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없음
본문내용
d equilibrium) :두 반응곡선이 교차하는 점
○ 가격과 산출량이 완전경쟁시장과 매우 비슷해짐(효율적인 자원배분)
※ 이는 두 기업의 상품이 똑같고 한계비용이 고정되어 있다는 등 일련의 강한 가정하에서 얻어진 결과⇒ 차별화된 상품을 생산하는 경우로 논의 전개 가능
(4) 굴절수요곡선의 모형
■ 과점시장의 기업들 간에 아무런 담합협조가 이루어지지 않아도 가격의 안정성이 가능
→ ∵ 기업이 인식하고 있는 수요곡선에 굴절(kink)이 있기 때문
■ 가격의 추측된 변화가 비대칭성(asymmetry) 지님
○ 수요곡선에 굴절이 발생
○ 가격 인하를 시도시 가격의 추측된 변화가 1의 값을 지니나, 가격 인상시 0임
→ 자진이 가격을 낮추면 고객을 잃지 않아 덩달아 가격을 내리지만, 가격을 올릴때는 현재의 가격을 그대로 유지해 고객을 끌어가려고 함
■ 기대의 비대칭성 때문에 그 기업은 (현재의 산출량과 가격을 나타내는) 점에서 굴절이 있는 수요곡선에 직면해 있다고 인식
→ 굴절된 수요곡선에서 도출한 한계수입곡선은 산출량 의 수준에서 불연속 ∴ 한계비용이 변해도 사이에서는점이 계속 이윤극대화점
■[경제적 함의와 한계]
○ 과점시장의 가격 안정성은 기업의 인식된 수요곡선의 굴절 때문이라는 결론
○ but, 사후적으로(ex post) 확인해 줄뿐, 애초에 그 가격이 어떻게 해서 생성된 것인가에 대해서는 아무런 설명도 못해준다는 문제점
3. 가격선도모형(price leaderhsip model)
: 불완전한 담합
■ 과점기업들이 암묵적인 상호협조관계를 통한 공동의 이익을 추구
: 한 기업이 가격을 선도하고 나머지 기업들은 이를 추종하여 암묵적 협조구축
(∵ 상대방의 반응을 살피다가 자칫 가격전쟁이라고 발생시 경쟁기업 모두가 치명적 손실 발생가능)
→ 합법적비합법적인 방법으로 혹은 명백한묵시적 합의를 통한 협조구축
■ 지배적 기업(dominant firm)은 군소기업들이 각 가격에서 팔려고 하는 양만큼을 모두 팔 수 있도록 허용 가정
→ 시장수요의 나머지 부분만을 채우면서 이윤극대화를 시도
→ 이 기업은 시장수요곡선에서 군소기업 전체의 공급곡선을 수평방향으로 뺀 것을 자신의 수요곡선으로 간주
o곡선은 개별기업의 공급곡선을 수평방향으로 더함으로 구한 것 ()
oH점에서 굴절 : 보다 낮은 가격에서는 군소기업들의 공급량이 0
■ 곡선에서 곡선을 도출 → =인 교차점을 구함
→가격을 에 설정,(=의 거리)만큼의 상품을 생산판매
4. 카르텔모형 : 완전한 담합
♣ 담합을 통해 과열경쟁의 회피와 독점기업에 준하는 위치 확보가능
(1) 카르텔의 이윤극대화
■ [그림13-9]
카르텔은 전체 생산량을 수준에 묶어두고, 단위당 의 가격을 유지하려고 함
→ 전체 생산목표를 각 가맹기업이 어떻게 할당하느냐에 관심
(고도로 중앙집권화된(centralized cartel)은 모든 기업의 한계비용이 동일해지도록 산출량을 할당)
but, 현실에서는 산출량의 목표 할당은 가맹기업들 간의 협상이라는 정치적 과정에 의해서 이루어짐
→ 협상을 통해 판매실적, 생산능력에 비례하거나 지역별로 분할을 활용
(2) 카르텔의 불안정성
■ 카르텔협정 유지시 개별기업의 균형
○의 상품을 생산, 의 가격에 판매하는 상황 (점)
○ 개별기업의 입장에서는 가격을 으로 낮추었을 때의 이윤(회색으로 표시한 면적) 증가
○ 특히 적발될 가능성이 적다고 생각되면 일탈유인이 커짐
→ 모든 기업들이 여기서 이탈해 나가거나 협정을 위반함으로써 이윤을 더 크게 만들 수 있다는 사실 인식
→ 카르텔의 불안정성(instability)
※ 일탈유인 촉진 요인
① 기업의 수가 많아 개별 행동의 적발이 어려운 경우
② 신속한 보복이 어려운 경우
③ 치명적 타격을 입히기 어려운 경우
④ 상품이 이질적이어서 가격의 차이가 품질의 차이를 반영하는지 알기 어려울 때
⑤ 경기 침체시 수요 부족으로 인한 이윤의 저하가 심각한 문제가 될 때
(2) 경합시장(contestable market)의 모형
■ 1970년대 후반 보몰(W. Baumol)과 윌릭(R. Willig)
: 시장으로 자유롭게 진입할 수 있고, 아무 비용없이 이탈 가능한 시장 의미
⇒ ‘치고 빠지는’(hit-and-run)식의 진입 위협에 직면
■ [의의]
기업의 수가 몇 되지 않더라도 경쟁시장과 비슷한 결과가 가능
(잠재적 진입자로 인해 기존 기업들은 양()의 경제적 이윤을 얻기 어려움)
⇒ 한 산업 안의 기업 수가 아무리 적더라도(심지어는 하나일 경우에도) 진입과 이탈이 자유롭고 전혀 비용이 들지 않는다면 경쟁시장과 거의 흡사한 자원배분이 가능
∴ 기업 수를 늘리는 것보다는 진입과 이탈의 장벽을 제거하는 데 주력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한 결과를 가져올 수 있다는 정책적 시사점 제공
□ 시장실패
1. 공공재 : 구체적으로 정부가 보급하고 있는 통신 수도 등등
공공재는 한 집단의 어떤 사람을 위해서, 혹은 어떤 사람에 의해서 생산되는 즉시 그 집단의 모든 구성원에 의해 소비의 혜택이 공유될 수 있는 재화 및 서비스
배제불가능성 때문에 양의 가격을 정해 징수하는 것이 불가능
비경합성 때문에 양의 가격을 매기는 것은 효율적일 수도 없음
시장기구에만 맡기면 바람직한 수준보다 과소생산
해결 방안 :정부가 직접 공공재를 생산하거나 공공재에 대한 소비자의 선호를 밝혀 낼 수 있는 선효표출스트럭쳐 구축. 즉, 쓰고자하는 만큼 세금을 내게 만드는 구조 발견 내지 개발.
3. 외부성 : 구체적으로 국방
어떤 한 사람의 행동이 제3자에게 의도되지 않은 이득이나 손해를 가져다주는데도 이에 대한 대가를 받지도 지불하지도 않을 때 외부성이 생겼다고 표현
외부성은 해로운 것과 이로운 것이 있을 수 있고, 생산과정에서 생길 수도 있고 소비과정에서 생길 수도 있음.
ex) 꿀벌에 의해 수분이 잘 이루어짐에도 불구하고 과수원 주인이 양봉업자에게 사례를 하지 않는 것 → 생산과정에서 생기는 이로운 외부효과
제조업체들이 방출하는 오염물질 → 생산과정에서 생기는 해로운 외부효과
해결방안: 코즈정리 - 기본적으로 스스로 계약을 통해 외부성문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노력. 정부가 세금을 통해 외부성으로 인한 문제를 조절
○ 가격과 산출량이 완전경쟁시장과 매우 비슷해짐(효율적인 자원배분)
※ 이는 두 기업의 상품이 똑같고 한계비용이 고정되어 있다는 등 일련의 강한 가정하에서 얻어진 결과⇒ 차별화된 상품을 생산하는 경우로 논의 전개 가능
(4) 굴절수요곡선의 모형
■ 과점시장의 기업들 간에 아무런 담합협조가 이루어지지 않아도 가격의 안정성이 가능
→ ∵ 기업이 인식하고 있는 수요곡선에 굴절(kink)이 있기 때문
■ 가격의 추측된 변화가 비대칭성(asymmetry) 지님
○ 수요곡선에 굴절이 발생
○ 가격 인하를 시도시 가격의 추측된 변화가 1의 값을 지니나, 가격 인상시 0임
→ 자진이 가격을 낮추면 고객을 잃지 않아 덩달아 가격을 내리지만, 가격을 올릴때는 현재의 가격을 그대로 유지해 고객을 끌어가려고 함
■ 기대의 비대칭성 때문에 그 기업은 (현재의 산출량과 가격을 나타내는) 점에서 굴절이 있는 수요곡선에 직면해 있다고 인식
→ 굴절된 수요곡선에서 도출한 한계수입곡선은 산출량 의 수준에서 불연속 ∴ 한계비용이 변해도 사이에서는점이 계속 이윤극대화점
■[경제적 함의와 한계]
○ 과점시장의 가격 안정성은 기업의 인식된 수요곡선의 굴절 때문이라는 결론
○ but, 사후적으로(ex post) 확인해 줄뿐, 애초에 그 가격이 어떻게 해서 생성된 것인가에 대해서는 아무런 설명도 못해준다는 문제점
3. 가격선도모형(price leaderhsip model)
: 불완전한 담합
■ 과점기업들이 암묵적인 상호협조관계를 통한 공동의 이익을 추구
: 한 기업이 가격을 선도하고 나머지 기업들은 이를 추종하여 암묵적 협조구축
(∵ 상대방의 반응을 살피다가 자칫 가격전쟁이라고 발생시 경쟁기업 모두가 치명적 손실 발생가능)
→ 합법적비합법적인 방법으로 혹은 명백한묵시적 합의를 통한 협조구축
■ 지배적 기업(dominant firm)은 군소기업들이 각 가격에서 팔려고 하는 양만큼을 모두 팔 수 있도록 허용 가정
→ 시장수요의 나머지 부분만을 채우면서 이윤극대화를 시도
→ 이 기업은 시장수요곡선에서 군소기업 전체의 공급곡선을 수평방향으로 뺀 것을 자신의 수요곡선으로 간주
o곡선은 개별기업의 공급곡선을 수평방향으로 더함으로 구한 것 ()
oH점에서 굴절 : 보다 낮은 가격에서는 군소기업들의 공급량이 0
■ 곡선에서 곡선을 도출 → =인 교차점을 구함
→가격을 에 설정,(=의 거리)만큼의 상품을 생산판매
4. 카르텔모형 : 완전한 담합
♣ 담합을 통해 과열경쟁의 회피와 독점기업에 준하는 위치 확보가능
(1) 카르텔의 이윤극대화
■ [그림13-9]
카르텔은 전체 생산량을 수준에 묶어두고, 단위당 의 가격을 유지하려고 함
→ 전체 생산목표를 각 가맹기업이 어떻게 할당하느냐에 관심
(고도로 중앙집권화된(centralized cartel)은 모든 기업의 한계비용이 동일해지도록 산출량을 할당)
but, 현실에서는 산출량의 목표 할당은 가맹기업들 간의 협상이라는 정치적 과정에 의해서 이루어짐
→ 협상을 통해 판매실적, 생산능력에 비례하거나 지역별로 분할을 활용
(2) 카르텔의 불안정성
■ 카르텔협정 유지시 개별기업의 균형
○의 상품을 생산, 의 가격에 판매하는 상황 (점)
○ 개별기업의 입장에서는 가격을 으로 낮추었을 때의 이윤(회색으로 표시한 면적) 증가
○ 특히 적발될 가능성이 적다고 생각되면 일탈유인이 커짐
→ 모든 기업들이 여기서 이탈해 나가거나 협정을 위반함으로써 이윤을 더 크게 만들 수 있다는 사실 인식
→ 카르텔의 불안정성(instability)
※ 일탈유인 촉진 요인
① 기업의 수가 많아 개별 행동의 적발이 어려운 경우
② 신속한 보복이 어려운 경우
③ 치명적 타격을 입히기 어려운 경우
④ 상품이 이질적이어서 가격의 차이가 품질의 차이를 반영하는지 알기 어려울 때
⑤ 경기 침체시 수요 부족으로 인한 이윤의 저하가 심각한 문제가 될 때
(2) 경합시장(contestable market)의 모형
■ 1970년대 후반 보몰(W. Baumol)과 윌릭(R. Willig)
: 시장으로 자유롭게 진입할 수 있고, 아무 비용없이 이탈 가능한 시장 의미
⇒ ‘치고 빠지는’(hit-and-run)식의 진입 위협에 직면
■ [의의]
기업의 수가 몇 되지 않더라도 경쟁시장과 비슷한 결과가 가능
(잠재적 진입자로 인해 기존 기업들은 양()의 경제적 이윤을 얻기 어려움)
⇒ 한 산업 안의 기업 수가 아무리 적더라도(심지어는 하나일 경우에도) 진입과 이탈이 자유롭고 전혀 비용이 들지 않는다면 경쟁시장과 거의 흡사한 자원배분이 가능
∴ 기업 수를 늘리는 것보다는 진입과 이탈의 장벽을 제거하는 데 주력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한 결과를 가져올 수 있다는 정책적 시사점 제공
□ 시장실패
1. 공공재 : 구체적으로 정부가 보급하고 있는 통신 수도 등등
공공재는 한 집단의 어떤 사람을 위해서, 혹은 어떤 사람에 의해서 생산되는 즉시 그 집단의 모든 구성원에 의해 소비의 혜택이 공유될 수 있는 재화 및 서비스
배제불가능성 때문에 양의 가격을 정해 징수하는 것이 불가능
비경합성 때문에 양의 가격을 매기는 것은 효율적일 수도 없음
시장기구에만 맡기면 바람직한 수준보다 과소생산
해결 방안 :정부가 직접 공공재를 생산하거나 공공재에 대한 소비자의 선호를 밝혀 낼 수 있는 선효표출스트럭쳐 구축. 즉, 쓰고자하는 만큼 세금을 내게 만드는 구조 발견 내지 개발.
3. 외부성 : 구체적으로 국방
어떤 한 사람의 행동이 제3자에게 의도되지 않은 이득이나 손해를 가져다주는데도 이에 대한 대가를 받지도 지불하지도 않을 때 외부성이 생겼다고 표현
외부성은 해로운 것과 이로운 것이 있을 수 있고, 생산과정에서 생길 수도 있고 소비과정에서 생길 수도 있음.
ex) 꿀벌에 의해 수분이 잘 이루어짐에도 불구하고 과수원 주인이 양봉업자에게 사례를 하지 않는 것 → 생산과정에서 생기는 이로운 외부효과
제조업체들이 방출하는 오염물질 → 생산과정에서 생기는 해로운 외부효과
해결방안: 코즈정리 - 기본적으로 스스로 계약을 통해 외부성문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노력. 정부가 세금을 통해 외부성으로 인한 문제를 조절
추천자료
시장체계- 독과점규제,경제적규제
소비자 대출 시장과 시장 실패
시장 실패와 정부 실패
시장의 실패 및 정부의 실패와 대안
정부(비시장)실패와 시장의 역할
시장의 실패와 정부의 실패
시장 실패와 정부 실패
독과점적 시장구조
앞으로의 세계시장을 장악하기 위한 한국의 해외시장 실패사례와 대안을 조사하여 작성하시오.
까르푸 한국시장진출 마케팅실패 사례분석및 까르푸 국내시장재진입위한 마케팅전략 제안
유한킴벌리 하기스 마케팅전략분석및 하기스 중국시장진출 성공요인분석과 유한킴벌리 국내시...
까르푸(Carrefour) 실패와 대응전략 (국내시장 진출과 전략 , 국내시장 실패요인, 대응전략 (...
Dell컴퓨터 산업_ DELL 한국시장진출,Dell 한국시장 실패 사례,브랜드마케팅,서비스마케팅,글...
[시장경제와정부] 정부의 시장개입의 실패 원인에 대한 소고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