남북으로 분단되었다. 북한에는 소련군이 진주하여 그 위세를 업고 김일성에 의해 공산당이 조직되었으며 교회를 탄압했다. 많은 교인들이 살길을 찾아서 월남하기 시작했다. 1947년 4월에 조선예수교장로회총회가 재건되었다. 1949년 제35회 총회는 그 명칭을 대한예수교장로회로 개칭하였다. 그 해에 장로회신학교도 복구되었다. 북한에는 조선기독교도연맹이라는 친 공산당 조직의 기독교 단체가 만들어졌다.
남한에는 교회가 재건되고 부흥하였으나 교회는 분열되었다. 특히 장로교의 분열이 극심하였다. 신사참배 처리 문제로 고신파 교회가 1952년에 갈라졌고, 신학노선 문제로 기장이 1953년에 이탈해갔다. 1959년에는 신학교 문제와 에큐메니칼 운동 참여 문제로 합동측 교회가 분립하였다. 남한에 세워진 민주정부에 기독교인들도 참여했으나 민주주의를 실현하는데 성공하지 못했다.
『한국의 기독교』, 기독교역사문화연구소, 겹보기, 2001. 참고
『韓國 近代宗敎와 民族主義』, 姜敦求 ,集文堂, 1992. 참고
Ⅲ. 맺음말
지금까지 개항 이후 유입된 서구 사상 중 대표적인 사상인 기독교사상에 대해 조사하고 정리해 보는 시간을 가졌다. 개항 이후 본격적으로 조선에 힘을 뻗치는 외세, 그리고 일제 통치 하에서 고난을 겪어온 우리 민족은 유입된 서구의 사상을 민족운동을 벌이는데 이용하려 했다는 점을 찾을 수 있었다. 이번 조사를 통해, 잠시 잊고 있었던 일제 하에서의 우리민족의 고통, 그리고 그 시련을 이겨내려는 강인한 민족운동의 정신을 다시 되새겨 볼 수 있었다.
<참고문헌>
『고등학교 국사(하)』, 국사편찬위원회, 교육부, 2001.
『바로 보는 한국 근현대 100년사』, 김송달, 거름, 1998.
『한국의 기독교』, 기독교역사문화연구소, 겹보기, 2001.
『韓國 近代宗敎와 民族主義』, 姜敦求 ,集文堂, 1992.
『한국사상사의 과학적 이해를 위하여』, 한국역사연구회, 청년사, 2003.
1945년 일본이 2차 세계대전에서 패전하고 우리는 독립을 회복했으나 한반도는 남북으로 분단되었다. 북한에는 소련군이 진주하여 그 위세를 업고 김일성에 의해 공산당이 조직되었으며 교회를 탄압했다. 많은 교인들이 살길을 찾아서 월남하기 시작했다. 1947년 4월에 조선예수교장로회총회가 재건되었다. 1949년 제35회 총회는 그 명칭을 대한예수교장로회로 개칭하였다. 그 해에 장로회신학교도 복구되었다. 북한에는 조선기독교도연맹이라는 친 공산당 조직의 기독교 단체가 만들어졌다.
남한에는 교회가 재건되고 부흥하였으나 교회는 분열되었다. 특히 장로교의 분열이 극심하였다. 신사참배 처리 문제로 고신파 교회가 1952년에 갈라졌고, 신학노선 문제로 기장이 1953년에 이탈해갔다. 1959년에는 신학교 문제와 에큐메니칼 운동 참여 문제로 합동측 교회가 분립하였다. 남한에 세워진 민주정부에 기독교인들도 참여했으나 민주주의를 실현하는데 성공하지 못했다.
『한국의 기독교』, 기독교역사문화연구소, 겹보기, 2001. 참고
『韓國 近代宗敎와 民族主義』, 姜敦求 ,集文堂, 1992. 참고
Ⅲ. 맺음말
지금까지 개항 이후 유입된 서구 사상 중 대표적인 사상인 기독교사상에 대해 조사하고 정리해 보는 시간을 가졌다. 개항 이후 본격적으로 조선에 힘을 뻗치는 외세, 그리고 일제 통치 하에서 고난을 겪어온 우리 민족은 유입된 서구의 사상을 민족운동을 벌이는데 이용하려 했다는 점을 찾을 수 있었다. 이번 조사를 통해, 잠시 잊고 있었던 일제 하에서의 우리민족의 고통, 그리고 그 시련을 이겨내려는 강인한 민족운동의 정신을 다시 되새겨 볼 수 있었다.
<참고문헌>
『고등학교 국사(하)』, 국사편찬위원회, 교육부, 2001.
『바로 보는 한국 근현대 100년사』, 김송달, 거름, 1998.
『한국의 기독교』, 기독교역사문화연구소, 겹보기, 2001.
『韓國 近代宗敎와 民族主義』, 姜敦求 ,集文堂, 1992.
『한국사상사의 과학적 이해를 위하여』, 한국역사연구회, 청년사, 2003.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