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아교육과=교육평가=아래 사항에 근거하여 만 3세의 유아의 ‘사회적응능력’ 평정척도 검사도구를 제작하여 제출하시오.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유아교육과=교육평가=아래 사항에 근거하여 만 3세의 유아의 ‘사회적응능력’ 평정척도 검사도구를 제작하여 제출하시오.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서론
본론
결론

본문내용

된다.
결론: 유아 ‘사회적응능력’ 척도의 의의와 한계
기존의 유아에 관한 척도들은 지능에 한정되어 있었기 때문에 유아의 ‘사회적응능력’을 측정한 것은 매우 의의가 높다고 볼 수 있다. 언어적 능력이 떨어지는 유아를 대상으로 어떤 식으로 사회에 적응하고 사회성이 좋은지를 밝혀내는 것은 중요한 의의라고 생각된다. 더 정밀한 검사를 위하여 단순히 보호자의 응답뿐만 아니라 다양한 사람들과의 관계를 통해 분석하는 것은 긍정적으로 받아들여진다.
그러나 본 척도에는 여러 가지 한계가 있다. 첫 번째로, 일반적으로 척도를 만들기 위해서는 만들고자 하는 문항수의 세 배를 만들고 파일럿 테스트를 돌린 후 요인 분석 등 통계적 기법을 사용하여 척도를 구성해야 한다. 그러나 시간적 한계로 인하여 본 절차를 겪지 못했기 때문에 정확하지 못하다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또한 사회적응능력 척도는 기존의 K-CBCL만을 참고하였기 때문에 타당도와 신뢰도가 떨어진다는 비판을 받을 수 있을 것이다. 마지막으로 어떤 기준으로 평가를 할지 모호하다는 것이다. 유아의 행동을 분석할 경우 명확한 기준을 제시해주어야 하지만 시간의 부족으로 인하여 세밀한 기준을 제공할 수 없었다는 점이 단점이다.
많은 한계에도 불구하고 새로운 시도를 했다는 점에서 긍정적으로 받아들여지며 이를 보완하여 더 정확한 유아의 사회적응능력 척도를 개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이번에 제작된 유아의 사회적응능력척도를 바탕으로 단순히 응답자의 자기보고로 분석하는 척도뿐만 아니라 행동관찰을 기반으로 하는 아동, 청소년 심지어 성인의 사회적응능력 척도를 개발되기를 희망한다.
  • 가격3,7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18.03.14
  • 저작시기2018.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4800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