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료사회복지론] 의료사회복지 집단과제 보고서 -여성폐암환자에 대한 분석을 중심으로-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의료사회복지론] 의료사회복지 집단과제 보고서 -여성폐암환자에 대한 분석을 중심으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 서론
1. 문제 제기
1) 주제의 중요성
2) 의료사회복지적 중요성


Ⅱ. 본론
1. 질환소개
2. 주 이슈
1) 최근현황
2) 현재의 상태 및 문제점
3. 해결할 문제점 및 개선점
1) 환자 개인과 가족의 관리방안제시
2) 의료사회복지사의 역할 및 필요한 자원
3) 병원에서의 처우
4) 지역사회에서의 개선방향
5) 정책적 제안점
4. 사례소개
5. 사례분석
1) 현재의 상태
2) 문제 사정 및 개입 계획
3) 예상되는 결과

Ⅲ.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지 않기 위해 외면했지만 미나의 웃는 얼굴을 본 후 포기할 수 없었고 직접 키우기 시작했다. 의사의 제안으로 보험이 되지 않는 비 급여 항암제 ‘잴코리’처방을 받았고 복용한지 2주일 뒤 암세포가 많이 줄고 부작용도 많이 없었지만 한 달에 1000만원씩 들어가는 약값이 문제였다. 여태까지는 미혼모단체의 후원과 성금, 정부의 ‘재난적 의료비’ 지원을 받아 약값을 냈지만 더 이상은 도움을 받을 수 없는 상황이다. 김씨는 약을 먹은 뒤 아이와 놀아줄 수 있어 행복하다며 돈이 있어야 더 살 수 있다고 생각하니 답답하고 혹여나 본인이 죽은 후 홀로 남을 아이가 걱정이 돼서 괴롭다고 했다. 보험을 적용받게 해달라고 건강보험공단, 제약사, 청와대에 요청을 해봐도 묵묵부답이라 아무런 지원을 받지 못하고 있는 형편이다.
5. 사례 분석
1) 현재의 상태
이름
채연(가명)
성별

나이
28세
진단명
폐암 2기
정보제공자
본인
marital status
social security
housing
religion
education
referral source
가족관계
의사/담당부서
미혼모
의료급여
월세(영구임대아파트)
기독교
대학중퇴
의사
자녀 1명
임정원/내과
2) 문제 사정 및 개입 계획
(1) 문제점
① 경제적 문제 : 항암제를 감당할 경제적 여건이 안 됨.
② 심리적 불안감과 걱정
③ 유일한 가족인 아이아빠의 부재
(2) 사정
① 과거 폐암진단 후 다니던 직장을 그만두고, 미혼모단체의 후원과 성금, 정부의 ‘재 난적 의료비’ 지원을 받아 약값을 냈지만 더 이상 도움 받을 곳이 없어 비급여 약 값을 감당할 경제적 능력 및 여건이 없는 것으로 판단된다.
② 현재 약 처방을 받고 있지 못해 시기적으로 이른 죽음을 맞게 될 수 있는 상황에 대한 불안감을 보이고 있으며 본인이 죽은 후 홀로 남겨질 아이에 대한 걱정이 큰 것으로 판단된다.
③ 유일한 지지체계인 아이 아빠의 부재로 인해 내외적자원이 될 수 있는 가족의 지 원체계가 부족한 것으로 판단된다.
(3) 개입계획

- 병원 내 캠페인을 통해 성금을 모으고, 원무과와 의뢰하여 의료비용 감면을 제공할 예정 이다.
- 사회복지사의 공적 신분으로 건강보험공단 등 외부자원체계를 연계하여 약값을 지원할 예정이다.
- 폐암환자후원단체에서 후원금을 지원받을 수 있도록 연계할 예정이다.
종교단체를 통해 후원금을 지원받을 수 있도록 연계할 예정이다.

- ct와의 개별상담을 통해 심리적 안정을 돕고 아이의 보호 및 지원체계에 대한 정보를 제 공할 계획이다.
- 환자가 원할 경우 죽음을 미리 준비할 수 있도록 죽음 준비 프로그램에 참여할 수 있도 록 하여 죽음에 대한 불안감을 감소시킬 예정이다.
- 홀로 남겨질 아이의 보호체계 구축을 위한 보육원 또는 입양기관 대한 정보를 제공할 예 정이다.

- 자조집단 모임에 참여하여 클라이언트의 정서적 교류를 도모할 예정이다.
- 폐암환자를 대상으로 한 집단프로그램 참여를 제안하여 지지적 조력자를 형성할 수 있도 록 도모할 예정이다.
3) 예상되는 결과
본 사회사업팀에 의뢰된 환자 김강녀씨는 개입 후 비급여 약값에 대한 지원을 받아 경제적 부담을 덜고 온전히 치료에 임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되며 주기적으로 진행될 개별상담을 통해, 병세 악화와 열악한 상황으로 인해 야기된 심리적 불안을 감소하고 심리적 안정을 확보할 것으로 보인다. 또한 혼자 남겨질 아이의 보호체계에 대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환자의 걱정을 덜어줄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마지막으로 자조모임을 통하여 현재 주변에 형성되어 있지 않은 지지체계를 구축하고 이러한 과정을 통해 자조집단 구성원과의 정서적 유대감을 얻게 될 것으로 보인다.
Ⅲ. 결론
본고에서는 개입 질환으로 선정된 폐암에 대한 소개를 마친 후 여성 폐암 환자에 대한 문제 현황을 조사하여 크게 이슈화되고 있는 부분을 중심으로 여성 폐암 환자를 위한 좀 더 나은 개입방향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여성의 폐암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를 알 수 있었으며 사회적 현황을 조사하며 실질적으로 질환자들에게 필요한 개입에 대해 고찰해 볼 수 있었다. 후엔 실제 의료사회복지 현장에서 쓰일 수 있을 법한 사례를 예로 들어 환자의 다양한 문제를 면밀히 분석하고 선정하여 그에 따른 사정과 개입을 구체적으로 계획하였다. 효과적인 사례분석 및 개입을 진행하기 위해 이 외의 유사한 사례를 많이 탐색하였으며 끝으로는 사례분석의 결과를 서술하는 것으로 마무리 되었다. 전반적인 부분을 볼 때 특정 질환에 대한 이해와 실제 개입의 효과성을 높일 수 있는 과정이라고 판단하였으며 의료사회복지적 차원에서 매우 의의가 있는 활동이었다.
참고문헌
- 강연욱, “화순전남대병원, 폐암다학제진료팀 ‘환자대면진료’ 확대“, 『메디컬투데이』, 2014.8.3.
- 강희영, “하루 세 번 30분 환기… ‘1330 환기생기’ 지켜야 건강”, 『여성신문』, 2013. 4. 29.
- 국가암정보센터, “폐암 발생률”, http://www.cancer.go.kr/mbs/cancer/
- 이영수, “[K-이슈추적] 암환자에게 희망고문인 맞춤형 표적 항암제”, 『국민일보 쿠키뉴스』, 2014.8.7.
- 김효수,「암환자의 우울, 피로 및 자원동원성의 관계」,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3.
- 민수현, 「가족참여 폐암환자교육이 자가간호지식, 가족지지와 자가간호수행에 미치는 영향 : 항암화학요법을 받는 환자중심으로」, 인하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8.
- 박주영, 「폐암 환자 가족원의 스트레스와 삶의 질」, 『종양간호학회지』, 2010년 8월호.
- 삼성서울병원홈페이지, www.samsunghospital.com
- 윤영호,「우리나라 암환자 자살률, 일반인구의 2배」,『Cancer Epidemiology, Biomarkers & Prevention』, 2010년 8월호.
- 이기수, “[고려대의료원 집중화센터 및 암병원] (4) 고려대구로병원 폐암센터“, 『국민일보』, 2014.8.25.
- 이영수, “[암과의 동행] 비흡연 여성 폐암 잡는 표적항암제 눈길”,『국민일보』, 2014. 11. 18.
  • 가격1,4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18.03.21
  • 저작시기2018.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4985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