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인간과 자연과의 친화력을 표현하였고, 룽게나 프리드리히는 우주적이고 보편적인 개념을 제시하였는데, 이들의 사상은 당시의 과학자·철학자들의 그것과 유사하며 기본적으로 계몽주의 사상으로 이루어져 있다.
룽게는 자연과의 친밀한 교감은 순진무구한 아이들의 영혼으로 돌아가는 것을 의미한다고 하여 물질세계에 대한 정신세계의 승리를 주장했다. 자연에 대한 독일 낭만주의를 가장 완벽하게 표현하였다고 평가되는 프리드리히는 자연의 충실한 재생, 객관주의를 지향했으며 여기서 비롯된 몰개성적이고 극단에 이르는 정치한 기법은 그의 북극해(1824)에서 엿볼 수 있다. 이러한 작풍(作風)은 독일 낭만파 회화 특유의 것으로, 멩스나 해밀튼, 비앙 등 초기의 신고전주의 화가들로부터 유래한 것이며 1850년경 부분적으로 영국의 라파엘로 전파(Pre-Raphaelite)화가들에게 자극을 주었고 미국에도 영향을 미쳤다.
사회적 대격변과 깊은 관계를 맺고 있는 프랑스 낭만주의회화는 고전주의의 차가운 형식존중에 대한 반동으로 그로(Antoine Jean Gros, 1711-1835)에서 시작하여 제리코(1791-1824)를 거쳐 들라크르와(1798-1863)에 이르는 과정에서 분방한 색채, 유동적인 필치, 운동감으로 가득한 극적 구도에 의해 혁명적·영웅적 경향을 드러낸다.
다비드의 제자인 그로는 나폴레옹 신화의 중요한 화가로서 그의 아르콜라 전장의 나폴레옹(1796)은 낭만적인 정열을 가지고 누구도 대항할 수 없는 나폴레옹의 신비로움을 전해준다. 한편 나폴레옹의 몰락과 더불어 시작된 제리코의 예술은 계몽주의의 이상과 역사적 현실의 좌초 속에서 한 세대의 정신적 투쟁을 그려내고 있다. 말을 탄 근위사관(1812)은 루벤스풍의 정력적인 그림으로 낭만주의적 영웅을 보여주고 있다. 또 메뒤사의 뗏목(1818-1819)은 힘찬 사실적인 세부묘사가 주목을 끄는 작품인데, 그러한 노력도 결국은 화면을 지배하는 영웅적 드라마의 정신에 종속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로와 제리코를 숭배했던 들라크르와는 프랑스의 가장 대표적인 낭만주의 화가로서, 그림에 있어서는 소묘보다 색채가, 지식보다는 상상력이 훨씬 더 중요하다고 믿었다. 즉 그는 특정한 현실의 사건을 재현하는 것보다도 시적 진실(詩的 眞實)에 목적을 두었다. 대표작으로 군중을 이끄는 자유의 여신(1831>이 유명하다.
도미에(Honore Daumier, 1808-79)는 현실에서 눈길을 돌리지 않은 위대한 낭만파 화가로서 정통적인 단련을 보여주는 초기의 풍자화를 거쳐 이후 대담하고 개성적인 소묘화 양식을 보여주는데, 그의 주제는 도시의 일상생활의 여러 모습이었지만 그의 관심은 접촉할 수 있는 표면이 아니라 그 배후의 정서적인 의미에 있었다. 예를 들어 삼등열차(1862)는 특수한 근대인의 상황, 즉 고독한 군중을 포착한 것이다. 그 외의 유채화 - 예를 들면 풍차로 돌진하는 돈키호테(1866)를 통해 정신과 육체의, 이상적 대망과 냉혹한 현실과의 영원히 피할 수 없는 인간적 내면의 비극적 갈등을 구현하고 있다. 한편 프랑스 낭만주의 풍경화를 주도했던 바르비종 화파는 영국 풍경화 전통보다는 17세기 네덜란드 풍경화 전통에서 직접적인 영향을 받았다고 보여진다. 이 화파는 무엇보다도 통일되고 조화된 채색을 중시했는데, 분위기 효과를 통해 만질 수 없는 것을 표현하는 것은 자연에 대한 낭만주의적인 해석으로 간주된다.
낭만주의 건축은 새로운 중세정신(특히 교회 건축에 있어)의 표현과 건물배치에 있어 과학적인 접근을 특징으로 한다. 이는 양식적으로 볼 때 주로 신고딕 양식으로 나타나며 이러한 '고딕의 부활'은 영국을 선두로 해서 진행되고 있었다. 예컨대, 호레이스 월포울(Horace Wapole)의 스트로베리 힐(1749-77)은 낭만적인 중세의 고성처럼 고딕 양식으로 지어졌으며 엑조틱한 양식의 하나로 간주된다. 건축에서는 건물과 풍경이 대립하는 것이 아니라 건물은 그 주위의 풍경에 따라서 배열되어져서 전체적인 풍경의 일부분이 되도록 하였다.
또 낭만주의의 상상력은 고딕과 신비로운 동방을 거의 같은 눈으로 바라보아, 존 내쉬(John Nash)의 로열 퍼빌리언(1815-18)에서는 타지마할의 크리?(cream-puff) 모양을 번안한 도움(dome)이 나타나기도 한다. 1800년 이후 건축은 고전- 고딕의 갈림길에서 대개의 경우 고딕으로 기울었는데, 이는 나폴레옹 전쟁을 통해 국수주의적 감정이 고조되었고, 독일·영국·프랑스 등에서는 고딕이 국민정신의 고유한 표현이라고 생각되었기 때문이다. 차알스 배리경(Sir Charles Barry)과 웰비 퓨진(A. Welby Pugin)의 국회의사당( 1836년 착공)은 고딕 부활에 있어 최대의 기념비적인 건축이라고 할 수 있다. 19세기 중반이후로는 바로크 양식이 다시 선호되어 '네오바로크'양식이 나타났는데, 가르니에(Charles Garnier, 1825-98)의 파리 오페라 하우스가 대표적이다.
조각에 있어서도 낭만주의는 바로크 양식으로의 복귀로 나타났다. 예컨대 프레오 (1809-1879)의 학살(1834)은 바로크 조각에서 볼 수 있는 것 이상으로 육체적·정신적인 격렬성으로 가득 차있다. 그러나 표현상의 일그러짐이나 괴로와하는 형상들을 폭발할 만큼 꽉 채워 넣은 비합리적인 공간은 고딕 조각을 연상시킨다. 보다 진정한 낭만주의풍을 보여주는 조가가 뤼드(1784-1855)는 파리의 개선문에 그의 걸작, 매우 화려한 라 마르세이예즈(1883-6)를 남겼다.
낭만주의시대의 조각의 발전은 회화가 발전한 자취를 그대로 좇았다. 조각은 회화나 건축의 경우보다는 훨씬 덜 모험적이다. 조각의 독특한 장점과 그 공간을 채우는 확고한 현실성은 낭만주의적 기질에는 적합한 것이 아니었다. 그래서 낭만주의 미술에서 조각은 회화만큼 화려한 것은 아니었지만, 낭만주의적 이상에 가장 가까운 개성을 가진 프레오 같은 조각가도 있었다. 그 외에도 단젤스, F.뤼드 같은 사람이 있고, 동물 조각가인 A.바리도 유명하다. 확대된 의미의 낭만주의는 논리적 현실적 타당성을 탈피해 개인적 상상력 및 내적 욕구분출에 초점을 맞춘 작품에서 그 자취를 드러낸다.
룽게는 자연과의 친밀한 교감은 순진무구한 아이들의 영혼으로 돌아가는 것을 의미한다고 하여 물질세계에 대한 정신세계의 승리를 주장했다. 자연에 대한 독일 낭만주의를 가장 완벽하게 표현하였다고 평가되는 프리드리히는 자연의 충실한 재생, 객관주의를 지향했으며 여기서 비롯된 몰개성적이고 극단에 이르는 정치한 기법은 그의 북극해(1824)에서 엿볼 수 있다. 이러한 작풍(作風)은 독일 낭만파 회화 특유의 것으로, 멩스나 해밀튼, 비앙 등 초기의 신고전주의 화가들로부터 유래한 것이며 1850년경 부분적으로 영국의 라파엘로 전파(Pre-Raphaelite)화가들에게 자극을 주었고 미국에도 영향을 미쳤다.
사회적 대격변과 깊은 관계를 맺고 있는 프랑스 낭만주의회화는 고전주의의 차가운 형식존중에 대한 반동으로 그로(Antoine Jean Gros, 1711-1835)에서 시작하여 제리코(1791-1824)를 거쳐 들라크르와(1798-1863)에 이르는 과정에서 분방한 색채, 유동적인 필치, 운동감으로 가득한 극적 구도에 의해 혁명적·영웅적 경향을 드러낸다.
다비드의 제자인 그로는 나폴레옹 신화의 중요한 화가로서 그의 아르콜라 전장의 나폴레옹(1796)은 낭만적인 정열을 가지고 누구도 대항할 수 없는 나폴레옹의 신비로움을 전해준다. 한편 나폴레옹의 몰락과 더불어 시작된 제리코의 예술은 계몽주의의 이상과 역사적 현실의 좌초 속에서 한 세대의 정신적 투쟁을 그려내고 있다. 말을 탄 근위사관(1812)은 루벤스풍의 정력적인 그림으로 낭만주의적 영웅을 보여주고 있다. 또 메뒤사의 뗏목(1818-1819)은 힘찬 사실적인 세부묘사가 주목을 끄는 작품인데, 그러한 노력도 결국은 화면을 지배하는 영웅적 드라마의 정신에 종속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로와 제리코를 숭배했던 들라크르와는 프랑스의 가장 대표적인 낭만주의 화가로서, 그림에 있어서는 소묘보다 색채가, 지식보다는 상상력이 훨씬 더 중요하다고 믿었다. 즉 그는 특정한 현실의 사건을 재현하는 것보다도 시적 진실(詩的 眞實)에 목적을 두었다. 대표작으로 군중을 이끄는 자유의 여신(1831>이 유명하다.
도미에(Honore Daumier, 1808-79)는 현실에서 눈길을 돌리지 않은 위대한 낭만파 화가로서 정통적인 단련을 보여주는 초기의 풍자화를 거쳐 이후 대담하고 개성적인 소묘화 양식을 보여주는데, 그의 주제는 도시의 일상생활의 여러 모습이었지만 그의 관심은 접촉할 수 있는 표면이 아니라 그 배후의 정서적인 의미에 있었다. 예를 들어 삼등열차(1862)는 특수한 근대인의 상황, 즉 고독한 군중을 포착한 것이다. 그 외의 유채화 - 예를 들면 풍차로 돌진하는 돈키호테(1866)를 통해 정신과 육체의, 이상적 대망과 냉혹한 현실과의 영원히 피할 수 없는 인간적 내면의 비극적 갈등을 구현하고 있다. 한편 프랑스 낭만주의 풍경화를 주도했던 바르비종 화파는 영국 풍경화 전통보다는 17세기 네덜란드 풍경화 전통에서 직접적인 영향을 받았다고 보여진다. 이 화파는 무엇보다도 통일되고 조화된 채색을 중시했는데, 분위기 효과를 통해 만질 수 없는 것을 표현하는 것은 자연에 대한 낭만주의적인 해석으로 간주된다.
낭만주의 건축은 새로운 중세정신(특히 교회 건축에 있어)의 표현과 건물배치에 있어 과학적인 접근을 특징으로 한다. 이는 양식적으로 볼 때 주로 신고딕 양식으로 나타나며 이러한 '고딕의 부활'은 영국을 선두로 해서 진행되고 있었다. 예컨대, 호레이스 월포울(Horace Wapole)의 스트로베리 힐(1749-77)은 낭만적인 중세의 고성처럼 고딕 양식으로 지어졌으며 엑조틱한 양식의 하나로 간주된다. 건축에서는 건물과 풍경이 대립하는 것이 아니라 건물은 그 주위의 풍경에 따라서 배열되어져서 전체적인 풍경의 일부분이 되도록 하였다.
또 낭만주의의 상상력은 고딕과 신비로운 동방을 거의 같은 눈으로 바라보아, 존 내쉬(John Nash)의 로열 퍼빌리언(1815-18)에서는 타지마할의 크리?(cream-puff) 모양을 번안한 도움(dome)이 나타나기도 한다. 1800년 이후 건축은 고전- 고딕의 갈림길에서 대개의 경우 고딕으로 기울었는데, 이는 나폴레옹 전쟁을 통해 국수주의적 감정이 고조되었고, 독일·영국·프랑스 등에서는 고딕이 국민정신의 고유한 표현이라고 생각되었기 때문이다. 차알스 배리경(Sir Charles Barry)과 웰비 퓨진(A. Welby Pugin)의 국회의사당( 1836년 착공)은 고딕 부활에 있어 최대의 기념비적인 건축이라고 할 수 있다. 19세기 중반이후로는 바로크 양식이 다시 선호되어 '네오바로크'양식이 나타났는데, 가르니에(Charles Garnier, 1825-98)의 파리 오페라 하우스가 대표적이다.
조각에 있어서도 낭만주의는 바로크 양식으로의 복귀로 나타났다. 예컨대 프레오 (1809-1879)의 학살(1834)은 바로크 조각에서 볼 수 있는 것 이상으로 육체적·정신적인 격렬성으로 가득 차있다. 그러나 표현상의 일그러짐이나 괴로와하는 형상들을 폭발할 만큼 꽉 채워 넣은 비합리적인 공간은 고딕 조각을 연상시킨다. 보다 진정한 낭만주의풍을 보여주는 조가가 뤼드(1784-1855)는 파리의 개선문에 그의 걸작, 매우 화려한 라 마르세이예즈(1883-6)를 남겼다.
낭만주의시대의 조각의 발전은 회화가 발전한 자취를 그대로 좇았다. 조각은 회화나 건축의 경우보다는 훨씬 덜 모험적이다. 조각의 독특한 장점과 그 공간을 채우는 확고한 현실성은 낭만주의적 기질에는 적합한 것이 아니었다. 그래서 낭만주의 미술에서 조각은 회화만큼 화려한 것은 아니었지만, 낭만주의적 이상에 가장 가까운 개성을 가진 프레오 같은 조각가도 있었다. 그 외에도 단젤스, F.뤼드 같은 사람이 있고, 동물 조각가인 A.바리도 유명하다. 확대된 의미의 낭만주의는 논리적 현실적 타당성을 탈피해 개인적 상상력 및 내적 욕구분출에 초점을 맞춘 작품에서 그 자취를 드러낸다.
추천자료
낭만주의
낭만주의 & 사실주의
독일 낭만주의와 민속문학
[뮤지컬][한국뮤지컬][뮤지컬의 의의][뮤지컬의 형성][뮤지컬의 특성][뮤지컬의 종류][한국 ...
이태ㄹ와 독일, 프랑스 오페라, 민족주의, 예술가곡 비교하여 정리
낭만주의의 배경과 정의 및 특징, 낭만주의 사상
베르디, 오페라 <라트라비아타>(La Traviata) 감상 - 고급 예술로 표현된 지고지순한 사랑의 삶
음악과 무용의 만남 -바로크 시대 음악과 낭만주의의 음악 & 발레
르네상스미술 화가 미켈란젤로, 바로크미술 카라밧지오, 낭만주의미술 도미에, 자연주의미술 ...
르네상스미술 화가 레오나르도 다빈치, 바로크미술 루벤스, 로코코미술 와토, 신고전주의미술...
포스트 모더니즘 특징, 문화, 사회, 예술, 문학, 건축에서의 포스트 모더니즘, 상호 텍스트성...
15세기(15C) 문학, 협주, 16세기(16C) 문학, 사대부가사, 17세기(17C) 문학 프랑스문학, 18세...
낭만주의와 사실주의의 발달_ 낭만주의 작품
[만점 받은 과제물][상상력과 문학] 기호 이전의 세계 - 예술작품이나 사회현상을 기호로 해...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