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밀교」, 『동국사학』49, 동국대학교사학회, 2010.
이원경, 「신라불교의 밀교적 성격에 관한 고찰」, 위덕대학교, 2004.
이정수, 「밀교승 혜초의 일고」, 『한국불교학』27, 한국불교학회, 2000.
정병삼, 「8세기 신라의 불교사상과 문화」, 『신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18.03.2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밀교의 성립은 대승불교시대에 전개된 반야사상과 중관, 유식 등의 사상적 배경을 기반으로 전개된 것이지만 그 근본은 연기법의 전통에 따른 것이다. Ⅰ. 밀교의 의의
1. 밀교의 개념
1) 밀교(密敎)의 뜻
2) 현교와 밀교
2. 밀교의 태동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09.06.0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를 적멸시키는 길상한 연기를 설하셨고, 모든 설법자 중 가장 훌륭한 正覺者에게 경배를 드린다.”고 하면서 석존의 근본사상을 緣起로 이해했다.
<第一義諦>측면에서는 일체는 “無我”지만 <緣起의 상관관계>에서 상대적으로
|
- 페이지 12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12.03.1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밀교에서의 비로자나불, 즉 대일여래는 보살형으로 표현되는데 금강계의 대일여래는 지권인을 하고 있으며 태장계의 대일여래는 법계정인을 하고 있다.
<태장계 밀교 대일여래>
우리나라에서는 8세기 중엽 화엄사상을 바탕으로 동아시
|
- 페이지 44페이지
- 가격 2,500원
- 등록일 2024.02.2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abhi)’ 연구를 뜻한다. ** 대승불교
- 어원
- 성립배경
- 특징
- 종교윤리
- 대승불교의 사상
- 대승불교의 궁극적 목적
** 밀교
- 밀교의 의미
- 밀교의 기원
- 밀교의 성립배경
- 비밀이라고 하는것은?
- 밀교의 특징
- 밀교의 종류
|
- 페이지 22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08.03.04
- 파일종류 피피티(ppt)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