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서론
본론
결론
참고문헌
본론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중들에게 쉽게 침투될 수 있었기 때문으로 보인다.
3. 결론
이상으로 혜초의 생애와 혜초의 행적을 통해 밀교를 살펴보았다. 혜초는 삼국유사를 저술한 일연조차도 그 이름을 기록하지 못할 정도로 우리 역사에서 잊혀진 인물이었기 때문에, 그 자료가 너무도 적어 아직까지 확실하게 비정된 사실이 없어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 혜초는 밀교적으로 살펴보면, 중국에서 유력한 밀교승인 불공으로부터 인정받아 당 황실에서 초빙할 정도의 위상을 가지고 있었고 한역 작업을 스스로 했다는 점에서 높은 권위를 인정받고 있었을 것이다.
혜초가 내딛은 한 발자국은 세계인으로서 최초의 한국인이었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으며, 보다 많은 연구를 통해 잊혀진 밀교승이었던 혜초를 재조명 하는 시도가 필요하다.
4. 참고 문헌 및 자료
강만길 등, 『한국사 4 - 고대사회에서 중세사회로 2』, 한길사, 1994.
국사편찬위원회, 『한국사 8 - 삼국의 문화』, 국사편찬위원회, 1998.
김규현, 「혜초의 열반지로 알려진 건원보리사에 대한 비정」, 『문명교류연구』 제 1권, 2009.
김영태, 「신라승 혜초에 대하여」, 『가산학보』3, 가산불교문화연구원, 1994.
김재경, 「신라의 밀교 수용과 그 성격」, 『대구사학』14, 대구사학회, 1978.
문명대, 「신라밀교와 통일신라사회」, 『진단학보』41, 진단학회, 1976.
박현규, 「혜초인물 자료 검증」, 『한국고대사탐구』4, 한국고대사탐구학회, 2010.
박희택, 「한국밀교의 전통과 문화복지적 특성」, 『밀교학보』8, 위덕대학교, 2006.
이세호, 「신라 중대 왕권과 밀교」, 『동국사학』49, 동국대학교사학회, 2010.
이원경, 「신라불교의 밀교적 성격에 관한 고찰」, 위덕대학교, 2004.
이정수, 「밀교승 혜초의 일고」, 『한국불교학』27, 한국불교학회, 2000.
정병삼, 「8세기 신라의 불교사상과 문화」, 『신라문화』 제 25집, 2005.
정병삼, 「혜초의 활동과 8세기 신라밀교」, 『한국고대사연구』37, 한국고대사학회, 2005.
정수일 역주,『혜초의 왕오천축국전』,학고재, 2004.
정수일 역주, 『혜초의 왕오천축국전 2』,학고재, 2008.
지안 역주 , 『왕오천축국전』, 불광출판사. 2010.
최원식, 「신라승 혜초와 그의 활동」, 『실크로드와 한국문화의 탐구』, 중앙인문사, 2000.
홍윤식, 「삼국유사와 밀교」, 『동국사학』14, 동국대학교사학회, 1980.
3. 결론
이상으로 혜초의 생애와 혜초의 행적을 통해 밀교를 살펴보았다. 혜초는 삼국유사를 저술한 일연조차도 그 이름을 기록하지 못할 정도로 우리 역사에서 잊혀진 인물이었기 때문에, 그 자료가 너무도 적어 아직까지 확실하게 비정된 사실이 없어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 혜초는 밀교적으로 살펴보면, 중국에서 유력한 밀교승인 불공으로부터 인정받아 당 황실에서 초빙할 정도의 위상을 가지고 있었고 한역 작업을 스스로 했다는 점에서 높은 권위를 인정받고 있었을 것이다.
혜초가 내딛은 한 발자국은 세계인으로서 최초의 한국인이었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으며, 보다 많은 연구를 통해 잊혀진 밀교승이었던 혜초를 재조명 하는 시도가 필요하다.
4. 참고 문헌 및 자료
강만길 등, 『한국사 4 - 고대사회에서 중세사회로 2』, 한길사, 1994.
국사편찬위원회, 『한국사 8 - 삼국의 문화』, 국사편찬위원회, 1998.
김규현, 「혜초의 열반지로 알려진 건원보리사에 대한 비정」, 『문명교류연구』 제 1권, 2009.
김영태, 「신라승 혜초에 대하여」, 『가산학보』3, 가산불교문화연구원, 1994.
김재경, 「신라의 밀교 수용과 그 성격」, 『대구사학』14, 대구사학회, 1978.
문명대, 「신라밀교와 통일신라사회」, 『진단학보』41, 진단학회, 1976.
박현규, 「혜초인물 자료 검증」, 『한국고대사탐구』4, 한국고대사탐구학회, 2010.
박희택, 「한국밀교의 전통과 문화복지적 특성」, 『밀교학보』8, 위덕대학교, 2006.
이세호, 「신라 중대 왕권과 밀교」, 『동국사학』49, 동국대학교사학회, 2010.
이원경, 「신라불교의 밀교적 성격에 관한 고찰」, 위덕대학교, 2004.
이정수, 「밀교승 혜초의 일고」, 『한국불교학』27, 한국불교학회, 2000.
정병삼, 「8세기 신라의 불교사상과 문화」, 『신라문화』 제 25집, 2005.
정병삼, 「혜초의 활동과 8세기 신라밀교」, 『한국고대사연구』37, 한국고대사학회, 2005.
정수일 역주,『혜초의 왕오천축국전』,학고재, 2004.
정수일 역주, 『혜초의 왕오천축국전 2』,학고재, 2008.
지안 역주 , 『왕오천축국전』, 불광출판사. 2010.
최원식, 「신라승 혜초와 그의 활동」, 『실크로드와 한국문화의 탐구』, 중앙인문사, 2000.
홍윤식, 「삼국유사와 밀교」, 『동국사학』14, 동국대학교사학회, 1980.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