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하는 데 많은 어려움이 있었을 것이다. 더욱이 카톨릭 신앙이 지배적인 환경에서 개신교가 신용을 얻고 성장해 가기란 매우 험난한 것이었다.
파라과이의 1870년도 헌법에는 종교자유를 보증했지만 1940년도에는 단지 종교에 대한 관용만 보증한다고 했다. 관용이란 신앙의 표현과 각종 예배, 교리 전파, 종교 행사 등에 제한을 둔다는 것을 선교사들은 잘 알아야만 한다. 무조건 전도하다 보면 큰 코를 다칠 수 있음을 알아야 한다. 그러므로 전도는 그 나라의 정서를 고려해야 할 것이다.
파라과이는 신앙의 자유에 대하여 투쟁을 해 온 나라이다. 미국의 역사신학자 라토렛교수는 파라과이 35년사 속에서 “남미의 다른 어떤 나라도 파라과이처럼 불행한 역사를 가진 나라는 없다. 그리고 다른 어떤 나라도 카톨릭이 파라과이처럼 신앙자유를 완고하게 반대한 나라도 없다”고 진술했다. 이것은 새로운 헌법이 채택되던 1948년부터 1967년까지를 말한다.
파라과이 개신교인들의 본질
개신교들 사이에서 “성서로 돌아가자”라고 하는 말은 일반화되었다. 파라과이 개신교의 외모를 볼 때는 초대교회의 형상을 띠고 있다고 볼 수 있다. 개신교의 시작부터 오늘까지 교인들은 성서와 일치되어왔다. 그리고 극소수의 예를 제외하고는 신자들에게 법과 교리만 보여주는 것이 아니라 살아 계신 예수 그리스도를 볼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영적 생활은 이들에게 있어서 절대적인 가치이며 어느 무엇도 그것 위에 둘 수 없다. 파라과이 개신교 전통은 초대교회와 흡사하며 또한 변함없는 예수그리스도의 전도로 들떠 있다.
파라과이 기독교의 미래와 전망
1980년부터의 교회 성장은 95.2%로 볼 수 있다. 이것은 일년에 13.5%꼴이 된다. 이 리듬이 계속 이어진다면 앞으로 상당히 증가한 교세를 가질 것이 분명하다. 1987년에 조사한 인구조사 결과에 의하면 97%가 카톨리 신자이며 기독교인은 약 3%를 차지하고 있었지만, 가장 최근에 실시된 인구조사(2002년)에 의하면 파라과이의 카톨릭 신자는 89.5%, 개신교사 4.6%, 기타 종교가 4,8%, 무교가 1,1%로 나타났다. 이 결과로 본다면 너지 않아 파라과이인 선교사를 외국에 파송할 수 있을 것을 상상해 본다. 파라과이의 목표는 멀리 있지 않다.
파라과이 선교사
주요 선교단체는 NTM(72명의 사역자), SBC(36), German Indian Pioneer Mission(29), AoG(24), SAMS(21), SIM(12)이다. 이외에도 51명의 한국 선교사와 49명의 브라질 선교사가 있다.
정금태·이복래 선교사님(정 헌, 정 철, 정다운)
- 교회사역
- 학교사역
<설립 동기>
남미 23개국 중에서도 문화나 교육 수준이나 생활
GNP가 20번째를 넘는 곳이 다 파라과이는 문교부
교육통계를 보면 국민학교를 전체 어린이의 70%만
입학하고 그 중 40%만 고등 학교를 졸업한다고
말한다 교육수준이 너무 낮을 뿐 아니라 상용언어인 스페인어를 쓰되 도시를 벗어나거나 30세 이상 정도면 이 나라 고유의 언어인 과라니를 많이쓰기 때문에 선교사가 복음 을 전할려면 이 두 언어를 능가할 방법을 기도중에 찾은 것이 학교 설립이었다
<설 립 목 적>
선교 사역의
1)제 일번은 복음을 전하여 하나님께 영광을 돌리기 위함이요
2)수준이 너무 낮아서 낮은 수준에 있는 학생을 길러 그들을 키워서 장차 이 나라의 구석구 석에 복음을 전하여 내가 전하지 못하는 일을 하게 함이요
3)철저한 기독교 교육 훈련을 시켜 좋은 사역자를 길러서 복음을 전하게 함이다
<설 립 목 표>
유아원부터 대학까지 설립할 계획이어서 종교청으로 부터 대학까지 인가를 획 득하였고 현재 초등학교 4학년까지 가르치도 있다 7세까지 인격이 80% 자란다는 것에 비투어 보면서 유아원 유치원 교육을 철저하게 종교교육을 시키고 고등학교는 전국 각 학교 40곳에서 명석하고 신앙이 투철한 학생 1명씩 뽑아와 서 기숙사안에서 수도원 교육을 시켜 기능별로 대학 공부를 시켜 영적으로 깊 은 학생은 신학교로 보내어 전문적인 목사나 선교사로 만들고 그 외는 신학공부를 수료케 하여 평신도 선교사로 1년에 40명씩 파라과이 곳곳으로 가서 복음 을 전하게 할 예정이다
기도제목
1. 파라과이는 200년간에 걸친 폭정, 전쟁, 정부의 무능력으로 아직도 고통 가운데 있다. 정 부가 민주주의, 진리, 정의, 종교적 자유에 기반을 둔 국가제도와 기반을 구축하도록 기도 하자.
2. 로마 카톨릭 교회가 파라과이의 영적, 정치적 생활을 지배해 왔다. 미신을 믿는 전통, 잡 신들의 속박과 관습은 많은 사람이 주 예수 안에서 자유를 누리지 못하도록 방해하고 있 다. 이러한 속박은 기도를 통해 깨어져야 한다.
3. 선교사의 도움이 필요하다. 파라과이 형제들과 겸손히 협력하며 현지인 지도자들에게 힘 이 되어줄 사람들이 필요하다. 사역자가 주로 필요한 사역은 교회개척, 지도자 훈련, 성 경번역이다.
4. 이 땅의 정치인들안에 부정부패가 사라지고 투명하고 공의로운 정치를 할 수 있도록 기 도하자.
5. 많은 이단들과 수많은 우상숭배로 인해 영적으로 혼탁해져 있는 이 땅에 하나님의 말씀 의 진리가 널리 퍼질 수 있도록 기도하자.
9. 선교전략
1. 지역개발을 통한 선교(우물사역)
열악한 농촌지역의 기초 생활 수준을 높여 줌으로 복음에 수용성이 될 수 있다. 시골에 우물을 파 줌으로 복음의 수용성을 높일 수 있다. 대부분 농촌지역에는 물이 부족한 상황 이다. (우물 하나 파는 비용 $ 1,500 )
2. 교육을 통한 선교
파라과이에는 많은 이단들이 침투하고 있는데 파라과이 사람들은 교육수준이 낮고 기독교에 대한 관심이 부족하여 이단을 구별하지 못하고 있다. 일반교육과 성경공부를 같이 하여 로마 카톡릭의 잘못된 교리와 민간신앙에 내려오는 신앙, 이단들의 침투에 개신교의 올바를 진리를 알 수 있도록 하여 깨닫게 해야 한다.
3. 의료 선교 사역
이곳은 빈부격차가 심하여 계층이 낮은 지역의 사람들은 병원에 가기가 너무 경제적으로 힘든 상황이다. 선교사님들이 정기적으로 의료사역을 하고 계시지만 더 많이 필요하고 복음전도의 도구로 사용될 수 있다.
파라과이의 1870년도 헌법에는 종교자유를 보증했지만 1940년도에는 단지 종교에 대한 관용만 보증한다고 했다. 관용이란 신앙의 표현과 각종 예배, 교리 전파, 종교 행사 등에 제한을 둔다는 것을 선교사들은 잘 알아야만 한다. 무조건 전도하다 보면 큰 코를 다칠 수 있음을 알아야 한다. 그러므로 전도는 그 나라의 정서를 고려해야 할 것이다.
파라과이는 신앙의 자유에 대하여 투쟁을 해 온 나라이다. 미국의 역사신학자 라토렛교수는 파라과이 35년사 속에서 “남미의 다른 어떤 나라도 파라과이처럼 불행한 역사를 가진 나라는 없다. 그리고 다른 어떤 나라도 카톨릭이 파라과이처럼 신앙자유를 완고하게 반대한 나라도 없다”고 진술했다. 이것은 새로운 헌법이 채택되던 1948년부터 1967년까지를 말한다.
파라과이 개신교인들의 본질
개신교들 사이에서 “성서로 돌아가자”라고 하는 말은 일반화되었다. 파라과이 개신교의 외모를 볼 때는 초대교회의 형상을 띠고 있다고 볼 수 있다. 개신교의 시작부터 오늘까지 교인들은 성서와 일치되어왔다. 그리고 극소수의 예를 제외하고는 신자들에게 법과 교리만 보여주는 것이 아니라 살아 계신 예수 그리스도를 볼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영적 생활은 이들에게 있어서 절대적인 가치이며 어느 무엇도 그것 위에 둘 수 없다. 파라과이 개신교 전통은 초대교회와 흡사하며 또한 변함없는 예수그리스도의 전도로 들떠 있다.
파라과이 기독교의 미래와 전망
1980년부터의 교회 성장은 95.2%로 볼 수 있다. 이것은 일년에 13.5%꼴이 된다. 이 리듬이 계속 이어진다면 앞으로 상당히 증가한 교세를 가질 것이 분명하다. 1987년에 조사한 인구조사 결과에 의하면 97%가 카톨리 신자이며 기독교인은 약 3%를 차지하고 있었지만, 가장 최근에 실시된 인구조사(2002년)에 의하면 파라과이의 카톨릭 신자는 89.5%, 개신교사 4.6%, 기타 종교가 4,8%, 무교가 1,1%로 나타났다. 이 결과로 본다면 너지 않아 파라과이인 선교사를 외국에 파송할 수 있을 것을 상상해 본다. 파라과이의 목표는 멀리 있지 않다.
파라과이 선교사
주요 선교단체는 NTM(72명의 사역자), SBC(36), German Indian Pioneer Mission(29), AoG(24), SAMS(21), SIM(12)이다. 이외에도 51명의 한국 선교사와 49명의 브라질 선교사가 있다.
정금태·이복래 선교사님(정 헌, 정 철, 정다운)
- 교회사역
- 학교사역
<설립 동기>
남미 23개국 중에서도 문화나 교육 수준이나 생활
GNP가 20번째를 넘는 곳이 다 파라과이는 문교부
교육통계를 보면 국민학교를 전체 어린이의 70%만
입학하고 그 중 40%만 고등 학교를 졸업한다고
말한다 교육수준이 너무 낮을 뿐 아니라 상용언어인 스페인어를 쓰되 도시를 벗어나거나 30세 이상 정도면 이 나라 고유의 언어인 과라니를 많이쓰기 때문에 선교사가 복음 을 전할려면 이 두 언어를 능가할 방법을 기도중에 찾은 것이 학교 설립이었다
<설 립 목 적>
선교 사역의
1)제 일번은 복음을 전하여 하나님께 영광을 돌리기 위함이요
2)수준이 너무 낮아서 낮은 수준에 있는 학생을 길러 그들을 키워서 장차 이 나라의 구석구 석에 복음을 전하여 내가 전하지 못하는 일을 하게 함이요
3)철저한 기독교 교육 훈련을 시켜 좋은 사역자를 길러서 복음을 전하게 함이다
<설 립 목 표>
유아원부터 대학까지 설립할 계획이어서 종교청으로 부터 대학까지 인가를 획 득하였고 현재 초등학교 4학년까지 가르치도 있다 7세까지 인격이 80% 자란다는 것에 비투어 보면서 유아원 유치원 교육을 철저하게 종교교육을 시키고 고등학교는 전국 각 학교 40곳에서 명석하고 신앙이 투철한 학생 1명씩 뽑아와 서 기숙사안에서 수도원 교육을 시켜 기능별로 대학 공부를 시켜 영적으로 깊 은 학생은 신학교로 보내어 전문적인 목사나 선교사로 만들고 그 외는 신학공부를 수료케 하여 평신도 선교사로 1년에 40명씩 파라과이 곳곳으로 가서 복음 을 전하게 할 예정이다
기도제목
1. 파라과이는 200년간에 걸친 폭정, 전쟁, 정부의 무능력으로 아직도 고통 가운데 있다. 정 부가 민주주의, 진리, 정의, 종교적 자유에 기반을 둔 국가제도와 기반을 구축하도록 기도 하자.
2. 로마 카톨릭 교회가 파라과이의 영적, 정치적 생활을 지배해 왔다. 미신을 믿는 전통, 잡 신들의 속박과 관습은 많은 사람이 주 예수 안에서 자유를 누리지 못하도록 방해하고 있 다. 이러한 속박은 기도를 통해 깨어져야 한다.
3. 선교사의 도움이 필요하다. 파라과이 형제들과 겸손히 협력하며 현지인 지도자들에게 힘 이 되어줄 사람들이 필요하다. 사역자가 주로 필요한 사역은 교회개척, 지도자 훈련, 성 경번역이다.
4. 이 땅의 정치인들안에 부정부패가 사라지고 투명하고 공의로운 정치를 할 수 있도록 기 도하자.
5. 많은 이단들과 수많은 우상숭배로 인해 영적으로 혼탁해져 있는 이 땅에 하나님의 말씀 의 진리가 널리 퍼질 수 있도록 기도하자.
9. 선교전략
1. 지역개발을 통한 선교(우물사역)
열악한 농촌지역의 기초 생활 수준을 높여 줌으로 복음에 수용성이 될 수 있다. 시골에 우물을 파 줌으로 복음의 수용성을 높일 수 있다. 대부분 농촌지역에는 물이 부족한 상황 이다. (우물 하나 파는 비용 $ 1,500 )
2. 교육을 통한 선교
파라과이에는 많은 이단들이 침투하고 있는데 파라과이 사람들은 교육수준이 낮고 기독교에 대한 관심이 부족하여 이단을 구별하지 못하고 있다. 일반교육과 성경공부를 같이 하여 로마 카톡릭의 잘못된 교리와 민간신앙에 내려오는 신앙, 이단들의 침투에 개신교의 올바를 진리를 알 수 있도록 하여 깨닫게 해야 한다.
3. 의료 선교 사역
이곳은 빈부격차가 심하여 계층이 낮은 지역의 사람들은 병원에 가기가 너무 경제적으로 힘든 상황이다. 선교사님들이 정기적으로 의료사역을 하고 계시지만 더 많이 필요하고 복음전도의 도구로 사용될 수 있다.
추천자료
봉사활동 소감문
공교육기관에서의 종교활동의 가능성과 한계
[감리교][감리교회][감리][기독교][신학][교육사업][의료사업][봉사활동]감리교회의 등장배경...
주부 자원봉사활동의 활성화 방안
청소년문화활동의 문제점과개선방안
글로벌 물류활동
[교회][교회 역사][교회 원칙][교회 지도력][교회 사회봉사활동][교회 문제점][교회 과제]교...
야외활동과 안전교육 교제 요약 및 꿈너머 꿈 강연 소감문
여성자원봉사활동의 역사, 프로그램, 필요성, 의의
청소년 자원봉사활동의 실시 배경과 특성을 기술하고 주요 과제와 활성화 방안에 대해 기술
[다문화사회복지] 한국의 국제사회복지 - 한국 내 국제사회복지의 태동, 한국전쟁과 국제사회...
[다문화사회복지] 국제사회복지의 태동과 발전상 - 국제사회복지활동의 태동 배결, 민간 국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