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수술적 관리) 석고간호 견인간호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비수술적 관리) 석고간호 견인간호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 론

Ⅱ. 본 론

1. 석고간호
2. 견인간호

Ⅲ. 결 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손잡이를 대상자의 머리 위에 매달아 대상자가 움직이거나 변기를 사용할 때 잡게 함으로써 체위 변경 시 올 수 있는 신경손상을 최소화.
등 간호나 침상 정리 시에도 대상자에게 삼각 손잡이를 잡고 두부를 들어 올리게 하면 도움이 됨.
효과적인
견인 유지
견인장치 관찰 사항
- 도르래에 밧줄이 잘 걸려 있는가?
- 견인줄이 낡지 않았는가?
- 추가 침대나 방바닥에 닿지 않았는가?
- 대상자가 침대 아래쪽으로 미끄러져 비효과적인 견인이 이루어지고 있는가?
견인줄의 매듭은 확실히 묶어야 함.
자가 간호
대상자에게 필요한 물품이나 장비들은 손이 닿기 쉬운 장소에 놓아두어, 의존도를 최소화하고 자가 간호 능력을 최대화함.
대상자의 상태에 따라 시트 교환이나 목욕 등의 일상 활동을 정기적으로 하게함, 필요시 활동 전에 진통제를 사용.
견인 장치를 한 대상자에게 자가 간호를 격려하는 것은 견인 장치 제거 후 조기이상에도 효과적.
배변
배설시 대상자에게 안위를 제공하기 위해, 골절용 변기 제공
→ 둥글게 말은 담요(blanket roll)나 pad를 등에 댄 후 골절 환자용
침상 변기를 사용.
여성이 침상변기를 사용 시 Thomas 부목의 링에 방수 제제를 사용하여 젖지 않도록 보호.
부동의 합병증인 변비 주의 (특히 노인과 장기간 견인하는 대상자).
대변 완화제를 처방하며 규칙적으로 투여.
운동
근력과 긴장 상태를 유지하고 혈액 순환을 증진시킴.
견인의 제한범위 내에서 실시.
허용되는 운동에는 삼각 손잡이 당기기, 굴곡운동, 발의 신장운동, 정상 관절의 체중부하 운동과 ROM이 포함됨.
움직이지 못하는 사지는 등척성 운동.
사두근과 둔근의 힘주기 운동은 근력을 증가 시키므로 보행의 안정성 유지에 중요.
-If 침대에서 운동을 하지 않으면, 치료기간은 연장됨.
일정기간 움직이지 않으면, 정맥울혈로 혈전성 정맥염
(thrombophlebitis)이 유발될 수 있으므로 매일 하지를 사정.
⇒ 혈전성 정맥염 예방하기 위해 항혈전 스타킹, dextran, warfarin등 을 사용, 발생 시에는 즉각적으로 치료함.
매시간 10회씩 발목운동과 종아리 근육의 등척성 운동을 실시하여 정맥정체를 감소시킴.
식이
대상자의 영양상태가 걱정이라면, 식이 보충제를 처방.
Halo vest대상자: 꽉 찬 느낌을 피하기 위해 소량으로 자주 식사.
머리 상승에 제한이 있는 대상자에게 구부러진 빨대와 개조된 식기를 적용.
금기가 아니라면 다량의 수분과 섬유성 식이를 포함(변비예방).
조기이상 시작, 서서히 똑바로 서는 자세에 익숙해지도록 함.
⇒ 경사 침대를 이용해 여러 단계를 거쳐 수행
⇒ 앉은 자세에서 서서히 몸을 상승시켜 서는 자세로 할 수 있는데,
각 단계마다 참을 수 있는 한계 내에서 점진적 시행.
체위 변경 시 기립성 저혈압(orthostatic hypotension)의 증상을 관찰
⇒ 혈압하강, 창백과 어지러움 등
처음에는 대상자에게 사지가 약하고 불안정하다는 것을 설명하고,
허용 한도 내에서 체중을 부하하고 활동하도록 격려.
보행기나 목발과 같은 보조기구 사용
⇒ 약한 근육과 경직된 관절의 일시적인 지지를 위해 필요.
② 견인장치 제거 후 간호
Ⅲ. 결 론(Critical Reflection)
우리는 OS병동으로 admission하여 open fx of femur shaft Rt.와 laceration of forearm Rt.로 painful laceration of thight Rt를 호소하는 유명한(F/72) 환자를 만나게 되었다. Open reduction and Internal fixation of fx of femur 예정인 유명한 님과 같은 골절환자를 위한 적절한 간호를 위해 우리는 골절치료의 방법 중 비수술적 관리인 석고간호와 견인 간호에 대해 알아보기로 하였다.
먼저 석고간호의 목적은 정복 후의 골절편을 고정하며, 외부자극으로부터 환부를 보호하는 등 주로 고정, 지지, 예방하는 데에 있다. 유명한 님이 석고붕대를 한다면, 그 목적에도 정복 후의 골절편을 고정하는 데에 있을 것이다. 석고 붕대를 하는 재료에는 소석고와 비석고가 있으며, 부위 및 증상에 따라 다양한 종류로 나뉠 수 있다. 손가락 마디 관절의 손상이나 손가락뼈의 골절이 함께 있을 때 혹은 상완부, 손목, 손목뼈, 손가락의 골절에 사용하는 단상지석고가 있다. 유명한 님의 경우에는 femur에 fx 가 있으므로 비체중부하 장하지 석고붕대 혹은 장하지 원통형 석고붕대를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석고붕대는 적용부위의 부종이나 꽉 조임 등이 있을 수 있으므로 지속적으로 주의해서 관찰해야 하며, 유형별로 각각의 간호를 해야한다. 유명한 님의 경우에는 다리에 석고붕대를 할 것이므로 기동을 위해 보조기를 준비해야하며 앉거나 누울 때, 휠체어에 앉아 있을 때 사지를 상승시켜 석고붕대한 다리의 발가락에 부종이 생기지 않도록 한다. 또한, 보행 시 충격을 흡수 할 수 있는 신발을 착용할 수 있도록 한다.
견인은 무게장치를 신체 부위에 연결하는 것으로 치유동안 골절편을 정렬시키는 데 적합하다. 그 목적은 근경련 예방, 관절 또는 신체부위를 고정하는 등에 있다. 견인에는 크게 피부 견인과 골격 견인으로 나눌 수 있는데, 피부 견인에는 근육의 경련을 감소시키고, 고관절, 대퇴골의 골절 시 수술 전 고정이나 수술 후 자세를 유지하는 데 도움을 주며 고관절, 무릎의 경축을 감소시킬 때 하는 Buck 신전견인 등이 있다. 골격견인에는 외상을 입은 하지 전체를 지지해주고 철사를 사용하여 경골조면 부위를 대퇴골 장축에 일치되게 견인하는 방법인 현수 견인 등이 있다. 견인장치를 하는 경우 압박 및 혈액 순환 등에 주의하여 간호해야 할 것이며, 제거 후에는 일어나기 시작하며, 서서히 서는 자세에 익숙해지도록 하고 활동을 하도록 격려하는 등 이후 간호에도 주의해야할 것이다.
Ⅳ. 참고 문헌
1. 조경숙 외(2013). 성인간호학 하권. 현문사 p. 341-349
2. 전시자 외(2010). 성인간호학 하권. 현문사 p. 366-370
3. 이영휘 외(2011). 성인간호학1. 정담미디어 p. 565-572
  • 가격1,8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18.03.18
  • 저작시기2018.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4966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