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호학] 천식 (병태생리 증상 징후)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간호학] 천식 (병태생리 증상 징후)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천식
2. 원인
3. 병태생리
4. 증상
5. 지속성 천식 발작


Ⅲ. 결론


Ⅳ. 용어정리


V. 부록


Ⅵ. 참고문헌

본문내용

성 과민반응 유발하는 질병으로 다양한 원인에 의해 생성된 IgE가 비만세포에 부착되어 IgE-비만세포(mast cell) 복합체 형성하고 비만세포에서 탈 과립화 촉진됨에 따라 화학적 물질의 분비로 혈관 이완, 모세혈관 투과성 증진, 부종, 염증 일으켜 기관지 협착 또는 폐색 유발하게 되어 호흡기계 장애를 일으키게 된다. 천식이 잘 조절되면 증상이 일시적가역적이지만, 잘 조절되지 않으면 만성적인염증으로 기관지 상피세포와 기관지 평활근이 손상되고, 폐를 통한 혈류를 방해하여 우심부전으로 까지 진행 될 수 있어 주의해야 한다. 따라서 천식의 증상을 빨리 발견하여 대처해야 한다.
천식의 초기증상은 알레르기원에 노출된 1시간 내에 나타나는데 기관지 평활근 수축, 혈관 이완과 모세혈관 투과성 증가(누출 증가) 및 기관지 상피세포 손상으로 인해 기관지 경련, 점액 생산 증가, 점막 부종, 짙은 객담 분비 증상이 발생하여 천명음, 흉통, 호흡곤란, 기침 등의 증상을 보인다. 후에는 기도 내에 만성염증반응 발생하여 기도직경의 감소, 점막염증과 기관수축 및 과다한 점액 분비로 기도저항이 증가되어 폐포 내에 공기의 포획으로 인해 폐가 과팽창되어질 수 있다. 더불어 동맥혈 가스 분압의 변화(저산소혈증)와 같은 심각한 합병증 발생 가능할 수 있으므로 증상을 유의 깊게 관찰하여 조기발견을 통해 심각한 호흡기계 합병증을 예방하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Ⅳ. 용어정리
1. Tartrazine: 식용 색소 중 하나로 식용황색 제 4호라고 불리며, 절임류, 젤리, 사탕, 아이 스크림, 음료, 해산물 조림 등에 널리 사용됨
2. 방부용: 물질이 썩거나 삭아서 변질되는 것을 막기위해 넣는 물질
Ⅴ. 부록
<천식의 임상양상>
기침
호흡과 관련된 증상
거품이 있고 맑고 끈적끈적한 객담
배출 수면을 방해하며, 낮 동안 피 로감을 증진시켜 천명이 심해짐
야간에 기침
빈발, 발작적, 불안정하며 분비물이 없음
짧은 호흡 호기의 지연
천명 귀와 뺨이 붉어짐
입술이 암적색으로 변함.
손톱 밑이나 입주위의 청색증
안절부절 못함. 염려
발작이 진행됨에 따라 발한의 증가
큰 아동은 어깨를 구부리고 팔을 침대나 의자에 의지한 채 곧게 앉아 있음
짧고 끊어진 문장으로, 띄엄띄엄 말함
흉부
재 발작 시
타진 시 과도 공명음
거칠고 큰 호흡
거친 수포음
호기의 지연
염발음(crackles)
흡기와 호기 시 천명 : 고음
술통모양의 가슴(barrel chest)
어깨가 올라가 있음
호흡 시 보조근육 사용
얼굴의 특징 : 협골이 편평하고 눈 밑에 어두운 그늘이 있으며 코가 좁고 치아의 돌출
Ⅵ. 참고문헌
1. 김영혜 외(2012), 아동간호학 각론, 서울: 현문사, pp. 287~289.
2. 전시자 외(2011), 성인간호학 상권, 서울: 현문사, pp. 588~591.
3. 이향련 외(2010), 성인간호학 Ⅰ 제6판, 경기: 수문사, pp. 489~492.
4. 한국간호과학회 아동간호학회(2012), 아동간호학, 대한간호협회: 서울, pp.271
  • 가격1,2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8.03.22
  • 저작시기2018.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5013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