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호학] 비뇨기계의 구조와 기능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간호학] 비뇨기계의 구조와 기능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신장

2. 요관

3. 방광

4. 요도와 요도구

5. 노화와 배뇨 기능



Ⅲ. 결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선이 뚜렷하게 상승, 배뇨가 시작(곡선이 치솟음)
(1) 방광 내 압력
(2) 배뇨기전
방광이 차고 근육섬유가 팽창 → 방광 내 신전수용기(stretch receptor) 자극

천추신경(, )으로 전달 요의가 대뇌피질에 전송

배뇨반사 시작 외괄약근이 수축
(방광 수축, 요도괄약근 이완)
소변흐름 차단
복근의 수의적인 수축
: 방광벽의 압력을 높여 배뇨 촉진
회음근육의 이완
4. 요도와 요도구(Urethra & Meatus)
1) 요도
: 소변을 체외로 운반하는 통로
(1) 구조
: 점막으로 된 근육성 관
① 남성(21cm, 지름 8~9mm)
전립샘 요도부(prostatic urethra): 방광바닥부터 골반저까지의 요도 부위를 전립샘이
둘러 싸고 있는 부위
막성 or 격막 요도부(membraneous urethra): 골반저를 통과하는 요도 부위로 요도 중에서 가장 좁은 부분
해면체 요도부(cavernous urethra): 음경을 통과하는 요도 부위(가장 긴 부분)
② 여성(4cm, 지름 8mm)
: 남성보다 방광 감염의 발생률↑(항문과 질이 요도 가까이 위치하므로)
배뇨하는 동안 배뇨근(detrusor muscle)이 먼저 수축 → 요도 내 압력이 상대적으로 ↓
→ 소변이 방광에서 요도로 흐름

방광은 수축 / 요도 괄약근 이완
⇒ 방광에서 체외로 소변이 배출
여자: 중력에 의해 비워짐
남자: 요도해면체 근육의 수축작용으로 비워짐
※ 요도 입구를 둘러싸고 있는 방광의 평활근은 내요도괄약근으로 작용
(2) 기능
5. 노화와 배뇨 기능
신수질
노화로 인한 영향 X
피질
피질감소 ⇒ 신장 혈류 ↓
사구체
기저면 두꺼워짐, 면적↓ ⇒ 여과력 ↓
세뇨관
기저면 두꺼워짐, 면적↓, 긴장도 ↓ ⇒ 여과력 ↓
※ 세뇨관의 변화는 소변 형성 능력↓, 야뇨성 다뇨 or 소듐, 산, 중탄산 등의 불균형으로 탈수나 고나트륨혈증 동반
혈관벽
두꺼워짐 ⇒ 10% 정도 신장 혈류 ↓
사구체 여과율
- 45세 이후부터 감소
- 65세 이후: 정상인의 1/2 - 65mL/분
※ 당뇨나 고혈압 환자는 더 빨리 감소
호르몬의 변화
renin 분비나 aldosterone, 비타민 D의 활성 ↓
1) 기능변화
신체적 변화
간호
사구체 여과율 감소
- 체내 수분상태 관찰
- 적절한 수분 섭취 권장
- 약물의 신독성 주의
야뇨
- 야간 점화, 안전한 환경 조성
- 화장실, 침상변기 등 편의시설 조성
- 잠들기 2~4시간 전에 과도한 수분섭취 제한
- 투약력과 야뇨 시간 파악
방광 용적 감소
- 적어도 2시간마다 배뇨 or 화장실, 침상변기 등의 사용 격려
- 대상자의 배뇨 요구에 즉각적으로 반응
요도 괄약근의 약화
- 배뇨 후 회음부 간호 제공
소변 정체
- 잔뇨 확인(방광 긴장도), 요로계 감염(배뇨 곤란, 악취, 혼돈)
- 배뇨 시 프라이버시를 존중하고 음부에 따뜻한 물을 흘려주는 등 배뇨 자극
2) 간호
Ⅲ. 결론
김복동님께 요로기계감염과 관련된 간호를 제공하기에 앞서 정상 성인의 비뇨기계 구조와 기능에 대해 알아보았다.
신장은 한 쌍의 후복막장기로, 제 12흉추에서 제 3요추에 걸쳐 척주 좌우에 위치하고 있으며, 좌우신장을 비교해보면 우신장이 간 아래 위치함에 따라 좌신장보다 약간 낮게 위치하고 주변의 지방과 결합조직에 의해 보호된다. 신장은 혈액 중에 있는 노폐물을 정화하여 요를 형성하고 배설하기 위해서 심장이 박출한 혈액의 약 20~25%를 처리하는 기능을 하며, 그 양은 하루 1500L로 신장을 통해 흘러 이 중 1.5L 정도가 소변으로 빠져나간다. 이 과정 속에서 신장 피질의 세뇨관은 걸러진 혈액을 재흡수하여 유용한 물질은 남겨두고 나머지는 배설되도록 하여 사구체 여과액의 약 99%를 신체로 되돌아오게 한다. 또한 체액량 및 전해질을 조절하기 위해 뇌하수체 후엽과 부신에 자극을 전달하여 수분과 NaCl을 배설하도록 하거나, ADH와 알도스테론 분비를 촉진하여 필요시 다시 재흡수하도록 한다. 인체의 ph 균형조절을 위해 HCO₃의 농도를 26~28mEq/L로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완충제로서도 역할하며, 레닌-안지오텐신 체계와 소변 농축에 따라 혈압을 조절한다.
요관은 점막층, 근육층, 섬유성 외층으로 구성되어 혈액을 공급하고 제 11흉추에서 제 1요추의 신경과 연결되며 배뇨 시 방광근육의 수축과 함게 요관을 폐쇄하도록 하여 요역류를 방지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 또한 연동파가 발생함으로써 소변이 신우에서 방광으로 이동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방광은 치골결합 뒤쪽 골반 속에 있는 근육성의 소변저장 주머니이며 방광저, 방광첨, 방광경, 방광삼각의 구조로 이루어져있다. 그 기능으로는 소변이 축적됨에 따라 방광내의 압력을 조절하여 배뇨를 촉진시킨다.
요도는 소변을 체외로 운반하는 통로로서 남성 21cm, 여성 4cm 길이차이에 따라 여성은 항문과 질이 요도 가까이 위치하므로 남성보다 방광 감염의 발생률이 높다. 또한 배뇨 시 방광은 수축하고 요도 괄약근은 이완하며 여성의 경우 중력에 의해 비워지게 되고, 남성의 경우 요도해면체 근육의 수축작용으로 비워진다.
노화에 따라 배뇨기능은 변하게 되는데 피질이 감소하고 혈관벽이 두꺼워지며 신장 혈류량이 줄어들고, 사구체와 세뇨간의 기저면이 두꺼워지고 면적이 감소함에 따라 여과력이 감소하게 된다. 이에 따라 사구체 여과율은 65세 이후에 정상인의 1/2 정도에 불과하며 당뇨나 고혈압 환자인 경우 더 빨리 감소하게 된다.
이에 따른 간호방법으로는 적절한 수분섭취를 격려하고 약물의 신독성을 주의하도록 하며 야뇨가 발생할 경우 잠들기 2~4시간 전에 과도한 수분섭취를 제한하고 투약력과 야뇨 시간을 파악하여 양상을 사정한다. 방광 용적이 감소함에 따라 2시간마다 배뇨하도록 하며 대상자의 배뇨 요구에 즉각적으로 반응하고, 배뇨 후에는 회음부 간호를 제공한다.
Ⅳ. 참고문헌
1. 김금순 외 (2012). 성인간호학Ⅱ. 서울: 수문사 pp. 1479~1487, pp. 1584~1585
2. 전시자 외 (2011). 성인간호학. 서울: 현문사, pp. 113~123
3. 김옥수 (2014). 성인간호학. 대한간호협회 pp. 669
  • 가격1,6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18.03.23
  • 저작시기2018.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5030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