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콜버그의 도덕성 발달이론과 그 교육적 시사점
1. 콜버그의 도덕성 발달이론
1) 배경
2) 콜버그의 도덕성 발달이론
2. 도덕발달의 세 가지 수준
1) 전 인습적 수준
2) 인습적 수준
3) 후 인습적 수준
3. 교육적 시사점
Ⅲ. 계속적 강화와 간헐적 강화의 유용성과, 네 가지 강화계획에 대한 실생활의 예
1. 강화의 정의
1)강화란?
2. 계속적 강화와 간헐적 강화의 유용성
1) 계속적 강화의 유용성
2) 간헐적 강화의 유용성
3. 네 가지 강화계획과 실생활의 예
1) 고정간격 강화계획와 예시
2) 변동간격 강화계획와 예시
3) 고정비율 강화계획와 예시
4) 변동비율 강화계획와 예시
Ⅳ. 결론
Ⅴ. 참고문헌
Ⅱ. 콜버그의 도덕성 발달이론과 그 교육적 시사점
1. 콜버그의 도덕성 발달이론
1) 배경
2) 콜버그의 도덕성 발달이론
2. 도덕발달의 세 가지 수준
1) 전 인습적 수준
2) 인습적 수준
3) 후 인습적 수준
3. 교육적 시사점
Ⅲ. 계속적 강화와 간헐적 강화의 유용성과, 네 가지 강화계획에 대한 실생활의 예
1. 강화의 정의
1)강화란?
2. 계속적 강화와 간헐적 강화의 유용성
1) 계속적 강화의 유용성
2) 간헐적 강화의 유용성
3. 네 가지 강화계획과 실생활의 예
1) 고정간격 강화계획와 예시
2) 변동간격 강화계획와 예시
3) 고정비율 강화계획와 예시
4) 변동비율 강화계획와 예시
Ⅳ. 결론
Ⅴ. 참고문헌
본문내용
에 달해있을 때 주어지는 보상이 바로 월급이다. 한 달 동안 고생한 자신에게 주어진 보수를 받으면 그간 받았던 피로도 사라지는 기분이 든다. 이 강화계획은 정해진 시간 간격(위 예시에서는 한 달)의 보상이 주어지는 시기 즈음인 마지막에 높은 반응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2) 변동간격 강화계획와 예시
변동간격 강화계획이란 “평균적으로 일정한 시간이 지난 후에 한 반응을 강화하는 방법”을 말한다. 시간 간격을 변화하여 유기체는 정확한 시점을 인지하지 못한다. 예를 들면 쪽지시험을 들 수 있다. 일주일에 한 번씩 그동안 배운 내용을 쪽지시험을 보는 교수가 있다고 하자. 교수의 강의는 주에 3일이 편성되어 있는데 그 중 어느 날에 시험을 볼지는 알 수 없다. 그렇다면 학생들은 언제가 될지 모르는 시험 날을 위해 평상시 그 과목을 공부하게 된다. 중간이나 기말처럼 정해진 날짜가 아니기에 쪽지시험을 잘 보기 위해선 꾸준한 노력을 요구하게 된다. 이 강화계획은 반응학습이 느릴지는 몰라도 지속적인 반응을 보여준다는 데에 강점이 있다.
3) 고정비율 강화계획와 예시
고정비율 강화계획이란 “가장 단순한 강화계획으로써 유기체가 고정된 반응 수를 충족할 때 결과를 제시하는 방법”이라고 정의된다. 본인의 경험에 따른 예로써는 과거에 콩쿠르 준비를 위해 피아노를 연습했던 시기를 들 수 있다. 중요한 대회인 만큼 평소의 연습량보다 많은 연습이 요구되었는데 당시는 나이가 어렸기에 끈기가 부족했다. 그래서 피아노 선생님께서는 열 번의 연습을 마치면 10분을 쉴 수 있게 해준다는 제안을 하셨다. 열 번의 연습 끝에 10분간의 휴식 동안 친구와 잡담을 나누기도 했지만 대체로 아무것도 하지 않으며 가만히 앉아있던 기억이 있다. 예시에서 찾아볼 수 있듯이 이 강화계획에서는 강화물을 부여받으면 잠깐은 미반응 상태에 머물게 되는데 이를 ‘강화 후 휴지’라고 정의한다. 특징으로는 빠른 반응속도를 들 수 있는데 연습을 하기 싫어 미적대던 본인에게 10분의 휴식이라는 강화물 제안을 받은 뒤 열 번의 연습을 바로 시도한 모습에서 찾아볼 수 있다.
4) 변동비율 강화계획와 예시
변동비율 강화계획이란 “유기체의 강화를 위한 반응 수가 평균을 중심으로 변동”하는 것을 말한다. 고정비율 강화계획의 예시와 비교해보면 열 번의 연습을 한 번만 하면 강화물을 받을 때도 있고 세 번을 해야 강화를 부여받을 때도 있음을 뜻한다. 이 계획의 예로는 주식을 들 수 있다. 주식을 구매 후 이익을 보게 되면 주식의 세계에 흥미가 생기게 되고 또다시 이익을 볼 수 있다고 생각해 자본금을 늘려 주식을 사게 된다. 또 언제 이익을 얻을 수 있을지 알 수 없으므로 더 열중하게 되고 온종일 주식시장의 변동을 점검하기에 이른다. 이같이 언제 강화가 부여될지 알 수 없으므로 지속적인 반응이 나타나게 된다. 이 계획은 가장 빠르고 강하게 학습이 발생한다는 특징이 있다.
IV. 결론
이로써 크게 콜버그의 도덕성 발달이론과 계속적, 간헐적 강화, 네 가지의 강화계획에 대해 알아보았다. 콜버그의 도덕성 발달이론은 크게 플라톤의 덕과 피아제의 인지발달과 관련된 특성에 기초하여 확립된 이론이다. 이 이론은 문화에 상관없이 보편적이며 변하지 않는 속성을 가지고 있고 아동부터 성인기까지 총 세 개의 수준과 그 아래 6단계로 이루어져 있다. 이 이론이 구축된 연구 과정을 간단히 설명하자면 도덕적으로 딜레마에 휩싸일 수 있는 상황을 가정해 제시한 뒤 아동부터 성인까지 나잇대별로 어떠한 반응을 보이는지 그 반응의 이유를 연구하고 또 아동이 성인이 되기까지 어떻게 변화하였는지를 관찰한 것이다. 세 가지 수준에는 전 인습적 수준과 인습적 수준, 후 인습적 수준이 있으며 각 1, 2단계와 3, 4단계 그리고 5, 6단계로 세분화 가능하다. 단계가 낮을수록 아동에게서 나타나기 쉬운 반응이며 단계가 올라갈수록 보편적으로 성인에게서, 더 나아가 소수에게서만 보인다. 또 단계별로 정의된 이론의 확립으로 현대 교육에 있어 도움이 된 측면에 대해서도 알아보았다.
각 강화에 알아보기에 앞서 강화의 정의에 대해 알아보았는데 강화란 바른 행동에 따른 강화를 부여함으로써 그 행동의 발생 비율을 높이는 것을 말한다. 나아가 계속적 강화란 모든 행동에 대해 즉각적인 강화를 제공하는 것으로써 단기학습에 적합하다. 반면 간헐적 강화란 행동이 발생하여도 바로 강화가 제공되는 것이 아니라 비연속적으로 행해지는 것이다. 이는 행동을 꾸준히 지속한다는 장점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 네 가지 강화계획으로는 고정간격 강화계획, 변동간격 강화계획, 고정비율 강화계획, 변동비율 강화계획이 있다. 각 계획의 예시를 들어 설명하여 더욱 쉽게 위 계획들의 정의에 접근할 수 있었다. 더 나아가 알 수 있는 점은 강화계획을 통하여 학습의 성공률을 보다 높일 수 있고 학습자와 그 상황에 알맞게 강화계획을 세워 더 좋은 결과를 끌어 낼 수 있다.
V. 참고문헌
* 다음TIP, 도덕성 발달에 관한 이론, http://tip.daum.net/question/49751057 (2016-10-11)
* 마음백과, 아동발달이론, http://www.sangdam.kr/encyclopedia/cd/cdtheory/cdtheory5.html ,(2016-10-11)
* 나무위키, 하인츠 딜레마, https://namu.wiki/w/%ED%95%98%EC%9D%B8%EC%B8%A0%20%EB%94%9C%EB%A0%88%EB%A7%88, (2016-10-11)
* 위키백과, 도구적 조건화, https://ko.wikipedia.org/wiki/%EB%8F%84%EA%B5%AC%EC%A0%81_%EC%A1%B0%EA%B1%B4%ED%99%94 (2016-10-11)
* EDUINTRO, 강화계획의 네가지 각각의 개념
http://www.eduintro.net/bbs/view.php?id=lec31&page=4&sn1=&divpage=1&sn=off&ss=on&sc=on&select_arrange=hit&desc=asc&no=17&PHPSESSID=4148feca8d87bccd7a2190fb536b9403 (2016-10-11)
2) 변동간격 강화계획와 예시
변동간격 강화계획이란 “평균적으로 일정한 시간이 지난 후에 한 반응을 강화하는 방법”을 말한다. 시간 간격을 변화하여 유기체는 정확한 시점을 인지하지 못한다. 예를 들면 쪽지시험을 들 수 있다. 일주일에 한 번씩 그동안 배운 내용을 쪽지시험을 보는 교수가 있다고 하자. 교수의 강의는 주에 3일이 편성되어 있는데 그 중 어느 날에 시험을 볼지는 알 수 없다. 그렇다면 학생들은 언제가 될지 모르는 시험 날을 위해 평상시 그 과목을 공부하게 된다. 중간이나 기말처럼 정해진 날짜가 아니기에 쪽지시험을 잘 보기 위해선 꾸준한 노력을 요구하게 된다. 이 강화계획은 반응학습이 느릴지는 몰라도 지속적인 반응을 보여준다는 데에 강점이 있다.
3) 고정비율 강화계획와 예시
고정비율 강화계획이란 “가장 단순한 강화계획으로써 유기체가 고정된 반응 수를 충족할 때 결과를 제시하는 방법”이라고 정의된다. 본인의 경험에 따른 예로써는 과거에 콩쿠르 준비를 위해 피아노를 연습했던 시기를 들 수 있다. 중요한 대회인 만큼 평소의 연습량보다 많은 연습이 요구되었는데 당시는 나이가 어렸기에 끈기가 부족했다. 그래서 피아노 선생님께서는 열 번의 연습을 마치면 10분을 쉴 수 있게 해준다는 제안을 하셨다. 열 번의 연습 끝에 10분간의 휴식 동안 친구와 잡담을 나누기도 했지만 대체로 아무것도 하지 않으며 가만히 앉아있던 기억이 있다. 예시에서 찾아볼 수 있듯이 이 강화계획에서는 강화물을 부여받으면 잠깐은 미반응 상태에 머물게 되는데 이를 ‘강화 후 휴지’라고 정의한다. 특징으로는 빠른 반응속도를 들 수 있는데 연습을 하기 싫어 미적대던 본인에게 10분의 휴식이라는 강화물 제안을 받은 뒤 열 번의 연습을 바로 시도한 모습에서 찾아볼 수 있다.
4) 변동비율 강화계획와 예시
변동비율 강화계획이란 “유기체의 강화를 위한 반응 수가 평균을 중심으로 변동”하는 것을 말한다. 고정비율 강화계획의 예시와 비교해보면 열 번의 연습을 한 번만 하면 강화물을 받을 때도 있고 세 번을 해야 강화를 부여받을 때도 있음을 뜻한다. 이 계획의 예로는 주식을 들 수 있다. 주식을 구매 후 이익을 보게 되면 주식의 세계에 흥미가 생기게 되고 또다시 이익을 볼 수 있다고 생각해 자본금을 늘려 주식을 사게 된다. 또 언제 이익을 얻을 수 있을지 알 수 없으므로 더 열중하게 되고 온종일 주식시장의 변동을 점검하기에 이른다. 이같이 언제 강화가 부여될지 알 수 없으므로 지속적인 반응이 나타나게 된다. 이 계획은 가장 빠르고 강하게 학습이 발생한다는 특징이 있다.
IV. 결론
이로써 크게 콜버그의 도덕성 발달이론과 계속적, 간헐적 강화, 네 가지의 강화계획에 대해 알아보았다. 콜버그의 도덕성 발달이론은 크게 플라톤의 덕과 피아제의 인지발달과 관련된 특성에 기초하여 확립된 이론이다. 이 이론은 문화에 상관없이 보편적이며 변하지 않는 속성을 가지고 있고 아동부터 성인기까지 총 세 개의 수준과 그 아래 6단계로 이루어져 있다. 이 이론이 구축된 연구 과정을 간단히 설명하자면 도덕적으로 딜레마에 휩싸일 수 있는 상황을 가정해 제시한 뒤 아동부터 성인까지 나잇대별로 어떠한 반응을 보이는지 그 반응의 이유를 연구하고 또 아동이 성인이 되기까지 어떻게 변화하였는지를 관찰한 것이다. 세 가지 수준에는 전 인습적 수준과 인습적 수준, 후 인습적 수준이 있으며 각 1, 2단계와 3, 4단계 그리고 5, 6단계로 세분화 가능하다. 단계가 낮을수록 아동에게서 나타나기 쉬운 반응이며 단계가 올라갈수록 보편적으로 성인에게서, 더 나아가 소수에게서만 보인다. 또 단계별로 정의된 이론의 확립으로 현대 교육에 있어 도움이 된 측면에 대해서도 알아보았다.
각 강화에 알아보기에 앞서 강화의 정의에 대해 알아보았는데 강화란 바른 행동에 따른 강화를 부여함으로써 그 행동의 발생 비율을 높이는 것을 말한다. 나아가 계속적 강화란 모든 행동에 대해 즉각적인 강화를 제공하는 것으로써 단기학습에 적합하다. 반면 간헐적 강화란 행동이 발생하여도 바로 강화가 제공되는 것이 아니라 비연속적으로 행해지는 것이다. 이는 행동을 꾸준히 지속한다는 장점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 네 가지 강화계획으로는 고정간격 강화계획, 변동간격 강화계획, 고정비율 강화계획, 변동비율 강화계획이 있다. 각 계획의 예시를 들어 설명하여 더욱 쉽게 위 계획들의 정의에 접근할 수 있었다. 더 나아가 알 수 있는 점은 강화계획을 통하여 학습의 성공률을 보다 높일 수 있고 학습자와 그 상황에 알맞게 강화계획을 세워 더 좋은 결과를 끌어 낼 수 있다.
V. 참고문헌
* 다음TIP, 도덕성 발달에 관한 이론, http://tip.daum.net/question/49751057 (2016-10-11)
* 마음백과, 아동발달이론, http://www.sangdam.kr/encyclopedia/cd/cdtheory/cdtheory5.html ,(2016-10-11)
* 나무위키, 하인츠 딜레마, https://namu.wiki/w/%ED%95%98%EC%9D%B8%EC%B8%A0%20%EB%94%9C%EB%A0%88%EB%A7%88, (2016-10-11)
* 위키백과, 도구적 조건화, https://ko.wikipedia.org/wiki/%EB%8F%84%EA%B5%AC%EC%A0%81_%EC%A1%B0%EA%B1%B4%ED%99%94 (2016-10-11)
* EDUINTRO, 강화계획의 네가지 각각의 개념
http://www.eduintro.net/bbs/view.php?id=lec31&page=4&sn1=&divpage=1&sn=off&ss=on&sc=on&select_arrange=hit&desc=asc&no=17&PHPSESSID=4148feca8d87bccd7a2190fb536b9403 (2016-10-11)
키워드
추천자료
삐아제와 콜버그의 도덕성발달이론
[피아제][인지발달이론][도덕성발달이론]피아제(Piaget) 인지발달이론과 도덕성발달이론(피아...
초등학교 도덕과(도덕교육)의 특성, 초등학교 도덕과(도덕교육)의 도덕성발달이론, 초등학교 ...
[2014인간과교육] 1주입식교육관과 성장식교육관(자연주의교육관 진보주의교육관 실존주의교...
도덕성 발달에 대해 연구한 다양한 학자들(프로이트, 에릭슨, 피아제, 콜버그 등)의 이론들을...
[발달이론]프로이트(Freud) 성격발달이론, 에릭슨(Erikson) 정서발달이론, 피아제(Piaget) 인...
방통대 인간과교육) 주입식 교육관과 성장식교육관을 비교설명,그 교육적 시사점을 논하시오....
[인간과교육 2016] 1. 주입식교육관과 성장식교육관 자연주의교육관 진보주의교육관 실존주의...
[도덕성발달이론] 피아제, 콜버그, 길라건(길리간)의 도덕성발달이론
[도덕성발달이론] 콜버그의 도덕성 발달이론, 호프만의 이론(사회화이론)
[2016 인간과교육] 1 주입식교육관 성장식교육관 (자연주의교육관 진보주의교육관 실존주의교...
도덕성 발달이론(피아제, 콜버그, 길라건의 도덕성발달이론)
[도덕성발달] 콜버그와 피아제의 도덕성 발달이론 아동기 도덕성 발달 도덕성의 개념과 기능
[도덕성발달] 피아제와 콜버그의 도덕성 발달이론 셀만의 사회적 조망수용의 발달 데이먼의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