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정의
2. 원인
3. 병태생리
4. 증상
5. 치료
6. 간호
Ⅲ. 결론
Ⅳ. 참고문헌
Ⅴ. 기출문제
Ⅱ. 본론
1. 정의
2. 원인
3. 병태생리
4. 증상
5. 치료
6. 간호
Ⅲ. 결론
Ⅳ. 참고문헌
Ⅴ. 기출문제
본문내용
성 세균은 E. coli, streptococci, staphylococci 이다.
⑤ 충수돌기염을 치료없이 방치할 경우 복막염으로 진행될 수 있다.
2. 복막염의 병태생리로 옳지 않은 것은?
① 복막의 염증반응으로 인해 복막 주위에 혈액량이 증가한다.
② 장 내 수분과 공기가 정체되어 장 내 압력이 증가한다.
③ 복막의 염증반응으로 인해 장의 연동운동이 증가한다.
④ 장 내 순환혈액량이 감소한다.
⑤ 복압이 증가함에 따라 복통이 증가하여 호흡곤란이 온다.
3. 복막염의 증상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오심과 구토증상으로 수분과 전해질이 불균형해진다.
② 미열과 복근의 경직이 있으며 압통과 반동압통이 있다.
③ 호중구 수와 전체 백혈구 수가 상승한다.
④ 장의 확대, 부종, 복강 내에 공기와 체액이 차있다.
⑤ 장 청진 시 장의 확대로 인해 장음이 증가된다.
4. 복막염의 치료로 옳지 않은 것은?
① 내과적 치료로 비위관 튜브나 장관을 삽입하여 장내 압력을 감소시켜 감염을 해결한다.
② 광범위한 항생제를 정맥으로 주입하는 내과적 치료가 있다.
③ 내과적 치료로 상태가 호전되면 외과적 치료를 시행하지 않아도 된다.
④ 복막염을 예방하기 위해 염증을 일으킨 충수나 게실을 절제하는 외과적 치료가 있다.
⑤ 수술 시행 동안 세균감소를 위해 항생제 용액으로 복강을 세척하는 외과적 치료가 있다.
5. 복막염의 간호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수술 전에는 장음이나 통증을 사정하고 복부를 촉진하여 환자의 건강력을 수집한다.
② 수술 후 비위관으로 영양을 보충하고 정맥으로 수분과 전해질을 보충한다.
③ 수술 후 대상자의 체액균형정도를 확인하기위해 I/O 체크를 하고 몸무게를 측정한다.
④ 수술 후에는 염증부위를 제거하였으므로 항생제가 따로 필요하지 않다.
⑤ 수술 후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V/S을 유심히 체크한다.
해설
1.
정답) 3)
해설) 복막염은 정상 세균이 무균상태의 복강 내로 침입하여 염증반응이 일어난 것이다.
2.
정답) 3)
해설) 복막의 염증반응에서 장의 연동운동이 감소하여 장 내 체액과 공기가 정체가 된다.
3.
정답) 5)
해설) 장 청진 시 장의 연동운동이 감소되어 장음이 감소되거나 들리지 않는다.
4.
정답) 3)
해설) 내과적 치료에서 감압을 시킨 후 감염이 해결되어 환자의 상태가 호전되면 외과적 치료를 시행한다.
5.
정답) 4)
해설) 수술 후에도 감염예방을 위해 항생제를 투여한다.
⑤ 충수돌기염을 치료없이 방치할 경우 복막염으로 진행될 수 있다.
2. 복막염의 병태생리로 옳지 않은 것은?
① 복막의 염증반응으로 인해 복막 주위에 혈액량이 증가한다.
② 장 내 수분과 공기가 정체되어 장 내 압력이 증가한다.
③ 복막의 염증반응으로 인해 장의 연동운동이 증가한다.
④ 장 내 순환혈액량이 감소한다.
⑤ 복압이 증가함에 따라 복통이 증가하여 호흡곤란이 온다.
3. 복막염의 증상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오심과 구토증상으로 수분과 전해질이 불균형해진다.
② 미열과 복근의 경직이 있으며 압통과 반동압통이 있다.
③ 호중구 수와 전체 백혈구 수가 상승한다.
④ 장의 확대, 부종, 복강 내에 공기와 체액이 차있다.
⑤ 장 청진 시 장의 확대로 인해 장음이 증가된다.
4. 복막염의 치료로 옳지 않은 것은?
① 내과적 치료로 비위관 튜브나 장관을 삽입하여 장내 압력을 감소시켜 감염을 해결한다.
② 광범위한 항생제를 정맥으로 주입하는 내과적 치료가 있다.
③ 내과적 치료로 상태가 호전되면 외과적 치료를 시행하지 않아도 된다.
④ 복막염을 예방하기 위해 염증을 일으킨 충수나 게실을 절제하는 외과적 치료가 있다.
⑤ 수술 시행 동안 세균감소를 위해 항생제 용액으로 복강을 세척하는 외과적 치료가 있다.
5. 복막염의 간호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수술 전에는 장음이나 통증을 사정하고 복부를 촉진하여 환자의 건강력을 수집한다.
② 수술 후 비위관으로 영양을 보충하고 정맥으로 수분과 전해질을 보충한다.
③ 수술 후 대상자의 체액균형정도를 확인하기위해 I/O 체크를 하고 몸무게를 측정한다.
④ 수술 후에는 염증부위를 제거하였으므로 항생제가 따로 필요하지 않다.
⑤ 수술 후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V/S을 유심히 체크한다.
해설
1.
정답) 3)
해설) 복막염은 정상 세균이 무균상태의 복강 내로 침입하여 염증반응이 일어난 것이다.
2.
정답) 3)
해설) 복막의 염증반응에서 장의 연동운동이 감소하여 장 내 체액과 공기가 정체가 된다.
3.
정답) 5)
해설) 장 청진 시 장의 연동운동이 감소되어 장음이 감소되거나 들리지 않는다.
4.
정답) 3)
해설) 내과적 치료에서 감압을 시킨 후 감염이 해결되어 환자의 상태가 호전되면 외과적 치료를 시행한다.
5.
정답) 4)
해설) 수술 후에도 감염예방을 위해 항생제를 투여한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