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관심있는 사건 소개(‘위대한 마법사 오즈’와 대공황기 뉴딜정책)
1) ‘위대한 마법사 오즈’에 나타난 시대적 배경
2) 미국 대공황과 뉴딜 정책
2. 장면을 담고 있는 소설, 영화 혹은 동화 분석
3. 사건의 분석과 평가
1) 위대한 오즈의 마법사 분석
2) 미국 대공황 분석
4. 감상평과 분석
Ⅲ. 결론
참고문헌
Ⅱ. 본론
1. 관심있는 사건 소개(‘위대한 마법사 오즈’와 대공황기 뉴딜정책)
1) ‘위대한 마법사 오즈’에 나타난 시대적 배경
2) 미국 대공황과 뉴딜 정책
2. 장면을 담고 있는 소설, 영화 혹은 동화 분석
3. 사건의 분석과 평가
1) 위대한 오즈의 마법사 분석
2) 미국 대공황 분석
4. 감상평과 분석
Ⅲ.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을 설립하여 경작면적을 줄이고 휴한지에 대해 보조금을 지급하여 농산물의 가격상승을 유도하는 정책을 시행하였다. 이는 주요 농산물의 생산제한으로 과잉생산을 없애고 농산물가격의 하락을 방지하여 균형가격을 회복하려는 의도에서였다. 또, 농민에게 자금 원조를 해줌으로써 농업구제에 대한 시도를 하였다.
대공황의 해결책으로 제시된 뉴딜정책과 이후 사회변화는 이런 시대 인식이 반영된 것이었다. 과잉 공급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뉴딜정책은 생산 제한과 소비 지지라는 두 가지 형태로 나타난다. 그러나 자본주의 경제체제에서 이윤 추구를 목적으로 하는 생산자에 대한 생산량 제한 조치는 단기적 미봉책은 될 수 있을지라도 장기적으로는 지속할 수 없는 정책이다. 결국 뉴딜정책의 핵심은 소비층의 확보로 귀결될 수밖에 없다. 실제로 현대 국가의 경제정책에는 복지정책이란 이름으로 뉴딜 정책의 흔적들이 곳곳에 남아있으며 이는 생산의 제한이 아닌 소비지지의 형태이다. 뉴딜정책의 개혁적 성격은 이러한 측면에서 평가되어야 한다.
즉 대공황의 해결책으로 등장한 뉴딜정책은 구빈정책이라는 시혜적 정책에서 수요창출을 위한 사회보장적 정책으로의 변화를 의미한다. 이는 단순한 정책의 변화만이 아닌 정책 대상에 대한 관점의 변화로 기존 경제적 주변인들의 사회적 여건이 개선된 여러 가지 증거들 중의 하나다. 그리고 이 시기 변화된 관점은 복지정책이란 이름으로 현대 사회에 까지 이어지며 영향을 미치고 있다.
4. 감상평과 분석
오즈의 마법사가 나올 당시 시대적 배경을 보자. 1800년대 후반에 은의 가치가 너무 흔해지면서 유럽 국가들이 하나둘 금본위제로 돌아섰다. 미국도 1900년 금본위제를 본격적으로 도입하게 된다. 금본위제란 은행 곳간에 금 보관량만큼만 화폐를 발행해야 하는 것을 말한다. 금은 상대적으로 적고 경제가 발전할수록 화폐의 수요가 늘어나니 화폐의 가치는 급격히 상승한다. 금본위제 채택 이후 미국은 심각한 디플레이션(물가하락)을 겪었다. 물가하락은 경기침제를 조장한다. 이유는 돈을 갖고 있을수록 유리하기 때문에 소비를 하면 불리하다.
그래서 시장에 돈이 돌지 않게 되고 돈을 많이 갖고 있을수록 유리해지니 돈을 많이 갖고 있는 부자들은 자산의 가치가 상승하고 돈을 빌린 서민들은 빚이 늘어나는 상황으로 양극화가 심화된다. 이러한 양극화의 대안으로 금과 함께 은본위제도 함께 하자는 주장을 하게 된다. 이것이 '금은본위제' 흔히 '복본위제(gold and silver bimetallism)'라고 한다. 결국 보수진영은 금본위제를 진보진영은 금은 함께 쓰는 복본위제를 주장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신문기자였던 프랭크 바움이 '금은 복본위제'를 지지하는 오즈의 마법사(The Wizard of Oz)를 발표한다. 오즈(Oz)는 금의 단위인 온스(Ounce)의 약자로 금본위제를 뜻한다.
오즈의 마법사는 금본위제 풍자동화이다. 주인공 도로시는 평범한 미국 시민이다. 허수아비는 가난한 농민, 양철 나무꾼은 자동차공업 노동자, 겁쟁이 사자는 복본위제를 주장하다 대선에서 패한 대선 후보를 의미한다. 이들은 험난한 여정을 거치는 데 이것은 금본위제로 혼란을 겪은 미국 사회인 것이다. 서쪽 회오리바람은 서부에서 부는 복본위제 열풍을 말한다. 도로시가 은구두를 신고 다니고 노란 벽돌길(금)을 걷는 것이 금과 함께 은도 추가하자! '복본위제'를 의미하는 것이다. 에메랄드성은 수도 워싱턴 DC다. 에메랄드빛은 화폐를 상징한다. 에메랄드성에 사는 마법사는 당시 무능한 존재로 평가된 클리블랜드 대통령이다.
그리고 동쪽 마녀, 서쪽 마녀는 모두 당시 복본위제를 반대하는 정치세력을 말하는 것이다. 도로시는 은구두를 신고 농민 노동자와 험난한 여행길을 지나 나쁜 마녀들을 물리친다. 착한 마녀가 “네가 신고 있는 은구두가 너를 사막 너머로 데려다 줄 거야.” 라는 이야기를 하는데 이것은 금은본위제가 이 불경기를, 디플레이션을 이겨내게 해줄 거라는 것이다. 오즈의 마법사는 성공했을까? 오즈의 마법사라는 동화에서 이야기처럼 복본위제의 꿈은 이뤄지지 않았다. 1896년 금은 복본위제를 주장하던 민주당 후보가 공화당 후보에게 대선에서 패배하게 되면서 미국은 금본위제를 유지한다. 그렇지만 그 뒤 금의 유입이 늘고 화폐공급도 늘면서 미국경제는 유례없는 빠른 발전을 경험한다.
결론적으로 오즈의 마법사를 쓴 의도대로 되지는 않았지만 오즈의 마법사는 이야기 통해 경제를 풍자하고 의도를 주장했다는 것에서 의미 있는 동화이다.
Ⅲ. 결론
지금까지 본론에서는 소설 혹은 동화를 매개로 사회복지발달사의 한 장면을 분석해 보았다. 대공황은 자본주의 발전과정에서 공급이 부족한 시대로부터 공급이 과잉인 시대로의 전환 과정에서 발생한 사건이다. 공급이 과잉인 경제체제에서는 초과된 공급을 소화할 수 있도록 구매력을 증대시켜야 했다. 대공황 시기에는 산업혁명과 테일러주의 및 포드주의와 같은 생산 전략에서의 혁명으로 인해 공급능력의 폭발적 증가가 나타났다. 그리고 생산의 규모와 생산품의 종류를 통해 확인할 수 있듯이 시기 증가된 공급은 기존 상류소비층만이 아닌 대중 전체를 그 대상으로 하였다. 공급이 과잉인 시대에 경제문제는 생산규모에 맞추어 소비규모를 확보하는 것이고 대공황 기와 같이 생산의 능력이 무한대가 된 사회에서 그에 맞는 소비는 가능한 넓고 두터운 대중 소비층을 형성함으로써 뒷받침될 수 있었다. 다시 말해 기존 경제체제 내에서 노동력을 제공하고, 값싼 원료를 제공하는 역할만을 하던 경제적 주변인들이 대공황 이후 공급 과잉의 시대에서는 더 큰 부를 창출하기 위한 경제의 중요한 소비 주체로 인식되기 시작하였다.
참고문헌
배영수 외(2007). 서양사강의. 한울아카데미.
김희경(1996). 명작동화의 매력. 교문사.
강성원(2000). 뉴딜구호정책의 성과. 서울대학교 출판부.
이창신(2004). 미국 여성사. 살림출판사.
Smiley, Gene(2008). 세계 대공황. 지상사.
Evans, SaraM(1998). 자유를 위한 탄생 : 미국 여성의 역사.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정광렬(2008). 대공황기 미국의 문화관광 정책사례분석 및 대응방향. 한국문화관광연구원.
대공황의 해결책으로 제시된 뉴딜정책과 이후 사회변화는 이런 시대 인식이 반영된 것이었다. 과잉 공급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뉴딜정책은 생산 제한과 소비 지지라는 두 가지 형태로 나타난다. 그러나 자본주의 경제체제에서 이윤 추구를 목적으로 하는 생산자에 대한 생산량 제한 조치는 단기적 미봉책은 될 수 있을지라도 장기적으로는 지속할 수 없는 정책이다. 결국 뉴딜정책의 핵심은 소비층의 확보로 귀결될 수밖에 없다. 실제로 현대 국가의 경제정책에는 복지정책이란 이름으로 뉴딜 정책의 흔적들이 곳곳에 남아있으며 이는 생산의 제한이 아닌 소비지지의 형태이다. 뉴딜정책의 개혁적 성격은 이러한 측면에서 평가되어야 한다.
즉 대공황의 해결책으로 등장한 뉴딜정책은 구빈정책이라는 시혜적 정책에서 수요창출을 위한 사회보장적 정책으로의 변화를 의미한다. 이는 단순한 정책의 변화만이 아닌 정책 대상에 대한 관점의 변화로 기존 경제적 주변인들의 사회적 여건이 개선된 여러 가지 증거들 중의 하나다. 그리고 이 시기 변화된 관점은 복지정책이란 이름으로 현대 사회에 까지 이어지며 영향을 미치고 있다.
4. 감상평과 분석
오즈의 마법사가 나올 당시 시대적 배경을 보자. 1800년대 후반에 은의 가치가 너무 흔해지면서 유럽 국가들이 하나둘 금본위제로 돌아섰다. 미국도 1900년 금본위제를 본격적으로 도입하게 된다. 금본위제란 은행 곳간에 금 보관량만큼만 화폐를 발행해야 하는 것을 말한다. 금은 상대적으로 적고 경제가 발전할수록 화폐의 수요가 늘어나니 화폐의 가치는 급격히 상승한다. 금본위제 채택 이후 미국은 심각한 디플레이션(물가하락)을 겪었다. 물가하락은 경기침제를 조장한다. 이유는 돈을 갖고 있을수록 유리하기 때문에 소비를 하면 불리하다.
그래서 시장에 돈이 돌지 않게 되고 돈을 많이 갖고 있을수록 유리해지니 돈을 많이 갖고 있는 부자들은 자산의 가치가 상승하고 돈을 빌린 서민들은 빚이 늘어나는 상황으로 양극화가 심화된다. 이러한 양극화의 대안으로 금과 함께 은본위제도 함께 하자는 주장을 하게 된다. 이것이 '금은본위제' 흔히 '복본위제(gold and silver bimetallism)'라고 한다. 결국 보수진영은 금본위제를 진보진영은 금은 함께 쓰는 복본위제를 주장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신문기자였던 프랭크 바움이 '금은 복본위제'를 지지하는 오즈의 마법사(The Wizard of Oz)를 발표한다. 오즈(Oz)는 금의 단위인 온스(Ounce)의 약자로 금본위제를 뜻한다.
오즈의 마법사는 금본위제 풍자동화이다. 주인공 도로시는 평범한 미국 시민이다. 허수아비는 가난한 농민, 양철 나무꾼은 자동차공업 노동자, 겁쟁이 사자는 복본위제를 주장하다 대선에서 패한 대선 후보를 의미한다. 이들은 험난한 여정을 거치는 데 이것은 금본위제로 혼란을 겪은 미국 사회인 것이다. 서쪽 회오리바람은 서부에서 부는 복본위제 열풍을 말한다. 도로시가 은구두를 신고 다니고 노란 벽돌길(금)을 걷는 것이 금과 함께 은도 추가하자! '복본위제'를 의미하는 것이다. 에메랄드성은 수도 워싱턴 DC다. 에메랄드빛은 화폐를 상징한다. 에메랄드성에 사는 마법사는 당시 무능한 존재로 평가된 클리블랜드 대통령이다.
그리고 동쪽 마녀, 서쪽 마녀는 모두 당시 복본위제를 반대하는 정치세력을 말하는 것이다. 도로시는 은구두를 신고 농민 노동자와 험난한 여행길을 지나 나쁜 마녀들을 물리친다. 착한 마녀가 “네가 신고 있는 은구두가 너를 사막 너머로 데려다 줄 거야.” 라는 이야기를 하는데 이것은 금은본위제가 이 불경기를, 디플레이션을 이겨내게 해줄 거라는 것이다. 오즈의 마법사는 성공했을까? 오즈의 마법사라는 동화에서 이야기처럼 복본위제의 꿈은 이뤄지지 않았다. 1896년 금은 복본위제를 주장하던 민주당 후보가 공화당 후보에게 대선에서 패배하게 되면서 미국은 금본위제를 유지한다. 그렇지만 그 뒤 금의 유입이 늘고 화폐공급도 늘면서 미국경제는 유례없는 빠른 발전을 경험한다.
결론적으로 오즈의 마법사를 쓴 의도대로 되지는 않았지만 오즈의 마법사는 이야기 통해 경제를 풍자하고 의도를 주장했다는 것에서 의미 있는 동화이다.
Ⅲ. 결론
지금까지 본론에서는 소설 혹은 동화를 매개로 사회복지발달사의 한 장면을 분석해 보았다. 대공황은 자본주의 발전과정에서 공급이 부족한 시대로부터 공급이 과잉인 시대로의 전환 과정에서 발생한 사건이다. 공급이 과잉인 경제체제에서는 초과된 공급을 소화할 수 있도록 구매력을 증대시켜야 했다. 대공황 시기에는 산업혁명과 테일러주의 및 포드주의와 같은 생산 전략에서의 혁명으로 인해 공급능력의 폭발적 증가가 나타났다. 그리고 생산의 규모와 생산품의 종류를 통해 확인할 수 있듯이 시기 증가된 공급은 기존 상류소비층만이 아닌 대중 전체를 그 대상으로 하였다. 공급이 과잉인 시대에 경제문제는 생산규모에 맞추어 소비규모를 확보하는 것이고 대공황 기와 같이 생산의 능력이 무한대가 된 사회에서 그에 맞는 소비는 가능한 넓고 두터운 대중 소비층을 형성함으로써 뒷받침될 수 있었다. 다시 말해 기존 경제체제 내에서 노동력을 제공하고, 값싼 원료를 제공하는 역할만을 하던 경제적 주변인들이 대공황 이후 공급 과잉의 시대에서는 더 큰 부를 창출하기 위한 경제의 중요한 소비 주체로 인식되기 시작하였다.
참고문헌
배영수 외(2007). 서양사강의. 한울아카데미.
김희경(1996). 명작동화의 매력. 교문사.
강성원(2000). 뉴딜구호정책의 성과. 서울대학교 출판부.
이창신(2004). 미국 여성사. 살림출판사.
Smiley, Gene(2008). 세계 대공황. 지상사.
Evans, SaraM(1998). 자유를 위한 탄생 : 미국 여성의 역사.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정광렬(2008). 대공황기 미국의 문화관광 정책사례분석 및 대응방향. 한국문화관광연구원.
추천자료
[사회복지행정][사회복지][복지]사회복지행정의 현황, 역사 및 발전방향(사회복지행정의 정의...
[불교사회복지][불교][사회복지]불교사회복지(불교복지)의 역사, 불교사회복지(불교복지)의 ...
[정신보건사회복지][정신보건][사회복지][보건][사회][복지]정신보건사회복지의 역사, 정신보...
[사회복지실천기술]사회복지실천현장에 따른 사회복지사의 역할에 대해 논하시오. : 지역사회...
[사회복지사 사회복지법제]사회복지법의 필요성 세가지 수급권자의 법적 안정성, 사회복지에 ...
[사회복지사 사회복지행정론]사회복지행정에 있어 관리기술영역의 내용을 구체적으로 제시 및...
(사회복지실천) 사회복지실천은 무엇인지 서술하고 사회복지 실천을 영역별로 분류한다. 차 ...
[사회복지실천의 성격과 체계] 사회복지실천의 개념과 분류, 사회복지실천 목적 및 목표, 사...
[사회복지이론] 사회복지의 이론적관점, 사회복지행정이론(사회복지정책이론)
[사회복지법] 사회복지법의 개념과 체계, 사회복지법의 내용(사회복지기본법, 사회보험법, 공...
[지역사회복지] 지역사회복지의 개념과 의의 및 내용, 지역사회복지 모형, 지역사회복지의 실...
[사회복지의 가치] 사회복지실천과 사회복지정책 관점에서의 가치, 사회복지정책에 영향을 미...
[사회복지의 가치] 사회복지에서 가치의 의미와 중요성, 사회복지실천의 가치유형과 핵심가치...
[사회복지의 개념] 사회복지의 어원적 의미, 광의와 협의의 사회복지, 사회복지의 보완적 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