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chizophrenia 정신 분열증 정신간호 case study 간호진단 간호과정 포함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Schizophrenia 정신 분열증 정신간호 case study 간호진단 간호과정 포함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목 차
Ⅰ. 서론
-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Ⅱ. 문헌고찰
- 질병에 관한 기술
Schizophrenia
Ⅲ. 간호과정
- 간호사정
- 사례보고서, 간호력, 치료 및 경과, 투약
- 간호과정의 적용
Ⅳ. 결론
- 참고문헌

본문내용

4) 프로락틴-의존성 종양이거나 의심되는 환자
5) 중증의 신장애(크레아티닌청소율〈10 mL/min)환자.
6) 임부, 임신하고 있을 가능성이 있는 여성 및 수유부.
7) 레보도파를 투여중인 환자.
8) 파킨슨 질환과는 무관하게 다음 도파민성 약물을 투여중인 환자.
- 아만타딘, 아포모르핀, 브로모크립틴, 카베르골린, 엔타카폰, 라이수라이드, 페르골라이드, 피리베딜, 프라미펙솔, 퀴나골라이드, 로피니롤, 셀레길린.
9) Torsades de pointes를 유발할 수 있는 다음 약물을 투여중인 환자.
- Class Ⅰ의 항부정맥약물 : 퀴니딘, 하이드로퀴니딘, 디소피라미드, 프로카인아마이드, 멕실레틴, 플레카이니드, 프로파페논.
- Class Ⅲ 항부정맥약물 : 아미오다론, 소타롤, 도페틸리드, 이부틸리드.
- 기타 : 베프리딜, 시사프라이드, 디페마닐, 메타돈, 정맥용에리스로마이신, 미졸라스틴, 정맥용 빈카민, 할로판트린, 스파플록사신, 가티플록사신, 목시플록사신, 펜타미딘, 정맥용스피라마이신, 설토프리드, 티오리다진.
RIVOTRIL TAB
성분
clonazepam 0.5㎎
효능
1. 간질 및 부분발작(초점발작).
2. 원발성 및 2차적으로 전신화된 강직간대발작(대발작).
3. 유ㆍ소아 간질(특히 정형성 및 비정형성 결신발작).
4. 공황장애.
용법
초회량으로 1일 0.5mg을 2회 분할 투여한다. 대부분의 환자에서 3일 후에 목표 용량인 1일 1mg으로 증량할 수 있다. 권장 용량인 1일 1mg은 고정 용량 연구의 최적 효과를 근거로 한다. 하지만 필요한 경우, 공황장애가 조절되거나 부작용으로 인해 증량이 어려운 시점까지 3일 간격으로 0.25-0.5mg씩 증량하여 1일 최대 4mg까지 2회 분할 투여할 수 있다. 졸음 문제를 줄이기 위해 취침 전 1회 용량으로 복용할 수 있다.
치료 종료 시는 매 3일마다 0.25mg씩 점진적으로 감량한다.
신중투여
1) 심ㆍ신장애 환자.
2) 뇌의 기질적 장애 환자(작용이 강하게 나타남).
3) 척수성 또는 소뇌성 운동실조 환자.
4) 고령자(운동실조가 나타나기 쉽다).
5) 쇠약 환자.
6) 호흡기능저하 환자(만성 폐쇄성 폐질환 환자).
7) 수면무호흡증 환자.
8) 알코올, 다른 항간질약, 수면제, 진통제, 항정신병약, 항우울약 또는 리튬 등의 급성 중독 환자.
금기
1) 급성 협우각형 녹내장 환자.
2) 중증의 근무력증 환자.
3) 약물의존성 환자.
4) 알코올 또는 약물남용 환자.
5) 이 약 및 이 약의 성분에 과민증 환자.
6) 벤조디아제핀계 약물에 과민증 환자.
7) 중증의 간장애 환자.
8) 중증의 호흡부전 환자.
간호과정의 적용
간호진단
피해망상과 관련된 불안
사정
주관적
자료
“국가 정보기관에서 나를 감시하고 있어요 “
“내 몸 장기들에 보안이 되어있어요“
객관적
자료
사람들을 경계하는 모습을 보임
혼잣말을 자주하고 다른 입원환자들과 말하는 것을 볼 수 없음.
목표
장기
목표
대상자가 가진 불안감이 감소된다.
단기
목표
대상자의 망상 증상이 완화되고 현실을 인지한다.
대상자의 경계하는 모습이 완화된다.
계획
계획내용
이론적 근거
대상자의 행동에 대해 수용한다.
상담을 통해 대상자에게 현실감을 제공한다.
망상에 대해 대처하는 능력을 증진시킨다.
대상자가 안정감이 들도록 지지해준다.
이완요법을 실시한다.
대상자의 행동에 대해 대상자와 라포(rapport)를 형성하고 자기 노출(self-disclosure)을 격려할 수 있다.
대상자의 망상에 대해 토론하고 비판하지 않고 솔직하게 현실에 접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대상자가 어느 것이 진짜 현실인가를 생각해 보게 할 수 있다.
망상에 대처하는 능력을 증진시킴으로써 대상자 스스로 망상에 대해 생각해 볼 수 있도록 한다.
대상자에 대해 지지적인 관계를 가짐으로써 대상자가 불안감이 들 때 지지함으로써 불안감을 완화시킬 수 있다.
이완요법을 통해 교감신경 항진에 따른 다양한 증상을 완화 시켜주고 마음을 안정시켜 불안감을 감소 시킬 수 있다.
수행
대상자의 행동에 대해 수용한다.
-비 위협적인 태도로 솔직하고 지속적으로 관심을 제공한다.
-불안에 대해 표현하게 하고 대상자의 망상에 대해 도전하거나 비난하지 않는다.
-대상자와의 대화에 촉진적이고 개방적인 질문을 사용하고 수용적인 태도를 보인다.
상담을 통해 대상자에게 현실감을 제공한다.
-하루 1회 아침 식사후 상담을 실시하였다.
-대화시 단순하고 명료한 언어를 사용하였다.
-대상자에게 망상과 현실에 대한 구별을 강화시켜서 현실감을 주었다. (치료적 의사소통중 경청, 현실감제공, 명료화을 사용)
망상에 대해 대처하는 능력을 증진시킨다.
-대상자에게 망상을 표현하도록 격려하고 그에 대한 의견과 현실에 대한 지각내용을 제공하였다.(치료적 의사소통중 경청, 지각 공유를 사용)
대상자가 안정감이 들도록 지지해준다.
-불안의 원인뿐 아니라 불안 행동을 확인할 수 있도록 환자를 도와주었다.
-대상자 스스로가 조절할 수 있도록 도울 것을 설명했다.
-이완요법을 실시한다.
-복식 호흡법을 실시하였다.
(숨을 내쉴 때 어깨, 양손, 양발 순으로 힘을 빼준 뒤에 마음은 편안히 가지고 호흡은 규칙적으로 하는 것)
하루에 5번 기상 직후, 조식, 중식, 석식 직후 취침 전
5~10분간 실시 하였다.
-사고정지법을 실시하였다.
(불안감이 드는 생각을 했을 때 그 생각을 저버려 생각을 자제하는 것) 자신이 감시를 당하는 듯한 불안한 망상이 들 때
하지말자! 라고 말을 하면서 사고를 정지 시켰다.
평가
대상자의 망상 증상이 완화되고 현실과 구별하게 되었다.
대상자의 경계심이 완화되었다.
망상에 대처하는 능력이 증진됨으로써 망상이 완화되었다.
주치의와의 상담에서 대상자가 가진 불안감이 감소되었다.
Ⅳ. 결론
참고문헌
- 보건복지부, 대한의학회
- 최순희 (2013) 간호과정 , 현문사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저 ,(2011) , 교육학용어사전 , 하우동설
-www.kimsonline.co.kr
-www.druginfo.co.kr
-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서울대학교병원
-대한신경정신의학회
  • 가격2,000
  • 페이지수17페이지
  • 등록일2017.12.23
  • 저작시기2017.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4151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