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학교육론][교과서 분석][6. 예술 감상의 즐거움]
본 자료는 6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해당 자료는 6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6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문학교육론][교과서 분석][6. 예술 감상의 즐거움]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교과서 단원 구조 분석

2. 교육과정과 교과서의 연계성

3. 교과서 단원의 내적 일관성 검토
 (1) <‘산도화 1’을 읽고>의 내적 일관성 검토
 (2) <종달새 노래할 때>의 내적 일관성 검토
 (3) 소단원 문학제재들 간의 적절성 검토

4. 문학작품과 문학현상과의 관련성 검토
 (1) <‘산도화 1’을 읽고>
 (2) <종달새 노래할 때>

본문내용

으로 해석하기에는 설명이 부족한 것으로 보인다.
4) 독자의 수용
작가는 <산도화 1>의 4연에서 암사슴이 발을 씻는 행동이 가지는 의미를 주관적으로 해석하고 있다.
… 그런데 여기서 보다 흥미로운 것은 암사슴의 행동이다. 암사슴은 시냇가에 와서 물을 마시는 것이 아니라 발을 씻는다. 왜 암사슴이 물을 마시는 일반적인 행동을 하지 않고 발을 담가 보는 다소 의외의 행동을 하는가? … 암사슴의 앞발은 사람으로 치면 손이므로, 발을 담그는 동작은 조심스레 손을 뻗어 만져 보는 동작과 같은 의미가 된다. 즉 , 암사슴이 발을 씻는 동작은 흐르는 물의 부드러움과 낯섦에 이끌려 그것을 살그머니 만져 보는 동작인 것이다.
비평문의 작가는 <산도화 1>의 독자로서, 시가 형상화하고 있는 이미지에 의문을 품고 그를 작가 나름대로 해석하여 의미를 부여하고 있다. 이는 추상적인 개념의 작품을 독자가 해석하여 구체화시킨다는 점에서 수용론적인 감상방법을 보여주고 있다 하겠다.
5) 총평
<‘산도화 1’을 읽고>는 예술 비평문으로, 문학작품을 감상한 작가가 독자의 입장에 서서 느낀 바를 서술하고 작품을 설명하는 텍스트이다. 박목월 시인의 <산도화 1>을 직접 텍스트로 제시하지 않고 비평문이라는 형식을 빌려 제시함으로써 작품을 바라보는 다양한 시선을 보여주고 있다. 독자들은 비평문을 읽으며 비평의 대상이 되는 작품의 또 다른 독자가 되어 직접 감상하는 듯한 느낌을 받을 수 있을 것이다.
본 비평문에서 <산도화 1>은 작가의 창작, 작품, 시대 반영, 독자 수용 등 다양한 측면이 반영되어 해석되고 있다. 이처럼 문학을 하나의 작용태로서, 문학현상으로서 이해하기 위한 방법으로 비평감상문은 효과적인 도구가 될 수 있을 것이다.
(2) <종달새 노래할 때>
이 소단원은 작가가 김환기의 <종달새 노래할 때> 그림을 보고 느낀 바를 서술한 감상문, 즉 2차 텍스트이다.
1) 작가의 창작
감상문에서 화가 김환기가 소개된다. 이 작품의 창작에 반영된 화가의 개성을 설명해준다.
… 김환기는 학, 산, 나무, 달, 구름과 같은 자연의 체취를 서양식 표현 매체로 형상화한 우리나라 추상 미술의 개척자이다. 그의 예술 세계는 … 해방 후 김환기는 자연의 인상을 추상적으로 반영한 … 우리의 고유한 정서를 양식화 했다. …
… <종달새 노래할 때>를 보면, 당시 김환기가 서구의 입체파와 구성파의 영향을 받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
2) 작품
작가는 화가의 작품에 대해 자신의 인상을 표현한다. 이를 통해 그림의 모습을 형상화한다.
… 그림에서 내가 가장 신기하게 생각했던 것은 아낙네가 이고 가는 바구니 안에 들어 있는 알이었다. 화가는 바구니의 일부를 해부해서 그 안에 있는 알이 투명하게 드러나 보이도록 했다. 서구의 입체주의 기법을 이용한 것이라고 하는데, 나는 이것이 신기했다. 그냥 전통적인 방식으로 그린 그림이라면 바구니 속에 알이 들어 있는지 누가 알겠는가? 알이 훤히 보이도록 그려 넣은 작가의 행위는 그야말로 화룡점정(畵龍點睛)이라고 하지 않을 수 없다. …
3) 역사 시대의 반영
작가는 화가가 살았던 고향의 모습을 설명함으로써 그림 <종달새 노래할 때>의 이해를 돕고 있다.
… 아마 김환기도 고향의 봄을 생각하고 이 그림을 그렸을 것이다. 그(김환기)가 어린 시절을 보낸 고향은 봄이면 아낙네들이 나물을 캐고, 송이버섯이 무더기로 나는 평화로운 마을이었다고 한다. …
4) 독자의 수용
작가는 감상문의 도입과 마무리에서 자신이 어렸을 적에 하굣길에서 종달새 알을 봤던 경험을 제시한다. 이는 그림 <종달새 노래할 때>를 자신의 경험과 관련시켜 수용하였음을 제시하고, 이를 통해 예술 작품 수용(감상)의 한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 김환기의 그림 중에 <종달새 노래할 때>라는 작품이 있다. 이 그림을 처음 보았을 때, 나는 종달새 알을 처음 보았던 바로 그날을 떠올렸다. …
또한, 작가는 그림과 비슷한 느낌을 지닌 음악을 소개함으로써 예술 작품 수용 및 감상의 또 다른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 김환기의 그림을 보면서 문득 이 그림에 어울리는 음악이 떠올랐다. 그의 그림은 서구의 기법과 한국적 소재가 행복하게 만난 것이 꼭 영국 작곡가 랠프 본 윌리엄스의 ‘날아오르는 종달새’와 닮았다. …
… 김환기의 그림이 그런 것처럼, 본 윌리엄스의 ‘종달새’는 마냥 경쾌하기만 한 것은 아니다. …
그리고 음악의 느낌과 그림의 느낌을 비교함으로써 그림을 통해 느낀 감상을 설명하고 있다.
그리고 작가는 예술 작품 수용의 기본적인 전제로서 하나의 메시지를 전달한다.
… 본 윌리엄스의 음악을 들을 때나 김환기의 그림을 볼 때마다 봄과 고향의 한가운데 있는 사람보다는 그것을 기다리는 사람, 그것에서 멀리 떨어져 있는 사람의 동경과 그리움이 느껴진다. 물론 이들이 정말 이런 생각을 가지고 작품을 만들었는지는 확실하지 않다. 하지만 느낌은 감상하는 사람의 몫이라고 하지 않던가? 나는 이들의 작품을 대할 때마다 ‘고향의 봄’, 그 정겨운 시간과 공간에 대한 속절없는 그리움을 읽는다.
예술 작품 감상에 대한 범위를 개방적으로 제시함으로써 독자들이 이 글을 읽고 예술 작품을 감상할 때, 자신의 경험에 비추어 판단한다거나 상호텍스트성을 활용한다거나 등 자유롭게 예술 작품을 감상할 수 있도록 하는 예술 작품 감상의 방법을 제시하였다.
5) 총평
이 글은 그림 <종달새 노래할 때>에 대한 감상문이지만, 감상문 안에는 화가의 표현 양식 및 개성, 그림에 나타난 시대적 모습, 그림에 대한 분석 등 화가가 그림을 만들 때의 총체적인 과정이 설명되어 있어 이 글을 읽는 독자가 직접 예술 작품을 감상하는 듯한 느낌을 준다. 그리고 작가가 예술 작품 수용 및 감상의 방법을 제시함으로써 이 글을 읽는 독자에게 예술 작품 감상과 감상문 쓰기 활동에 도움을 준다.
결국, 이 감상문은 문학 작품을 문학 현상의 각 영역으로 감상하는 방법을 그림에 적용하여 감상했으므로, ‘예술(그림) 현상’의 과정을 통해 그림을 감상하였다고 볼 수 있다. 이를 통해 학생들로 하여금 문학을 ‘문학 현상’으로 바라보는 방법이 다른 예술 작품에도 효용 가치가 있음을 제시한다.
  • 가격2,200
  • 페이지수19페이지
  • 등록일2014.05.09
  • 저작시기2014.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4621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