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시조이론 총정리 (사설시조의 개념과 발생, 담당층, 특징 등)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사설시조이론 총정리 (사설시조의 개념과 발생, 담당층, 특징 등)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사설시조의 개념과 발생
2. 사설시조의 담당층
3. 사설시조의 감상과 특징

Ⅲ.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힝다'라는 동사가 네 군데에서 각기 다르게 활용되고 있는데, 직접 드러내기 어려운 동사를 대신하여 누구나 쉽게 추리해 낼 수 있는 대동사를 구사한 것이다.
) 여기에서 '힝다'라는 동사는 율독의 맛을 증폭시켜 해학성을 고조하는 데 기여하기도 한다.
뿐만 아니라, 직설적으로 묘사하기 어려운 세부적인 장면을 '이리져리'라는 말 한마디로 나타냄으로써 해학성은 더욱 증폭된다. 이러한 어휘의 구사는 마흔에 이르러서야 성에 눈뜬 늙은 도령의 성행위라는 진솔한 정서를 드러내는 데 효과적으로 기능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특히 이러한 어휘는 구체적인 장면을 환기하는 대신 오히려 은폐함으로써 장면에의 몰입을 촉구하는 효과를 얻고 있다는 점에서 은유가 발휘하는 효과와 유사하다 하겠다.
③ 언어유희
유희성이나 해학성은 언어유희(pun)를 통해 가장 잘 표현되는 것으로 보인다. 언어유희는 소리는 같거나 유사하지만, 뜻이 전혀 다른 말이나 단어 표기만 다를 뿐 발음과 뜻이 유사한 단어를 사용하는 놀이이다. <閣氏다 되오려 논이∼>에서 '鍊匠'으로 표기해야 할 것을 '燃匠'으로 표기하여 성애의 격렬성을 강조한 것이나, '까링'를 '가랭이'와 음이 유사한 점을 이용한 것은 대표적인 경우이다. 아래 작품에서 '삿 다혀'가 '사 때어'와 '샅 대어'의 중의성을 띠게 되는 것
) 김흥규(1993), 욕망과 형식의 詩學 , 태학사.
도 같은 맥락에서 이해할 수 있다. 뒤의 작품은 한자어를 반복적으로 배열함으로써 언어유희의 효과를 얻고 있는 경우이다. '進進코 又退退'의 반복성을 최대한 살려 율독의 효과를 얻음과 동시에 언어유희에서 나오는 해학성을 높이고 있는 것이다.
딪들에 나모들 사오 져 쟝스야 네 나모 갑시 언매 웨다다 사쟈
힝리 남게다 한말치고 검부남게다 닷되를 쳐셔 合힝야 헤면 마닷되 밧습다 삿 대혀 보으소 잘 붓슴다니
한적곳 사 힝혀 보며다 밑양 사 힝히쟈 힝리라.
드립더 빛득 안으니 셰 허리지 짜늑짜늑
紅裳을 거두치니 雪膚之豊肥힝고 擧脚 坐힝니 半開한 紅牧丹이 發郁於春風이로다
進進코 又退退힝니 茂林 山中에 水 聲인가 힝노라.
이를 통해 사설시조의 에로티시즘은 성행위를 명시적이고 직접적으로 제시하기보다는 암시적이고 우회적으로 표현하는 경향이 강함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어조와 관련된 태도는 매우 해학적이고 희극적인 경향에 기울어져 있음도 드러났다. 물론 이러한 태도는 사실 사설시조의 전반적인 경향으로, 정감의 자유로운 발산이라는 질적 경향성과 매우 잘 부합하는 것으로 보인다.
일탈이란 상대적인 것이다. 에로티시즘적인 사설시조에서 성을 제재로 삼는다든지, 또 그것을 희화화시킨다든지 하는 것은 사설시조라는 장르의 향유 조건과 일치하는 현상이다. 사설시조가 대체로 연회의 현장에서 흥을 돋우는 노래로 불리어졌다는 점을 감안하면 그 장난스러움의 시선은 노래의 기능을 매우 효과적으로 만드는 구실을 했을 것으로 짐작되는 것이다. 문학에서 '성'은 문학이라는 가상 또는 허구의 질서를 전제로 소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동일한 상황에 대한 표현이라 하더라도, 가능하면 객관적으로 드러내려고 하는 비문학 장르에서의 독자의 반응은 달라질 수밖에 없다.
물론 에로티시즘의 희극적 태도의 극단에는 문학이 적극적으로 경계해야 할 요소가 도사리고 있음도 기억해야 한다. 유희적 태도가 극단화되고 활성화될 경우, 그것은 기괴성을 낳게 되거나 퇴폐의 늪에 빠지게 될 것임을 문학사는 말해 주고 있다. <변강쇠가>가 창을 잃어버린 이유가 다름 아닌 기괴미의 추구에 있었고, 사설시조가 역사의 뒤편으로 사라진 이유가 취락과 유흥에의 과도한 탐닉에 있었다는 점은 문학사의 교훈으로 읽어도 좋을 듯하다.
Ⅲ. 결론
위에서 보았듯이 아직 사설시조의 발생부터 담당층 그리고 감상까지 명확하게 규정된 것은 없다. 우리는 발생과 담당층의 문제를 중인계급으로 규정하고 이번 발표를 준비했다. 사설시조의 발생은 평시조의 파격 또는 변용으로 사설시조의 형성되었다고 본다. 그리고 그러한 사설시조의 담담층은 3가지로 구분되지만 우리는 중인계층론에 초점을 맞추어 발표를 준비하였다. 그리고 그 초점에서 보았을 때 나타나는 특징들에 대해 이야기하였다. 물론 아직 많은 논의가 되고 있고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한 부분이라서 섣불리 결론을 내릴 수 없지만 사설시조가 기존의 평시조들과는 뚜렷이 다른 특징을 가지고 있다는 것은 명확한 사실이다.
참고문헌
-발생 관련
조동일, 『한국문학통사』3, 지식산업사, 1994.
김학성, 『국문학의 연구』,성균관대학교 출판부, 1987.
정병욱, 「시조의 역사적 형태고」, 현대문학 46호, 1958.
김대행, 『시조 유형론』,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1986, pp.112~113.
조동일,『한국민요의 전통과 시가 율격』지식산업사, 1996.
고장옥, 『국어국문학요강』, 대학출판부, 1949, p.395.
이능우, 『고시가논고』, 선명문화사, 1966.
이태극, 『고전문학연구논고』,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1973, pp.100~107.
김제현, 『사설시조 문학론』, 새문사, 1997
-담당층 관련
고미숙,「사설시조의 역사적 성격과 그 계급적 기반 분석」語文論集 30집, 고려대 국어국문학과, 1991.
김학성,「사설시조의 담당층」,『한국 고시가의 거시적 탐구』, 집문당, 1997
김학성, 「사설시조의 장르형성 재론」, 대동문화연구 20집, 성균관대 대동문화연구소, 1986
성환호,「사설시조에 나타난 '그리움과 시름'의 공간 연구」, 위덕대 교육대학원, 2003
정병욱,『한국고전시가론』, 신구문화사, 1977
정창옥,「사설시조에 역사적 성격과 담당층 연구」, 성심여자대학 대학원, 1992
조해숙,「사설시조의 담당층과 문학적 성격」, 국문학회 국문학연구, 2003
사설시조에 나타난 현실 비판 의식」연세대 고전문학 연구부, 1999
-감상과 특징 관련
고정희, 「사설시조에 나타난 여성의 수사적 상황」
「사설시조의 희극적 특징 고찰」
「사설시조에 나타난 우화적 내면표현」
류수열, 「놀이로 본 사설시조의 에로티시즘」, 선청어문 28집, 2000
박애경, 「사설시조의 여성화자와 여성 섹슈얼리티」, 여성문학연구 3집, 한국여성문학회, 2001

키워드

사설시조,   시조,   담당층,   개념,   발생,   특징
  • 가격1,5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17.12.07
  • 저작시기2017.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4022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