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가 좋아하는 조리법으로 바꾸어 음식을 제공하고 다양한 조리법을 시도하여 수지에게 다양한 음식을 맛보여 주는 것도 바람직한 방법이라고 생각 된다.
수지에게 정해진 식사장소가 있음을 일깨워 줄 필요가 있다는 생각이 든다.
식탁에서 밥을 먹지 않을 때는 식사의 장소를 옮기는 행동은 하지 말아야 하며 정해진 식사장소에서 밥을 먹지 않으려고 할 때는 ‘식탁에서 먹지 않을거면 밥 먹지마’ 라고 말하는 부모나 할머니의 강력한 의사표현이 있어 수지에게 정해진 식사장소가 있음을 일깨워 줄 필요가 있어 보인다.
배가 불러서 식사시간에 제대로 된 식사를 하지 못할 경우가 생길 수 있으므로 당분간 간식을 제공하지 않는 편이 좋겠다는 생각이 든다.
식사시간에 밥 먹지 않을 것을 대비하여 간식은 당분간 제공하지 않는 방법이 필요할 것 같다.
수지의 문제행동을 고치기 위해서는 부모와 어린이집 교사가 상담을 통해서 서로의 도움과 협의를 할 필요가 있어 보인다는 생각이 든다.
편식하는 습관을 고치기 위해서는 부모와 어린이집 교사와의 상담과 협의를 통해 어린이집에 도시락을 만들어 보내는 것은 중단하는 것이 좋을 것 같다.
스스로 할 수 있는 일에도 모든 것을 해결해주고 도와주는 등의 부모나 할머니의 양육태도를 바꾸어야할 필요가 있겠다는 생각이 든다.
수지의 의존적인 성향과 태도는 잘못된 부모의 양육방식과 할머니의 태도로 인해서 생기게 된 것 같아서 부모나 할머니의 양육태도를 한 번에 바꾸어 수지에게 혼란 감을 주기보다는 하나하나씩 바꾸어진 양육태도를 보여 수지에게 혼란 감을 줄여줄 필요가 있어 보인다.
수지가 스스로 일을 해내었을 때 친 사회적 보상을 해주어야 한다는 생각이 든다.
수지가 할 수 있는 일은 수지가 할 수 있도록 유도하여 수지가 해내었을 때에는 사회적인 보상이 주어지도록 하는 것이 좋을 것 같다.
실수를 하더라도 그 과정에 대해서 칭찬을 해주어 다시 도전할 수 있도록 기회를 만들어 줄 필요가 있다는 생각이 든다.
작은 실수를 하더라도 그 실수에 대해서 바로고치기 보다는 그 행동의 과정에 대해서 칭찬을 하여 수지가 그 행동에 대해서 자시 도전 할 수 있는 기회를 만들어 주는 것이 필요할 것 같다.
‘언니이니까’ 즉, 수지에게 언니임을 강조하지 않고 언니의 행동을 강요하지 말아야 한다는 생각이 든다.
수지의 의존적인 태도나 편식은 동생이 태어나기 전에도 나타났었지만 동생이 태어난 이 후에는 조금 더 심해진 경향을 볼 수 있다. 이는 동생이 태어난 이후에 동생과 나눠 갖게 된 관심에 대한 불안한 심리를 의존적인 태도와 편식하는 습관을 통해서 더 표현하게 된 것 일 수 도 있으므로 동생 앞에서 수지에게 언니임을 강조하고 언니의 책임감을 강요하지 않는 것이 좋을 것 같으며 수지가 언니임을 자연스럽게 받아들일 수 있도록 가족들의 배려와 시간을 줄 필요가 있어 보인다는 생각이 든다.
※참고문헌
정선철(2009) 유아생활지도, 서울, 태영출판사 p.138~39, P.162~63
김숙이, 손수민, 고선옥, 신리행(2014) 아동건강교육, 경기, 정민사 P.64
수지에게 정해진 식사장소가 있음을 일깨워 줄 필요가 있다는 생각이 든다.
식탁에서 밥을 먹지 않을 때는 식사의 장소를 옮기는 행동은 하지 말아야 하며 정해진 식사장소에서 밥을 먹지 않으려고 할 때는 ‘식탁에서 먹지 않을거면 밥 먹지마’ 라고 말하는 부모나 할머니의 강력한 의사표현이 있어 수지에게 정해진 식사장소가 있음을 일깨워 줄 필요가 있어 보인다.
배가 불러서 식사시간에 제대로 된 식사를 하지 못할 경우가 생길 수 있으므로 당분간 간식을 제공하지 않는 편이 좋겠다는 생각이 든다.
식사시간에 밥 먹지 않을 것을 대비하여 간식은 당분간 제공하지 않는 방법이 필요할 것 같다.
수지의 문제행동을 고치기 위해서는 부모와 어린이집 교사가 상담을 통해서 서로의 도움과 협의를 할 필요가 있어 보인다는 생각이 든다.
편식하는 습관을 고치기 위해서는 부모와 어린이집 교사와의 상담과 협의를 통해 어린이집에 도시락을 만들어 보내는 것은 중단하는 것이 좋을 것 같다.
스스로 할 수 있는 일에도 모든 것을 해결해주고 도와주는 등의 부모나 할머니의 양육태도를 바꾸어야할 필요가 있겠다는 생각이 든다.
수지의 의존적인 성향과 태도는 잘못된 부모의 양육방식과 할머니의 태도로 인해서 생기게 된 것 같아서 부모나 할머니의 양육태도를 한 번에 바꾸어 수지에게 혼란 감을 주기보다는 하나하나씩 바꾸어진 양육태도를 보여 수지에게 혼란 감을 줄여줄 필요가 있어 보인다.
수지가 스스로 일을 해내었을 때 친 사회적 보상을 해주어야 한다는 생각이 든다.
수지가 할 수 있는 일은 수지가 할 수 있도록 유도하여 수지가 해내었을 때에는 사회적인 보상이 주어지도록 하는 것이 좋을 것 같다.
실수를 하더라도 그 과정에 대해서 칭찬을 해주어 다시 도전할 수 있도록 기회를 만들어 줄 필요가 있다는 생각이 든다.
작은 실수를 하더라도 그 실수에 대해서 바로고치기 보다는 그 행동의 과정에 대해서 칭찬을 하여 수지가 그 행동에 대해서 자시 도전 할 수 있는 기회를 만들어 주는 것이 필요할 것 같다.
‘언니이니까’ 즉, 수지에게 언니임을 강조하지 않고 언니의 행동을 강요하지 말아야 한다는 생각이 든다.
수지의 의존적인 태도나 편식은 동생이 태어나기 전에도 나타났었지만 동생이 태어난 이 후에는 조금 더 심해진 경향을 볼 수 있다. 이는 동생이 태어난 이후에 동생과 나눠 갖게 된 관심에 대한 불안한 심리를 의존적인 태도와 편식하는 습관을 통해서 더 표현하게 된 것 일 수 도 있으므로 동생 앞에서 수지에게 언니임을 강조하고 언니의 책임감을 강요하지 않는 것이 좋을 것 같으며 수지가 언니임을 자연스럽게 받아들일 수 있도록 가족들의 배려와 시간을 줄 필요가 있어 보인다는 생각이 든다.
※참고문헌
정선철(2009) 유아생활지도, 서울, 태영출판사 p.138~39, P.162~63
김숙이, 손수민, 고선옥, 신리행(2014) 아동건강교육, 경기, 정민사 P.64
키워드
추천자료
문제아동지도방법.
방과후 아동생활지도의 중요성
아동생활지도의 목표 및 필요성을 고려하여 현대사회의 요구에 따른 아동생활 도의 바람직한 ...
아동생활지도와 관련된 기사를 토대로 분석 및 평가를 하시오
아동兒童생활지도의 목표 및 필요성을 고려하여 현대 사회의 요구에 따른 아동생활지도의 바...
아동문제행동 연구) 아동문제행동의 연구유형, 아동문제행동연구의 제한점
[아동문제행동 연구] 아동문제행동의 연구방법(아동문제행동의 연구목적 및 접근법)
[아동문제행동평가] 아동문제행동의 평가목적과 평가과정 및 평가기준, 아동문제행동의 평가...
틱장애아동 틱장애사례 및 틱장애치료 행동수정사례(틱행동, 행동수정, 아동행동연구, 아동행...
아동생활지도_아동생활지도의 내용 중 청결하게 생활하기와 관련해 다룰 수 있는 주제를 한 ...
아동문제행동의 종류(아동 언어장애, 비사회성 및 반사회성 문제행동, 틱장애, 발달장애)
[아동문제행동] 아동문제의 개념과 원인, 아동문제 결정요인
아동생활지도 - 부끄러움을 잘 타고 자신감이 없는 아이 지도방법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