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호학] 다발성 경화증 (multiple sclerosis) - MS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간호학] 다발성 경화증 (multiple sclerosis) - MS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정의
2. 원인
3. 병태 생리 -
4. 증상과 징후
5. 진단검사
6. 치료
7. 간호

Ⅲ. 결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약물요법과 함께 간헐적 도뇨, 정체도뇨, 치록상부 도뇨 혹은 방광 pacemaker를 삽입할 수 있음
- 다발성 경화증 대상자는 비뇨기감염 위험이 높음
- 금기증이 아니라면 충분한 수분을 섭취하게 함
- 아랫배를 눌러 방광을 짜주는 crede 방법 등으로 방광을 비우는 법을 교육
- kegel 운동도 도움을 줌
- 변비를 막기 위해 수분과 섬유질 섭취를 늘림
- 식이조절로 효과가 없으면 변의 부피를 증가시키는 약물, 배변완화제, 구강자극제, 경한 하제나 좌약 혹은 관장을 처방하기도 함
- 약물이나 식이중재의 효과를 극대화하는 배변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은 매우 중요함
6) 시각장애관리
- 복시를 완화하기 위해 안대를 양쪽 눈에 교대로 적용함
- 시각결손이 있으면 대상자의 머리를 좌우 양쪽으로 움직이게 함고 손이 닿는 가까운 곳에 물건을 두고, 돋보기를 사용하며, 글씨는 크게 쓰도록 함
7) 보완- 대체요법
- 다발성 경화증 대상자에게 중정도의 습열 사용, 자세 기형을 교정하기 위한 마사지, 근력을 증가시키는 운동, 손상부위의 안위증진을 위한 전기적 자극을 제공함
- 통증에 대한 보완-대체요법으로 아로마 치료와 침요법이 있음
8) 대상자 교육
- 환자와 가족에 대한 교육은 질환의 경과와 재발 예방에 대해 이해하도록 도와줌
- 목표 : 환자가 스스로 관리하도록 하는 것
- 환자가 건강한 생활을 유지할 수 있도록 격려해야 함
- 간호사는 조절할 수 없는 질병을 진단받은 환자를 위해 불안과 슬픔과정에 대처할 수 있는 방법도 알려주어야 함
- 간호사는 대상자나 가족에게 질병을 악화시키는 요인에 대해 설명함
- 과도한 에너지 소비, 스트레스, 체온상승(열, 뜨거운 목욕, 심한 추위와 가열), 습도, 상기도감염이 있는 사람을 피하도록 교육함
- 모든 투약의 약물명, 용량, 목적, 부작용 등을 설명하고 기록한 교육지침을 제공함
- 물리치료사는 운동프로그램을 개발하고 대상자에게 자가간호, 일상생활기술과 보행기나 전동차와 같은 보조기에 대해 교육함
- 배변과 배뇨 관리, 피부 관리, 영양, 체위 등에 대한 정보를 제공함
- 적절한 휴식의 중요성과 불필요한 스트레스를 피하도록 교육함
- 규칙적인 사회적 활동에 참여하게 함
- 성격의 변화가 흔히 있으므로 가족이나 대상자에게 이러한 변화에 대처하는 방법을 교육함
9) 가정 간호
- 가족 역할의 변화와 비효과적인 의사소통 등으로 인한 가족 기능장애를 위해 환자와 가족 간의 개 방적으로 의사소통하도록 도움
- 필요한 경우 가족상담이나 제정상담을 주선함
- 근력, 기능, 독립성을 최대한으로 유지하기 위해 여러 의료전문가팀 접근이 필요함
- 간호사는 퇴원 전에 대상자의 집에 기동에 방해가 되는 위험한 것이 있는지를 사정하고 제거하도록 교육함
- 시력손상으로 인해 신체에 손상을 받는 것을 예방함
- 가정환경은 구조화하고 휠체어 접근이 가능하도록 개조하거나 보조기를 퇴원 전에 준비함
Ⅲ. 결론
다발성 경화증은 뇌와 척수 신경섬유의 산재성 수초탈락이 특징인 중추신경계의 만성적·진행성·퇴행성 신경근 질환을 말한다. 병소가 다양해서 다발성경화증을 진단하는 결정적인 특수한 검사방법 없고 일차적으로 건강력, 임상증상, MRI로 측정한 다양한 병소의 존재에 기초하여 진단한다. 나타날 수 있는 증상에는 사지, 몸통, 머리를 움직이는 근육이 허약해지고 다양한 배뇨관련 문제, 무감각, 저린감, 지각이상, 암점으로 인한 실명, 흐린 시야, 현기증, 이명, 청력 감소, 만성 신경병적통증과 온도와 진동, 심부감각이 감소하고, 후기에 나타나는 경련성 마비, 조정력 상실, 운동실조증이 나타나고 정서적으로 불안정하여 행복감과 우울 등을 경험하고 성기능 장애가 나타난다. 약물요법의 근본적인 목적은 염증과 수초의 파괴를 감소시키는 것이며 증상과 질병의 진행과정을 조절하는 것이다. 투여할 수 있는 약물에는 생물학적 제제, 면역억제제, 단클론항체, steroids, 중추신경자극제, 항경련제, carbamazepine이나 tricyclic antidepressants을 투여할 수 있다. 약물로 조절되지 않을 경우 수술을 할 수 있고, 환자가 가능한 한 기능적으로 활동할 수 있도록 돕기 위해 물리치료를 할 수 있고, 비타민 B₁₂와 비타민 C를 보충할 수 있다. 간호목적은 신경근 기능을 최대화시키고, 가능한 한 오랜 기간 일상생활 활동에서 독립성을 유지하며, 심리사회적 안녕을 유지, 질병경과를 조절하며, 악화 유발 요인을 감소시키는 것이다. 대상자에게 적용할 수 있는 간호에는 피로를 조절하기 위해 수면 습관, 현재나 과거에 복용한 투약 종류, 우울증 병력 등을 사정하고, 작업치료사는 일상생활운동을 유지할 수 있도록 교육한다. 근육의 허약과 마비, 근육의 경련 등으로 인한 운동 장애를 위해 보조장비의 사용, 이동과 운반을 격려하고, 관절범위 운동, 체위변경 등을 시행한다. 지남력이 있는 대상자는 방에 일일 달력을 달아놓거나 할 일 목록을 만들도록 격려하고 환경을 체계적으로 정돈하고 자주 사용하는 것들을 익숙한 장소에 배치할 수 있다. 성기능 장애가 있는 환자는 전문적인 성상담자를 만나게 하거나 성적 만족을 느낄 수 있는 대체방법을 제안할 수 있다. 배뇨장애를 위해 간헐적 도뇨법을 이용하거나 크레데 방법을 사용하고 요로계 감염위험을 줄이고 소변을 희석시키기 위해 하루에 3000mL의 수분을 섭취하도록 한다. 복시가 있는 환자는 복시를 완화하기 위해 안대를 양쪽 눈에 교대로 적용하게 하고, 시각결손이 있으면 대상자의 머리를 좌우 양쪽으로 움직이게 함고 손이 닿는 가까운 곳에 물건을 두고, 돋보기를 사용하며, 글씨는 크게 쓰도록 한다. 환자와 가족에게 질환의 경과와 재발 예방에 대해 이해하도록 교육할 수 있다.
Ⅳ. 참고문헌
1. 조경숙 외(2013). 성인간호학 하. 현문사, p. 522~526
2. 김금순 외(2012). 성인간호학Ⅱ. 수문사, p. 1345~1350
3. 신경림 외(2012). 성인간호학 하. 현문사, p. 761~769
4. 이영휘 외(2011). 성인간호학 3. 정담미디어, p. 2091~2097
5. 김수경 외(2012). 알기쉬운 임상약리학, p. 350
  • 가격1,600
  • 페이지수12페이지
  • 등록일2018.03.23
  • 저작시기2018.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5025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