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질문지와 답변
2. HTP그림 검사한 사진
3. 해석 및 평가
Ⅳ. 참고자료
Ⅱ. 본론
1. 질문지와 답변
2. HTP그림 검사한 사진
3. 해석 및 평가
Ⅳ. 참고자료
본문내용
요? 아니면 불행해 보이나요?
행복해 보이네요.
라. 여성
항목
질문사항
답변
1
이 여성은 누구입니까?
저입니다.
2
이 여성의 나이는 몇 살이죠?
50대지만, 20대를 연상하며 그렸네요.
3
누구를 연상하면서 그림을 그렸는가요?
저 자신입니다.
4
이 여성은 당신과 친한 사람이라고 생각되나요?
친한 사람이죠.
5
이 여성과 사이좋게 지내고 싶은가요?
저니까 사이좋게 지내야 겠지요.
6
이 그림에서 더 첨가하고 싶은 것이 있다면 무엇인지 말씀해 주세요.
더 많은 옷을 그리고 싶었어요.
7
이 여성의 직업은 무엇이라고 생각되나요?
행복한 가정주부
8
이 여성 그림이 스스로 잘 그려졌다고 생각되나요?
많이 부족합니다.
9
이 여성에게 더 필요한 것이 있다면 무엇이라고 생각되나요?
쥬얼리? 귀여운 애완견도 있었으면 좋겠어요.
10
이 여성이 행복해 보이나요? 아니면 불행해 보이나요?
행복해 보이네요.
2. HTP그림 검사한 사진
가. 집
나. 나무
다. 남성
라. 여성
3. 해석 및 평가
가. 집
순번
항목
해석과 평가
1
전반적인 구도
전반적으로 그림에서 집의 크기가 너무 크고, 중심에 배치되어 있어서 집이 유독 강하게 표출되는 그림이다. 이로 보았을 때, 나는 현실에 만족하지 못하고 물질적으로 더 많은 부를 원하는 듯 하다.
2
대칭성과 묘사
집의 좌우 대칭은 잘 맞는다고 여겨지고, 창문이 유독 자세하고 크게 묘사되어 있는 듯하다. 이는 내가 주변 환경과 접촉을 좋아하고 사교적인 성격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본다.
3
기타의 표시
문이 닫힌 상태로 그려져 있는데, 이는 내가 정서적 따듯함과 가족적 평안을 원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4
그린 순서
집을 그릴 때 외부를 먼저 그리고 내부를 그렸다. 이로 유추해 보았을 때, 나는 타인과의 정서적 접촉을 좋아하는 스타일이라 평가할 수 있다.
5
위치
용지 윗부분에도 미쳐 다 그리지 못한 그림이 있다는 점에서 나는 현실에 만족하지 못하고 더 많은 것을 원하는 듯 보인다.
6
생략과 왜곡
구림이 생략되어 있는데, 이로 유추해 보았을 때, 나는 충동적이고 무엇인가 쉽게 포기하는 스타일이라 여겨졌다.
나. 나무
순번
항목
해석과 평가
1
전반적인 구도
줄기에 비해 가지가 너무 크게 그려져 있고, 전반적인 구도 역시 위쪽으로 치우치는 등 안정감이 없어 보인다. 이로 유추해 보았을 때, 나는 무엇이든 노력은 하지만 현실을 두려워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2
대칭성과 묘사
나뭇잎이 구름형태로 묘사되어 있다. 이는 내가 평범하고 형식적으로 살아가고 있는 사람이라는 것을 의미한다.
3
기타의 표시
활엽수 중에서도 과일그림을 그렸다. 이로 유추해 보았을 때, 나는 창조적인 무엇인가를 추구하고 도전하는 스타일임이 엿보인다.
4
생략과 왜곡
전반적으로 가지의 끝이 날카롭고 외부로 뻗어 있는데, 이는 내가 감수성이 예민하지만 때론 공격적 행동이 나타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다. 남성
순번
항목
해석과 평가
1
표현
다 그리고 보니, 남편그림에 코를 그리지 않았다. 이는 내가 남편과의 성적 관계에 문제가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2
치아
남편 그림에 치아를 그리지 않았다. 이는 내가 남편을 공격적인 사람이 아닌 편안한 사람이라고 여기고 있다는 증거라 여겨진다.
3
기타의 표시
남성의 눈이 너무 작게 표현되어 있다. 이는 내가 남편을 못마땅하게 생각하고 죄인처럼 여기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생각한다.
라. 여성
순번
항목
해석과 평가
1
표현-긴 목
목을 다소 길게 표현한 것 같다. 이로 유추해 보았을 때, 나는 나 자신을 너무 심하게 통제하고 있다고 평가내릴 수 있다.
2
표현-긴 팔과 긴 다리
환경과의 접촉을 꺼리지 않고, 무엇이든 해내고야 말겠다는 강한 신념과 성취욕이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3
기타의 표시
엉덩이 부분의 묘사가 유독 약하다고 여겨진다. 이로 유추해 보았을 때, 나는 내가 여성으로써 약간 부족하다고 여기는 것 같다.
Ⅲ. 결론
HTP검사는 피검사가 직접 그린 그림에 의존하여 피검사의 심리상태나 내면을 이해하기 때문에, 검사에 있어 한계가 있을 수 밖에 없다는 생각이 든다. 만약 피검자가 그림을 그릴 수 없는 심리상태거나 애초 그림을 유독 잘 그리지 못하는 사람이었다면, HTP검사 결과 및 평가는 더 나빠질 수 있기 때문이다.
Ⅳ. 참고자료
HTP와 KHTP 심리진단법 김동연 저 | 동아문화사 | 2002.05.15.
심리검사의 이해 최정윤 저 | 시그마프레스 | 2016.03.02.
행복해 보이네요.
라. 여성
항목
질문사항
답변
1
이 여성은 누구입니까?
저입니다.
2
이 여성의 나이는 몇 살이죠?
50대지만, 20대를 연상하며 그렸네요.
3
누구를 연상하면서 그림을 그렸는가요?
저 자신입니다.
4
이 여성은 당신과 친한 사람이라고 생각되나요?
친한 사람이죠.
5
이 여성과 사이좋게 지내고 싶은가요?
저니까 사이좋게 지내야 겠지요.
6
이 그림에서 더 첨가하고 싶은 것이 있다면 무엇인지 말씀해 주세요.
더 많은 옷을 그리고 싶었어요.
7
이 여성의 직업은 무엇이라고 생각되나요?
행복한 가정주부
8
이 여성 그림이 스스로 잘 그려졌다고 생각되나요?
많이 부족합니다.
9
이 여성에게 더 필요한 것이 있다면 무엇이라고 생각되나요?
쥬얼리? 귀여운 애완견도 있었으면 좋겠어요.
10
이 여성이 행복해 보이나요? 아니면 불행해 보이나요?
행복해 보이네요.
2. HTP그림 검사한 사진
가. 집
나. 나무
다. 남성
라. 여성
3. 해석 및 평가
가. 집
순번
항목
해석과 평가
1
전반적인 구도
전반적으로 그림에서 집의 크기가 너무 크고, 중심에 배치되어 있어서 집이 유독 강하게 표출되는 그림이다. 이로 보았을 때, 나는 현실에 만족하지 못하고 물질적으로 더 많은 부를 원하는 듯 하다.
2
대칭성과 묘사
집의 좌우 대칭은 잘 맞는다고 여겨지고, 창문이 유독 자세하고 크게 묘사되어 있는 듯하다. 이는 내가 주변 환경과 접촉을 좋아하고 사교적인 성격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본다.
3
기타의 표시
문이 닫힌 상태로 그려져 있는데, 이는 내가 정서적 따듯함과 가족적 평안을 원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4
그린 순서
집을 그릴 때 외부를 먼저 그리고 내부를 그렸다. 이로 유추해 보았을 때, 나는 타인과의 정서적 접촉을 좋아하는 스타일이라 평가할 수 있다.
5
위치
용지 윗부분에도 미쳐 다 그리지 못한 그림이 있다는 점에서 나는 현실에 만족하지 못하고 더 많은 것을 원하는 듯 보인다.
6
생략과 왜곡
구림이 생략되어 있는데, 이로 유추해 보았을 때, 나는 충동적이고 무엇인가 쉽게 포기하는 스타일이라 여겨졌다.
나. 나무
순번
항목
해석과 평가
1
전반적인 구도
줄기에 비해 가지가 너무 크게 그려져 있고, 전반적인 구도 역시 위쪽으로 치우치는 등 안정감이 없어 보인다. 이로 유추해 보았을 때, 나는 무엇이든 노력은 하지만 현실을 두려워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2
대칭성과 묘사
나뭇잎이 구름형태로 묘사되어 있다. 이는 내가 평범하고 형식적으로 살아가고 있는 사람이라는 것을 의미한다.
3
기타의 표시
활엽수 중에서도 과일그림을 그렸다. 이로 유추해 보았을 때, 나는 창조적인 무엇인가를 추구하고 도전하는 스타일임이 엿보인다.
4
생략과 왜곡
전반적으로 가지의 끝이 날카롭고 외부로 뻗어 있는데, 이는 내가 감수성이 예민하지만 때론 공격적 행동이 나타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다. 남성
순번
항목
해석과 평가
1
표현
다 그리고 보니, 남편그림에 코를 그리지 않았다. 이는 내가 남편과의 성적 관계에 문제가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2
치아
남편 그림에 치아를 그리지 않았다. 이는 내가 남편을 공격적인 사람이 아닌 편안한 사람이라고 여기고 있다는 증거라 여겨진다.
3
기타의 표시
남성의 눈이 너무 작게 표현되어 있다. 이는 내가 남편을 못마땅하게 생각하고 죄인처럼 여기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생각한다.
라. 여성
순번
항목
해석과 평가
1
표현-긴 목
목을 다소 길게 표현한 것 같다. 이로 유추해 보았을 때, 나는 나 자신을 너무 심하게 통제하고 있다고 평가내릴 수 있다.
2
표현-긴 팔과 긴 다리
환경과의 접촉을 꺼리지 않고, 무엇이든 해내고야 말겠다는 강한 신념과 성취욕이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3
기타의 표시
엉덩이 부분의 묘사가 유독 약하다고 여겨진다. 이로 유추해 보았을 때, 나는 내가 여성으로써 약간 부족하다고 여기는 것 같다.
Ⅲ. 결론
HTP검사는 피검사가 직접 그린 그림에 의존하여 피검사의 심리상태나 내면을 이해하기 때문에, 검사에 있어 한계가 있을 수 밖에 없다는 생각이 든다. 만약 피검자가 그림을 그릴 수 없는 심리상태거나 애초 그림을 유독 잘 그리지 못하는 사람이었다면, HTP검사 결과 및 평가는 더 나빠질 수 있기 때문이다.
Ⅳ. 참고자료
HTP와 KHTP 심리진단법 김동연 저 | 동아문화사 | 2002.05.15.
심리검사의 이해 최정윤 저 | 시그마프레스 | 2016.03.02.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