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없음
본문내용
광범한 후원회와 멤버쉽의 존재와 이에 대한 페스티벌의 높은 의존도는 페스티벌을 운영함에 있어 항상 이들의 의견을 수렴하고 의사결정에 반영할 것을 강제하고 있다. 관람객이 단순한 소비자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본격적으로 생산의 영역에 진입한 것이다. 한편, 많은 지역주민들의 자원봉사자로서 페스티벌에 결합하고 있다. 애쉴랜드와 같은 소도시에 도입된 장소자산이 지역에 뿌리를 내리기 위해서는 지역커뮤니티와의 의사소통이 매우 중요한데 이 자원봉사 조직이 중요한 채널로 기능하고 있는 것이다.
Ⅲ.결론 및 시사점
OSF라는 문화예술축제의 도입은 애쉴랜드 내에 뿌리를 내림과 동시에, 애쉴랜드를 둘러싼 제반 여건, 즉 자연환경, 사회경제적 변화, 지역산업구조의 변화, 지역대학의 성장 등의 요인들과 결합하면서 기존의 지역을 변화시켰다. 즉 아름다운 자연환경으로 소수의 관광객이 방문하던 농업 중심의 밀타운(mill town)이 셰익스피어 타운으로, 교육의 도시로, 그리고 은퇴자의 재입주지로 변화한 것이다.
OSF의 가장 큰 장점은 예술가들을 직접 고용한 가운데 총감독, 예술감독의 적극적 협력과 업무분담을 통해 축제를 기획운영하면서 수준 높은 연극공연을 유지하고 있다는 점이다. 이는 경제적 가치와 곧바로 연결되어 페스티벌의 안정적 운영에 기여하게 되는데, 이는 페스티벌 전체 운영경비의 70% 이상이 티켓판매에 의한 사업수입으로 충당되고 있다는 사실에서 뒷받침된다.
또한 현재의 관객 및 미래 잠재관객(즉, 학생과 어린이)에 대한 광범한 교육프로그램을 상시적으로 실시하고 있는데, 이는 문화가치를 사회에 전파하고 지속적으로 시장을 확대하는 결과를 낳고 있다. 문화가치의 생산과 전파는 축제가 문화산업으로서 가치를 갖게 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무엇보다도 중요한 것은 관객들에게 상시적으로 문화콘텐츠를 경험하게 함으로써 문화적 감성을 키워 시장을 확대할 것이 필요하다. 이러한 활동은 축제 개최기간에 한정되어 시도되어서는 효과가 없으며, 연중 지원과 노력을 통해 시도되어야 달성될 수 있는 문제이다.
현재 한국에서 수행되고 있는 축제관련 정책은 모두 단기적이고 직접적인 지원정책에 머무르고 있으며, 장기적으로 발전할 수 있는 토대의 마련이 절실한 상황이다. 그리고 이를 위해서는 축제가 담고 있는 문화가치를 지속적으로 향상시키고 전파시키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즉, 품질 높은 문화콘텐츠를 지속적으로 확대재생산함으로써 축제의 상품성을 높이는 것은 물론이고, 이렇게 개발된 문화콘텐츠를 관광객과 지역주민이 지속적으로 경험학습하는 문화가치의 전파과정에 대한 적극적 지원이 요구되는 것이다. 이는 OSF와 같은 적극적인 교육프로그램을 통해서 실현될 수 있으며 축제의 교육프로그램을 통한 문화가치의 전파과정은, 구체적 실현형태는 다를지라도 다른 문화산업 영역에도 확대하여 적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므로 이를 위한 전문 인력과 구체적 프로그램의 개발이 요구된다.
※ 참고자료
ㅇ「소도시의 문화예술축제 도입과 장소성의 인위적 형성」,백선혜
ㅇ「선진국 산업클러스터 재생 성공사례연구 : 제3장 문화전략을 통한 지역활성화 성공 사례 연구-일본 가나자와시를 중심으로」, 문윤걸 전주시정발전연구소 연구원, 정책기획위원회, 2004.12
ㅇ「문화산업을 통한 문화가치의 전파와 대응」, 백선혜 서울시정개발연구원 부연구위원, 2006 Workshop on: Women's Creative Cultural Exchanges and Prospects of Building Women's Cultural Networks in Korea and Southeast Asia
ㅇ「2006 Workshop on: Women's Creative Cultural Exchanges and Prospects of Building Women's Cultural Networks in Korea and Southeast Asia : 문화산업을 통한 문화가치의 전파와 대응」, 백선혜 서울시정개발연구원 부연구위원, 2006
ㅇ Leo van den Berg, Erik Braun, "Urban competitiveness, marketing, and the need for organizing capacity", Urban Studies, 1999.
ㅇ OSF 홈페이지 http://www.osfashland.org/plays/theatres/elizabethan.aspx
ㅇ 세계도시정보 홈페이지 http://ubin.krihs.re.kr/
Ⅲ.결론 및 시사점
OSF라는 문화예술축제의 도입은 애쉴랜드 내에 뿌리를 내림과 동시에, 애쉴랜드를 둘러싼 제반 여건, 즉 자연환경, 사회경제적 변화, 지역산업구조의 변화, 지역대학의 성장 등의 요인들과 결합하면서 기존의 지역을 변화시켰다. 즉 아름다운 자연환경으로 소수의 관광객이 방문하던 농업 중심의 밀타운(mill town)이 셰익스피어 타운으로, 교육의 도시로, 그리고 은퇴자의 재입주지로 변화한 것이다.
OSF의 가장 큰 장점은 예술가들을 직접 고용한 가운데 총감독, 예술감독의 적극적 협력과 업무분담을 통해 축제를 기획운영하면서 수준 높은 연극공연을 유지하고 있다는 점이다. 이는 경제적 가치와 곧바로 연결되어 페스티벌의 안정적 운영에 기여하게 되는데, 이는 페스티벌 전체 운영경비의 70% 이상이 티켓판매에 의한 사업수입으로 충당되고 있다는 사실에서 뒷받침된다.
또한 현재의 관객 및 미래 잠재관객(즉, 학생과 어린이)에 대한 광범한 교육프로그램을 상시적으로 실시하고 있는데, 이는 문화가치를 사회에 전파하고 지속적으로 시장을 확대하는 결과를 낳고 있다. 문화가치의 생산과 전파는 축제가 문화산업으로서 가치를 갖게 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무엇보다도 중요한 것은 관객들에게 상시적으로 문화콘텐츠를 경험하게 함으로써 문화적 감성을 키워 시장을 확대할 것이 필요하다. 이러한 활동은 축제 개최기간에 한정되어 시도되어서는 효과가 없으며, 연중 지원과 노력을 통해 시도되어야 달성될 수 있는 문제이다.
현재 한국에서 수행되고 있는 축제관련 정책은 모두 단기적이고 직접적인 지원정책에 머무르고 있으며, 장기적으로 발전할 수 있는 토대의 마련이 절실한 상황이다. 그리고 이를 위해서는 축제가 담고 있는 문화가치를 지속적으로 향상시키고 전파시키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즉, 품질 높은 문화콘텐츠를 지속적으로 확대재생산함으로써 축제의 상품성을 높이는 것은 물론이고, 이렇게 개발된 문화콘텐츠를 관광객과 지역주민이 지속적으로 경험학습하는 문화가치의 전파과정에 대한 적극적 지원이 요구되는 것이다. 이는 OSF와 같은 적극적인 교육프로그램을 통해서 실현될 수 있으며 축제의 교육프로그램을 통한 문화가치의 전파과정은, 구체적 실현형태는 다를지라도 다른 문화산업 영역에도 확대하여 적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므로 이를 위한 전문 인력과 구체적 프로그램의 개발이 요구된다.
※ 참고자료
ㅇ「소도시의 문화예술축제 도입과 장소성의 인위적 형성」,백선혜
ㅇ「선진국 산업클러스터 재생 성공사례연구 : 제3장 문화전략을 통한 지역활성화 성공 사례 연구-일본 가나자와시를 중심으로」, 문윤걸 전주시정발전연구소 연구원, 정책기획위원회, 2004.12
ㅇ「문화산업을 통한 문화가치의 전파와 대응」, 백선혜 서울시정개발연구원 부연구위원, 2006 Workshop on: Women's Creative Cultural Exchanges and Prospects of Building Women's Cultural Networks in Korea and Southeast Asia
ㅇ「2006 Workshop on: Women's Creative Cultural Exchanges and Prospects of Building Women's Cultural Networks in Korea and Southeast Asia : 문화산업을 통한 문화가치의 전파와 대응」, 백선혜 서울시정개발연구원 부연구위원, 2006
ㅇ Leo van den Berg, Erik Braun, "Urban competitiveness, marketing, and the need for organizing capacity", Urban Studies, 1999.
ㅇ OSF 홈페이지 http://www.osfashland.org/plays/theatres/elizabethan.aspx
ㅇ 세계도시정보 홈페이지 http://ubin.krihs.re.kr/
키워드
추천자료
Culture and the World-System
영국문학사
트리스탄과 이즈 - 조제프 베디에
낭만주의의 개관과 비평가들의 이론을 통해 본 낭만주의 비평
베르나르 베르베르의 <나무>의 분석 보고서
근세철학&현대철학
낭만주의 미술-드라크르와
낭만주의 예술
일본의 전통문화
[낭만주의][낭만주의 발생배경][낭만주의시대][낭만주의 음악][낭만주의 문학]낭만주의의 발...
이광수의 '무정'이 현대소설의 기점이 되는 이유와 문학사적 의의
세익스피어 인 러브 와 로미오와 줄리엣을 장르별 비교 분석(희극인가?비극인가?)
지현주_가족소비자학과_사상체질에_따른_인물분석
[낭만주의][낭만파][미술][발레][문학][음악][과학기술][건축]낭만주의(낭만파) 미술, 낭만주...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