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궁내막암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자궁내막암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간호사정
-일반적 특성
-월경력
-과거력 및 가족력
-신체 생리적 정보
-신체사정
-임상검사
-진단검사
-약물
-수술 전 준비
-수술 후 간호
2.간호문제 3개
3.간호과정 2개

본문내용

한다.
10.JP-bag 관리법을 교육한다.
11.조기이상을 격려한다.
12.대상자에게 gas out시 보고하도록 교육하였다.
합리적 근거
1.V/S은 대상자의 상태를 가장 빠르게 파악할 수 있는 객관적 자료이다.
2.감염여부를 확인하고 감염을 예방하기 위함이다.
3.감염을 예방하기 위함이다.
4.감염시 WBC, CRP가 상승한다.
5.감염을 예방하기위해 항생제를 투여한다.
6.대상자에게 자신의 상태를 알려줌으로써 감염에 대해 좀 더 주의할 수 있고 스스로 감염예방을 할 수 있기 때문이다.
7.대상자의 위험성에 대해 알림으로써 보호자 및 방문객에게 경각심을 지니게 하고 환자를 대할 때 더욱 조심하게 하기 위함이다.
8.오염된 침구류나 환복을 사용시 감염의 위험성이 더욱 증가할 수 있다.
9.감염 시 고열, 수술부위 통증, 수술부위 분비물에서 악취 등 이 나타날 수 있으며 조기에 발견하여 빠른 조치를 취하기 위함이다.
10.상처회복을 촉진하기 위함이며 배액관의 개방성을 유지해 배액이 잘되게 하기 위함이다
11.조기이상은 상처분비물 배액을 촉진하여 상처회복을 도움
12.gas out은 장운동이 회복되었음을 의미하며 gas out 후 경구로 섭취할 수 있음.
간호중재
1.V/S을 측정하였다
날짜/시간
09:00
13:00
17:00
21:00
2/2
100/60-64-20-37℃
120/80-72-20-36.6℃
120/70-70-20-36.9℃
120/70-72-20-37℃
2/3
120/80-72-20-36.6
120/80-74-20-36.7℃
120/70-75-20-36.6℃
2/4
110/70-88-20-37.1℃
110/70-80-20-36.7℃
120/70-71-20-36.9℃
2/5
120/80-80-20-36.9℃
110/60-78-20-36.5℃
100/60-68-20-37.1℃
110/80-82-20-36.8℃
2/6
110/60-64-20-36.5℃
120/70-66-20-36.9℃
110/70-80-20-37.4℃
120/80-93-20-37.2℃
2/7
110/70-74-20-36.5℃
120/80-68-20-36.8℃
110/80-85-20-37.4℃
120/80-77-20-37.1℃
->V/S stable
2.수술부위 상처를 확인한다
-“수술부위 출혈위험성 있습니다. 출혈이 있거나 어지러움 발생시 간호사 호출벨 눌러 호출해주세요” 설명하였다
-수술부위 상처 확인하였다
수술직후
12시간
1일
2일
3일
4일
5일
oozing: none
oozing: none
oozing: none
oozing: none
oozing: none
oozing: none
oozing: none
-무균술을 적용하여 수술부위 상처 소독 후 dressing 교환 하였다(2/4)
3.회음부 간호를 실시하였다.
-privacy를 존중해주고 무균술을 적용하였다.
-배횡와위로 무릎을 구부리고 다리를 벌려 고관절을 외전함
-회음부를 검사하였다. 음순의 사이에 감염, 찰과상, 부종이 있는지 사정하였다
-대음순, 소음순, 요도 순으로 요도에서 항문쪽으로 닦고 매번 소독솜으로 한번만 닦고 버렸다.
-F/C remove (2/2 14:00)
4.혈액검사를 실시하였다.
검사명
정상치
(단위)
수술 후
검사
일자
결과
[혈액검사]
WBC
RBC
Hb
HCT
PLT
3.6~9.6(10^3/㎕)
3.48~4.83(10^6/㎕)
11.5~15.5(g/dL)
32~43(%)
140~380(10^3/㎕)
2/2
20.8
3.50
10.3
31.4
389
WBC 20.8/ 체온 37℃
5.처방된 약물을 투여하였다.
-Trizel IV 하였으며 부작용으로 복부통증, 경련, 어지러움, 시야흐림이 발생할 수 있으며 발생시 간호사에게 보고하도록 교육하였다
-Meicilin IV 하였으며 부작용으로 심한설사, 알레르기 반응이 일어날 수 있으며 발생시 간호사에게 보고하도록 교육하였다.
6.대상자에게 잠재적 감염위험성이 있음을 설명하였다
-“복식전자궁적출술을 시행한지 1일 되었으며 수술부위에 상처가 아물지 않았으며 감염에 매우 취약한 시기입니다.” 라 교육하였다
-“손 씻기는 감염을 예방할 수 있는 쉽고도 가장 중요한 방법입니다. 손소독제는 복도에 비치되어 있으며, 환자분 침상 발치에도 비치되어있습니다. 화장실 다녀 온 후에 꼭 손 위생 해주셔야 합니다” 라 교육하였다.
7.보호자 및 방문객에게 대상자의 감염위험성에 대해 교육하였다.
-“환자분께서는 복식전자궁적출술을 시행한지 1일 되었으며 수술부위에 상처가 아물지 않았으며 감염에 매우 취약한 시기이기 때문에 환자분께 가시기전에 항상 손 씻기를 잘해 주실 것을 당부합니다, 손소독제는 복도에 비치되어 있으며, 환자분 침상 발치에도 비치되어있습니다” 라 교육하였다.
8.환복 및 침구류 오염 시 즉시 교환을 요청하도록 교육하였다.
“오염된 침구류나 환복을 사용시 감염의 위험성이 더욱 증가할 수 있기 때문에 침구류나 환복 오염시 꼭 알려주셔서 교체하셔야 합니다” 라 교육하였다.
9.감염증상에 대해 교육하였다.
“감염 시 고열, 수술부위 통증, 수술부위 분비물에서 악취 등 이 나타날 수 있으며 증상 발현 시 꼭 간호사에게 알려주세요” 라 교육하였다.
10.JP-bag 관리법을 교육한다.
-“이것은 상처분비물을 몸밖으로 빼내는 장치입니다. 상처분비물을 몸 밖으로 빼주어 상처회복을 촉진하고 감염을 예방할 수 있습니다. 배액관은 항상 상처부위보다 아래에 위치하게 하고 배액관이 꼬이거나 막히거나 접히지 않도록 해주셔야합니다”라 교육하였다.
-JP-bag remove (2/5)
11.조기이상을 격려하였다.
-조기이상은 상처분비물 배액을 도와 상처회복에 도움이 됨을 교육하였다.
12.대상자에게 gas out시 보고하도록 교육하였다
-“가스배출 후 경구섭취가 가능하고 가스 배출 시 간호사에게 보고하도록 교육하였다”
-2/2 gas out됨
-A.line catheter remove (2/2 07:00)
-2/2 LD 식이 섭취시작
평가
단기목표: 대상자는 수술 후 7일까지 감염의 증상과 징후를 보이지 않는다.
->
장기목표: 대상자는 퇴원 시 까지 감염의 증상과 징후를 보이지 않는다.
  • 가격1,200
  • 페이지수13페이지
  • 등록일2018.03.21
  • 저작시기2018.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4933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