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5. 상 징
1) 상징의 원리
2) 상징의 특성
3) 상징의 유형
6. 아이러니
1) 아이러니의 원리
2) 아이러니의 특성
3) 아이러니의 유형
7. 역 설
1) 역설의 원리
2) 역설의 특징
3) 역설의 유형
8. 의 유
1) 의인법
2) 의성법
3) 의태법
9. 대유 - 우유 - 언어유희
1) 대 유
2) 우 유
3) 언어유희
1) 상징의 원리
2) 상징의 특성
3) 상징의 유형
6. 아이러니
1) 아이러니의 원리
2) 아이러니의 특성
3) 아이러니의 유형
7. 역 설
1) 역설의 원리
2) 역설의 특징
3) 역설의 유형
8. 의 유
1) 의인법
2) 의성법
3) 의태법
9. 대유 - 우유 - 언어유희
1) 대 유
2) 우 유
3) 언어유희
본문내용
랑의 증오’등과 같은 것들이다.
이것은 소리없는 아우성 (유치환, 「깃발」)
나는 아직 기다리고 있을테요
찬란한 슬픔의 봄을 (김영랑, 「모란이 피기까지는」)
이와 같이 시의 내면에 구조화되지 않고 시행의 표면에서 수식적인 차원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표층적 역설이다.
존재론적 역설
존재론적 역설은 인간 존재에 관한 초월적 진리를 내표하는 역설이다. 이는 의미 있는 개연성의 제시에 있어서 신비스럽고 사변적이기에 난해한 느낌을 주며 궁극적으로 형이상학적 깨달음을 목적으로 한다. Wheelwright는 이 존재론적 역설의 예로 T. S. Eliot의 「4중주」에 나오는‘시간을 정복하는 것은 시간뿐이다’, ‘우리의 유일한 건강은 질병뿐이다’와 같은 표현을 들고 있다.
C. Brooks는 역설의 언어가 일상세계의 차원에서 벗어나 초월적 의미의 세계로 진입한다는 점에서 종교의 언어와 일치하는 것으로 보고 있다. 가령 기도교의 경우‘나중된 자가 먼저 된다’, 불교의 경우 ‘色是空 空是色’과 같은 표현이 역설에 해당되는 것이다.
시적 역설
시적 역설은 작품의 구조적 의미가 반영된 역설로서 표면진술과 그것이 암시하는 내적 의미 사이에 구조적 모순이 있는 경우이다. 표면적 의미와 정반대되는 의미를 내면화시키고 이 모순의 관계에서 야기되는 의미론적 긴장 속에서 시적 가치를 창조한다. 시적 역설은 시의 여러 이미져리의 층위에 잠재해 있는 암시를 통하여 진정한 의미를 드러내는 것이다. 시인 김소월의 「먼 後日」은 바로 그 좋은 예이다.
8. 의유
1) 의인법
의인법의 원리
생물이나 무생물 또는 추상개념을 인격화시키거나 무생물에게 생물적 속성을 부여하는 정령화의 기법을 통칭 의인법이라 한다. 특히 후자의 경우를 구별하여 活喩라고도 부른다. ‘진달래가 방긋 웃는다’는 전자의 예이고, ‘청산이 깃을 친다’는 후자의 예이다.
의인법은 비인격적인 것을 인격적인 것으로 전이한다는 점에서 은유의 변형으로 볼 수 있다. Frederick은“의인법은 단순히 은유의 한 변형이다. 보통 은유가 대상과 대상 사이의 융합인데 비해서 의인법은 대상과 인간 사이의 융합이다. 이러한 종류의 융합은 특별히 원시적 상상력의 특성이었다.”
의인법의 유형
의인법의 유형으로는 불완전 의인법, 완전 의인법, 추상적 의인법 등이 있다.
① 불완전 의인법은 의인화가 철저하지 못하고 인격성이 단지 연상에 의해 시사되는 의인법 이다. 따라서 인격적 이미지가 전체적으로 선명하게 드러나지 못한다.
② 완전 의인법은 의인화가 철저하게 이루어진 경우를 뜻한다. 대상에 인격 부여가 완벽하 게 이루어져 하나의 독립된 인격체로서 성격을 드러낸다. 따라서 대상의 인격이 전체적 으로 선명하게 부각된다.
③ 추상적 의인법은 추상적인 개념 즉 진리, 사랑, 희망, 이상과 같은 추상어가 의인화되는 경우이다. 가령‘희망의 손짓’, ‘역사의 눈’과 같은 표현이 그 예이다.
2) 의성법
擬聲法은 사물의 음성상징을 통하여 시적 효과를 제고시키는 방법이다. 즉 표현하려는 대상의 소리. 동작, 상태, 내용을 유사한 음성으로 직접 묘사하고 표현하는 것이다.
H. Read는 이 음성상징을 언어의 음성과 사물의 소리 또는 실물의 모양과의 결합 관계의 정도에 따라서 세 가자로 분류하였다.
① 단순한 의성어가 있는데 새울음 소리를 찍찍찍, 삐이삐이, 뱃종뱃종 하는 식으로 묘사한 다든지, 물소리를 콸콸, 줄줄줄과 같이 표현하는 것이다.
② 묘사의 대상이 되는 동작을 흉내내기 위하여 입술, 혀, 이 등을 움직이는데 덧붙이는 암 시적 음이 있는 경우인데, ‘소곤소곤’, ‘쑥덕쑥덕’ 등이 그 예이다.
③ 음은 비슷하지 않으나 암시적인 것이 있다. 예를 들어 「유산가」에서 ‘遠山은 첩첩, 태 산은 주춤하야, 奇岩은 층층, 長松은 落落’과 같은 표현이 그것이다.
3) 의태어
擬態法은 주로 사물의 모양이나 동작을 흉내낸 것이다. 의태법은 동요, 동화 같은 데서 많이 쓰이는데 이로 볼 때 의태법이 소박하고 원초적인 표현방법임을 알 수 있다.
9. 대유 - 우유 - 언어유희
1) 대유
代喩는 어떤 사물을 다른 어떤 이름으로 대신하는 비유이다. 여기에는 換喩, 提喩, 引喩 등이 있다.
① 환유는 어떤 사물을 그 속성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명칭으로 대신하는 수사법이다. 원 인으로 결과를 나타낸다든지, 내용을 표지나 容器로 나타내서 그 실체를 암시하는 방법 이다. 별(장군), 간판(얼굴), 대포(막걸리) 등이 그 예이다.
② 제유는 어떤 사물을 그 부분으로 전체를 대표하는 비유이다. 가령 돛(배), 일손(노동자) 와 같은 표현이 그 예이다.
③ 인유는 고대의 신화, 전설, 고전, 역사, 聖書, 古事 등에서 널리 알려진 인물, 스토리, 시 구 등을 인용하여 쓰는 비유이다. 인유에는 明引琺과 暗引法이 있는데, 명인는 인용된 부분을 인용부호로써 직접 밝히는 것이고 암인은 그것을 밝히지 않고 인용하는 것이다.
2) 우유
寓喩는 본래의 뜻을 숨기고 다만 비유하는 말만 내세워 숨겨져 있는 본래의 뜻을 암시하는 표현법이다. 이면에 숨긴 의미가 풍자적으로 암시 되는데 우유의 특징이 있다. 우유는 비유의 입체사진이라 할 만큼 포괄적인 것이므로 irony, paradox, humor 등이 부대조건처럼 따라 다녀 표현효과를 높이고 있다.
알레고리와 의유의 차이는 알레고리가 의유의 과정을 거치지만 의유는 무생물의 생물화, 생명의 인격화 그자체로서 끝나는 수가 많음에 비해, 알레고리는 한걸음 더 나아가 그것을 다만 보조관념으로 삼아 숨겨진 원관념을 더욱 날카로운 비수가 되도록 하는 것이다.
3) 언어유희
언어유희는 다른 의미를 암시하기 위한 말이나 다른 의미를 가진 같은 소리의 말을 해학적으로 사용하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언어유희는 機智와 지적인 광채가 나타나고 풍자적 분위기를 갖는다.
K. Beckson은 『문학용어안내』에서 언어유희를 ① 두 개의 뜻을 가진 단어의 사용(son은 아들과 christ의 뜻이 있음) ② 달리 표기되지만 같은 발음을 가진 단어의 사용(社長과 誤沙長, 再婚과 再混) ③ 꼭같이 표기되고 발음되지만 다른 뜻을 가진 단어(배과일, 신체, 교통수단)의 활용으로 나누고 있다.
이것은 소리없는 아우성 (유치환, 「깃발」)
나는 아직 기다리고 있을테요
찬란한 슬픔의 봄을 (김영랑, 「모란이 피기까지는」)
이와 같이 시의 내면에 구조화되지 않고 시행의 표면에서 수식적인 차원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표층적 역설이다.
존재론적 역설
존재론적 역설은 인간 존재에 관한 초월적 진리를 내표하는 역설이다. 이는 의미 있는 개연성의 제시에 있어서 신비스럽고 사변적이기에 난해한 느낌을 주며 궁극적으로 형이상학적 깨달음을 목적으로 한다. Wheelwright는 이 존재론적 역설의 예로 T. S. Eliot의 「4중주」에 나오는‘시간을 정복하는 것은 시간뿐이다’, ‘우리의 유일한 건강은 질병뿐이다’와 같은 표현을 들고 있다.
C. Brooks는 역설의 언어가 일상세계의 차원에서 벗어나 초월적 의미의 세계로 진입한다는 점에서 종교의 언어와 일치하는 것으로 보고 있다. 가령 기도교의 경우‘나중된 자가 먼저 된다’, 불교의 경우 ‘色是空 空是色’과 같은 표현이 역설에 해당되는 것이다.
시적 역설
시적 역설은 작품의 구조적 의미가 반영된 역설로서 표면진술과 그것이 암시하는 내적 의미 사이에 구조적 모순이 있는 경우이다. 표면적 의미와 정반대되는 의미를 내면화시키고 이 모순의 관계에서 야기되는 의미론적 긴장 속에서 시적 가치를 창조한다. 시적 역설은 시의 여러 이미져리의 층위에 잠재해 있는 암시를 통하여 진정한 의미를 드러내는 것이다. 시인 김소월의 「먼 後日」은 바로 그 좋은 예이다.
8. 의유
1) 의인법
의인법의 원리
생물이나 무생물 또는 추상개념을 인격화시키거나 무생물에게 생물적 속성을 부여하는 정령화의 기법을 통칭 의인법이라 한다. 특히 후자의 경우를 구별하여 活喩라고도 부른다. ‘진달래가 방긋 웃는다’는 전자의 예이고, ‘청산이 깃을 친다’는 후자의 예이다.
의인법은 비인격적인 것을 인격적인 것으로 전이한다는 점에서 은유의 변형으로 볼 수 있다. Frederick은“의인법은 단순히 은유의 한 변형이다. 보통 은유가 대상과 대상 사이의 융합인데 비해서 의인법은 대상과 인간 사이의 융합이다. 이러한 종류의 융합은 특별히 원시적 상상력의 특성이었다.”
의인법의 유형
의인법의 유형으로는 불완전 의인법, 완전 의인법, 추상적 의인법 등이 있다.
① 불완전 의인법은 의인화가 철저하지 못하고 인격성이 단지 연상에 의해 시사되는 의인법 이다. 따라서 인격적 이미지가 전체적으로 선명하게 드러나지 못한다.
② 완전 의인법은 의인화가 철저하게 이루어진 경우를 뜻한다. 대상에 인격 부여가 완벽하 게 이루어져 하나의 독립된 인격체로서 성격을 드러낸다. 따라서 대상의 인격이 전체적 으로 선명하게 부각된다.
③ 추상적 의인법은 추상적인 개념 즉 진리, 사랑, 희망, 이상과 같은 추상어가 의인화되는 경우이다. 가령‘희망의 손짓’, ‘역사의 눈’과 같은 표현이 그 예이다.
2) 의성법
擬聲法은 사물의 음성상징을 통하여 시적 효과를 제고시키는 방법이다. 즉 표현하려는 대상의 소리. 동작, 상태, 내용을 유사한 음성으로 직접 묘사하고 표현하는 것이다.
H. Read는 이 음성상징을 언어의 음성과 사물의 소리 또는 실물의 모양과의 결합 관계의 정도에 따라서 세 가자로 분류하였다.
① 단순한 의성어가 있는데 새울음 소리를 찍찍찍, 삐이삐이, 뱃종뱃종 하는 식으로 묘사한 다든지, 물소리를 콸콸, 줄줄줄과 같이 표현하는 것이다.
② 묘사의 대상이 되는 동작을 흉내내기 위하여 입술, 혀, 이 등을 움직이는데 덧붙이는 암 시적 음이 있는 경우인데, ‘소곤소곤’, ‘쑥덕쑥덕’ 등이 그 예이다.
③ 음은 비슷하지 않으나 암시적인 것이 있다. 예를 들어 「유산가」에서 ‘遠山은 첩첩, 태 산은 주춤하야, 奇岩은 층층, 長松은 落落’과 같은 표현이 그것이다.
3) 의태어
擬態法은 주로 사물의 모양이나 동작을 흉내낸 것이다. 의태법은 동요, 동화 같은 데서 많이 쓰이는데 이로 볼 때 의태법이 소박하고 원초적인 표현방법임을 알 수 있다.
9. 대유 - 우유 - 언어유희
1) 대유
代喩는 어떤 사물을 다른 어떤 이름으로 대신하는 비유이다. 여기에는 換喩, 提喩, 引喩 등이 있다.
① 환유는 어떤 사물을 그 속성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명칭으로 대신하는 수사법이다. 원 인으로 결과를 나타낸다든지, 내용을 표지나 容器로 나타내서 그 실체를 암시하는 방법 이다. 별(장군), 간판(얼굴), 대포(막걸리) 등이 그 예이다.
② 제유는 어떤 사물을 그 부분으로 전체를 대표하는 비유이다. 가령 돛(배), 일손(노동자) 와 같은 표현이 그 예이다.
③ 인유는 고대의 신화, 전설, 고전, 역사, 聖書, 古事 등에서 널리 알려진 인물, 스토리, 시 구 등을 인용하여 쓰는 비유이다. 인유에는 明引琺과 暗引法이 있는데, 명인는 인용된 부분을 인용부호로써 직접 밝히는 것이고 암인은 그것을 밝히지 않고 인용하는 것이다.
2) 우유
寓喩는 본래의 뜻을 숨기고 다만 비유하는 말만 내세워 숨겨져 있는 본래의 뜻을 암시하는 표현법이다. 이면에 숨긴 의미가 풍자적으로 암시 되는데 우유의 특징이 있다. 우유는 비유의 입체사진이라 할 만큼 포괄적인 것이므로 irony, paradox, humor 등이 부대조건처럼 따라 다녀 표현효과를 높이고 있다.
알레고리와 의유의 차이는 알레고리가 의유의 과정을 거치지만 의유는 무생물의 생물화, 생명의 인격화 그자체로서 끝나는 수가 많음에 비해, 알레고리는 한걸음 더 나아가 그것을 다만 보조관념으로 삼아 숨겨진 원관념을 더욱 날카로운 비수가 되도록 하는 것이다.
3) 언어유희
언어유희는 다른 의미를 암시하기 위한 말이나 다른 의미를 가진 같은 소리의 말을 해학적으로 사용하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언어유희는 機智와 지적인 광채가 나타나고 풍자적 분위기를 갖는다.
K. Beckson은 『문학용어안내』에서 언어유희를 ① 두 개의 뜻을 가진 단어의 사용(son은 아들과 christ의 뜻이 있음) ② 달리 표기되지만 같은 발음을 가진 단어의 사용(社長과 誤沙長, 再婚과 再混) ③ 꼭같이 표기되고 발음되지만 다른 뜻을 가진 단어(배과일, 신체, 교통수단)의 활용으로 나누고 있다.
추천자료
한국근현대사 좌우합작운동 분석
현대한국정치의 전개와 평가 - 손호철 ‘현대한국정치’를 읽고
한국현대작가론 - 전상국론
[한국문학사, 현대문학사, 한국현대문학사] 한국현대문학사 완벽정리 서브노트
한국현대문학사 <1930년대 문학>
2009년 2학기 현대시론 기말시험 핵심체크
2011년 2학기 현대시론 기말시험 핵심체크
2012년 2학기 현대시론 기말시험 핵심체크
한국현대문학사 (권영민) 1-2권 정리
2015년 2학기 현대시론 교재 전 범위 핵심요약노트
2015년 2학기 현대시론 중간시험과제물 공통(시집 한권을 선택하여 감상문 쓰기)
권영민,한국현대문학사1권 제1장 요약-한국 근대문학의 성립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