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로 읽는 철학] 아메리칸 뷰티 감상문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영화로 읽는 철학] 아메리칸 뷰티 감상문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없음

본문내용

. 또 레스터의 상상 속에서 보여지는 새빨간 장미꽃은 그의 안젤라에 대한 성적욕구를 상징한다. 영화 결말에는 식탁 위의 장미꽃이 레스터가 총에 맞아 벽에 튄 피로 연결되는 화면을 보여주는 데 이것은 제어되지 않은 본능의 위험성을 말해주고 있다고 생각한다.
총은 프랭크의 욕망을 상징한다. 원래 총은 남근을 상징한다. 총은 일단 총알이 장전되면 방아쇠를 당기는 순간 엄청난 파괴력을 가지게 된다. 이런 총의 성질이 프랭크의 잠재되어 있는 억눌린 욕망을 상징한다고 생각한다. 그의 본능은 초자아에 의해 오랫동안 제어되었지만 한번 출구를 찾게 되자 걷잡을 수 없어져 레스터를 살인하는 결과까지 낳게 되었다. 총은 프랭크의 잠재되어 있는, 엄청난 본능과 그 파괴력을 상징한다.
이 영화에서는 레스터 가족의 가족사진이 많이 나온다. 세 가족이 단란한 한 때를 보내던 사진들은 현실원칙과 쾌락원칙의 조화, 즉 본능과 자아, 초자아의 조화가 진정한 가치를 지님을 표현하다.아버지로서의 위치를 망각하고 오로지 자신의 성적쾌락을 쫓던 레스터는 후에 가족의 소중함과 사랑, 그리고 아버지로서의 역할을 깨닫게 되면서 진정한 행복감을 맛보게 된다. 그것은 영화에서 레스터가 가족사진을 바라보며 흐뭇한 미소를 짓는 장면으로 표현된다.
이 작품을 통해서 얻을 수 있는 결론은 본능과 초자아, 쾌락원칙과 현실원칙은 어느 한쪽을 간과해서도 지나치게 추구해서도 안 된다는 것이었다. 내가 원하는 바를 잘 알아내서 충족시켜줄 수 있는 것도 중요하고 현실원칙에 맞게 제대로 전이시킬 수 있는 것도 중요하다. 어느 한쪽에 극단으로 치우치는 것은 위험한 일이다.
  • 가격1,0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14.12.10
  • 저작시기2014.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4623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