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에릭슨의 발달 심리
1. 에릭슨의 생애와 연구
2. 에릭슨의 심리사회적 발달이론
제 1단계
: 유아기 (0-1세) 기본적 신뢰 VS 불신
제 2단계
: 초기아동기 (2-3세) 자율성 VS 수치와 회의
제 3단계
: 후기아동기 (4-5세) 주도성 VS 죄책감
제 4단계
: 학동기 (6-11세) 근면성 VS 열등감
제 5단계
: 청소년기 (12-18세) 정체감 VS 역할혼란
제 6단계
: 성인초기 (19-24세) 친밀감 VS 고립감
제 7단계
: 성인기 (25-54세) 생산성 VS 자기침체
제 8단계
: 노년기 (54세 이상) 자아통합 VS 절망감
3. 맺음말
* 참고자료목록
1. 에릭슨의 생애와 연구
2. 에릭슨의 심리사회적 발달이론
제 1단계
: 유아기 (0-1세) 기본적 신뢰 VS 불신
제 2단계
: 초기아동기 (2-3세) 자율성 VS 수치와 회의
제 3단계
: 후기아동기 (4-5세) 주도성 VS 죄책감
제 4단계
: 학동기 (6-11세) 근면성 VS 열등감
제 5단계
: 청소년기 (12-18세) 정체감 VS 역할혼란
제 6단계
: 성인초기 (19-24세) 친밀감 VS 고립감
제 7단계
: 성인기 (25-54세) 생산성 VS 자기침체
제 8단계
: 노년기 (54세 이상) 자아통합 VS 절망감
3. 맺음말
* 참고자료목록
본문내용
생애가 후회스러우며, 이제는 다시 새로운 삶을 선택할 수 없다는 생각으로 절망감에 빠지기 쉽다. 이 같은 절망은 혐오로 표출된다. 에릭슨은 많은 노인들이 사소한 일에 혐오를 느끼고, 다른 사람들의 잘못과 실수를 참지 못하는 이유를 이와 같이 설명하고 있다. 그는 이러한 혐오는 스스로에 대한 경멸을 의미한다고 주장한다.
노인들은 절망에 직면하면 자아통합감을 찾으려고 노력한다. 에릭슨에 따르면 자아통합감이란 자신의 생을 그랬어야만 했던 것 그리고 다른 어떤 것에 의해서도 대치될 수 없는 것으로 받아들이는 것을 의미한다. 즉 자아통합감의 예로는 “그렇다. 나는 실수를 했다. 그러나 당시 그 상황에서 그 실수는 어쩔 수 없는 것이며, 나는 그것을 내 생애의 행복했던 일들과 함께 받아들이겠다.”는 식으로, 자신의 삶을 인정하고 수용하는 자세라고 할 수 있다.
3. 맺음말
에릭슨의 심리사회적 발달이론은 프로이드의 정신분석이론을 확대시켰다. 에릭슨은 기본적으로 프로이드의 심리성적발달에서 성적 신체부위가 변화하는 과정을 이용하여 자아가 외부 세계와 상호 작용하는 방식을 설명하였다. 그러나 프로이드가 사람들의 내적 본능과 충동을 어떻게 억압하고 대처하면서 성장하는가를 보여주었던 것에 반해, 에릭슨은 보다 넓은 사회적 관점에서 개인들이 자신의 정체감을 찾아가는 과정을 통해 심리사회발달을 설명하고 있다. 또한 인간의 성숙 과정에 관해서도 프로이드가 성적 변화에 초점을 맞추어 설명하고 있는데 반해, 에릭슨은 자율성, 주도성, 정체감과 같이 자아양식 및 일반적인 자아속성의 성숙을 강조하고 있다.
에릭슨의 심리사회적 발달이론에 대한 가장 중요한 비판은 그의 이론에서 사용하는 개념들이 지나치게 모호하다는 점이다. 그는 아름답고 문학적인 글을 쓰지만, 그가 사용하는 개념들이 명확하게 정의되지 않고 넘어간다는 비판이 제기된다. 왜냐하면 이론의 개념이 정확하지 않으면, 그 이론에 대한 실증적이고 과학적인 연구를 수행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또한, 자아발달의 여러 측면들을 프로이드의 심리성적발달 이론에 제기된 성적 부위에 너무 무리하게 연결시키려 했다는 한계를 가진다.
나는 정체성을 가진 한 사람으로써 또한 아이를 돌보는 부모로써 에릭슨의 심리사회적 발달이론은 나와 육아에 많은 이해와 도움을 주고 있다.
* 참고자료목록
<에릭슨의 생애주기에 따른 위기상담에 대한 연구>, 김지명, 장로회신학대학교 신학대 학원, 1999학년도 석사학위논문
노인들은 절망에 직면하면 자아통합감을 찾으려고 노력한다. 에릭슨에 따르면 자아통합감이란 자신의 생을 그랬어야만 했던 것 그리고 다른 어떤 것에 의해서도 대치될 수 없는 것으로 받아들이는 것을 의미한다. 즉 자아통합감의 예로는 “그렇다. 나는 실수를 했다. 그러나 당시 그 상황에서 그 실수는 어쩔 수 없는 것이며, 나는 그것을 내 생애의 행복했던 일들과 함께 받아들이겠다.”는 식으로, 자신의 삶을 인정하고 수용하는 자세라고 할 수 있다.
3. 맺음말
에릭슨의 심리사회적 발달이론은 프로이드의 정신분석이론을 확대시켰다. 에릭슨은 기본적으로 프로이드의 심리성적발달에서 성적 신체부위가 변화하는 과정을 이용하여 자아가 외부 세계와 상호 작용하는 방식을 설명하였다. 그러나 프로이드가 사람들의 내적 본능과 충동을 어떻게 억압하고 대처하면서 성장하는가를 보여주었던 것에 반해, 에릭슨은 보다 넓은 사회적 관점에서 개인들이 자신의 정체감을 찾아가는 과정을 통해 심리사회발달을 설명하고 있다. 또한 인간의 성숙 과정에 관해서도 프로이드가 성적 변화에 초점을 맞추어 설명하고 있는데 반해, 에릭슨은 자율성, 주도성, 정체감과 같이 자아양식 및 일반적인 자아속성의 성숙을 강조하고 있다.
에릭슨의 심리사회적 발달이론에 대한 가장 중요한 비판은 그의 이론에서 사용하는 개념들이 지나치게 모호하다는 점이다. 그는 아름답고 문학적인 글을 쓰지만, 그가 사용하는 개념들이 명확하게 정의되지 않고 넘어간다는 비판이 제기된다. 왜냐하면 이론의 개념이 정확하지 않으면, 그 이론에 대한 실증적이고 과학적인 연구를 수행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또한, 자아발달의 여러 측면들을 프로이드의 심리성적발달 이론에 제기된 성적 부위에 너무 무리하게 연결시키려 했다는 한계를 가진다.
나는 정체성을 가진 한 사람으로써 또한 아이를 돌보는 부모로써 에릭슨의 심리사회적 발달이론은 나와 육아에 많은 이해와 도움을 주고 있다.
* 참고자료목록
<에릭슨의 생애주기에 따른 위기상담에 대한 연구>, 김지명, 장로회신학대학교 신학대 학원, 1999학년도 석사학위논문
추천자료
[상담심리학] 상담에 대한 분석
[상담심리학] 행동주의적 상담 이론과 실제
사회복지사와 심리상담가(상담심리사, 임상심리사) 혹은 정신과의사의 역할
[심리상담] 상담자의 인간적 자질에 관해
2015년 1학기 상담심리학 중간시험과제물 공통(정신분석적,인간중심적,인지상담이론 비교)
2015년 1학기 상담심리학 중간시험과제물 공통(정신분석적,인간중심적,인지상담이론 비교)
상담이론과 실제, [실존주의, 죽음, 고립, 삶의 의미, 자유, 실존주의 개요, 중요개념, 심리...
고객상담과 심리상담의 길잡이 김환 독후감 감상문 서평
[상담심리학] 정신분석적 상담의 공헌점과 비판점을 자신의 의견도 넣어서 기술하시오.
[상담심리학] 행동주의 상담의 공헌점과 비판점을 자신의 의견도 넣어서 기술하시오 : 행동주의
2018년 1학기 상담심리학 중간시험과제물 공통(정신분석적, 인간중심, 게슈탈트 상담이론)
[상담심리학]행동주의 상담의 공헌점과 비판점을 자신의 의견도 넣어서 기술하시오.
[상담심리학] 상담자로서 학교 밖 청소년들의 문제는 무엇이라고 생각되는지 자신의 생각을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