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영양
2. 수면과 활동
3. 치아건강
4. 예방접종
5. 사고예방
Ⅲ. 결론
Ⅳ. 참고문헌
Ⅴ. 용어정리
Ⅵ. 참고자료
Ⅱ. 본론
1. 영양
2. 수면과 활동
3. 치아건강
4. 예방접종
5. 사고예방
Ⅲ. 결론
Ⅳ. 참고문헌
Ⅴ. 용어정리
Ⅵ. 참고자료
본문내용
흡인(aspiration of foreign objects) [|sp|ren v f:rn |:bdekt] : 기도 안에 이물질이 들어간 것.
30. 인공젖꼭지(pacifiers) [psfair] : 아기들의 일종의 장난감으로, 빠는 용도로 사용됨. 젖꼭지 또는 쪽쪽이로 불림.
31. 기계적인 질식(suffocation) [sfkein] : 기계적 원인에 의하여 숨 쉬는 것이 장애를 받은 상태. 기도를 누르거나 조르는 것, 기도가 막히는 것 등이 있음.
32. 자동차 사고(motor vehicle injuries) [[|mot(r) |vi:kl; |ndri] : 자동차가 원인이 되어 일어난 사고
33. 영아용 의자(infant seat) [|nfnt si:t] : 영아가 사용하는 의자
34. 영아용 보행기(infant walker) [|nfnt |w:k(r)] : 영아가 사용하는 보행기
35. 중독(poisoning) [|pznŋ] : 유해물질이 체내에 들어가 기능 장애를 일으키는 것
36. 부적절한 보관(improper storage) [m|pr:p(r) |st:rd] : 보관상태가 부적절한 것
37. 단추 크기의 건전지(button-sized batteries) [|btn -saz |btris] : 크기가 단추만한 건전지, 수은 전지를 말함.
38. 전기 콘센트(electrical outlets) [|lektrkl |atlets] : 전기 배선에 설치하는 접속 기구
39. 난방기구(heat-producting element) [hi:t-|pr:dktiŋ |elmnt] : 방 안을 덥게 하는 기구
40. 결핵균(mycobacterium tuberculosis) [maikoubaekti:rim tu:|b3:rkj|loss] : 미코박테륨의 일종으로, 결핵을 일으키는 주 원인이 되는 세균. 1882년 3월 24일 로베르트 코흐에 의해 발견됨.
41. 과소환기=과탄산증(Hypercapnia)[haiprkpni] 혈중 이산화탄소 농도가 비정상적으로 높은 상태를 말함.
42. 심폐소생술(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k:rdiouplmneri r|sstet]심장과 폐의 활동이 갑자기 멈추었을 때 실시하는 응급처치
43. 손가락 빨기(Thumb sucking) [θm skiŋ] 손가락을 빠는 행위
44. 노리개젖꼭지(Pacifier) [psfair] 아기들이 심심풀이로 빨고 놀 수 있도록 만든 젖꼭지 모양의 장난감
45. 불소=플루오린(fluorine)[fl:ri:n] 독성이 있으나 수돗물에 미량으로 들어 있는 플루오린화 이온은 충치를 예방하는 효과가 있음
46. 면역 글로블린(immune globulin)[|mju:n lbjulin] B 림프구에 의해 형성된 매우 다양한 당단백질로 항원의 존재시 혈액이나 다른 분비조직에서 항체로 분비됨
47. 스테로이드(steroid) [|sterd] 생체 내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콜레스테롤·담즙산·호르몬 등이 포함됨
48. 영아 infant [|nfnt] 출생 1년까지의 아동을 말하며, 이 시기에는 전 일생에서 가장 성장발달이 빠른 중요한 시기이다.
49. 미세 운동 fine motor [fan-moutr] 몸의 전체를 움직여 큰 운동을 하는 대근육 운동과는 달리 몸의 상지, 특히 손과 손가락을 사용하는 작은 운동을 말한다.
50. 몸의 떨림, 전율 shivering [ivriŋ]
51. 애착 attachment [|ttmnt] 인간이 본래적으로 지니고 있는 경향이고 다른 개체와의 접근을 유지하려고 하거나 그것이 방해를 받았을 때에 그것을 되찾으려고 하는 행동.
52. 옹알이 babbling [bbliŋ] 아직 말을 못하는 아동이 혼자 입속말처럼 자꾸 소리 내는 짓
53. 기질 temperament [|temprmnt] 감정적인 경향이나 반응에 관계되는 성격의 한 측면
54. 이유 weaning 지금까지의 영아영양(유동식)에서 유야영양(고형식)으로 이동해가는 과정
55. 면역 Immunization [imjunizein,imju:n-] 몸속에 들어온 병원(病原) 미생물에 대항하는 항체를 생산하여 독소를 중화하거나 병원 미생물을 죽여서 다음에는 그 병에 걸리지 않도록 된 상태. 또는 그런 작용.
Ⅵ. 참고자료
나이
예방접종종류
참고사항
0 ~ 4주
결핵(BCG 피내용)
생후 4주 이내 접종
0 ~ 6개월
B형 간염
3회 접종 (0, 1, 6개월)
2~ 15개월
뇌수막염(Hib)
3회 접종 (2, 4, 6개월), 추가접종 (12~15개월)
2개월 ~ 만 6세
소아마비(폴리오)
3회 접종 (2, 4, 6개월), 추가접종 (만 4~6세)
2개월 ~ 만 12세
디프테리아/파상풍/백일해 (DPT)
3회 접종 (2, 4, 6개월),
추가접종 (15~18개월, 만 4~6세, 만 11~12세)
2개월 ~ 만 6세
디프테리아/파상풍/백일해
+폴리오 (콤보 백신)
3회 접종 (2, 4, 6개월), 추가접종 (만 4~6세)
12 ~ 15개월
수두
1회 접종 (12~15개월)
12개월 ~ 만 6세
홍역/유행성이하선염/풍진(MMR)
2회 접종 (12~15개월, 만 4~6세)
12 ~ 35개월
일본뇌염(생백신)
1회 접종 (12~23개월), 추가접종 (12개월 후)
12개월 ~ 만 12세
일본뇌염(사백신)
3회 접종 (12~36개월),추가접종 (만 6세, 12세)
6개월 ~ 만 4세
인플루엔자
우선접종권장 대상자
24개월 ~ 만 12세
장티푸스
고위험군에 한하여 접종
정규접종을 못한 아동의 예방접종
연령
백신종류
참고사항
7세 이전
첫 방문시
B형 간염(HBV),
디프테리아 파상풍 백일해 혼합 백신(DTaP),
경구용 소아마비 백신,
홍역, 볼거리, 풍진, 혼합 백신(MMR)
15개월 이상의 아동에겐 MMR 투여 전에 투베르쿨린 반응 검사를 한다.
첫 방문후 간격
1개월
B형 간염(HBV), DTaP
소아마비 백신은 소아마비의 위험성이 높은 지역에서 필수적이다.
2개월
DTaP,
경구용 소아마비 백신(TOPV)
소아마비 백신은 3번 투여했으면 더 투여하지 않는다.
8개월 이상
DTaP, B형간염,
경구용 소아마비 백신(TOPV)
30. 인공젖꼭지(pacifiers) [psfair] : 아기들의 일종의 장난감으로, 빠는 용도로 사용됨. 젖꼭지 또는 쪽쪽이로 불림.
31. 기계적인 질식(suffocation) [sfkein] : 기계적 원인에 의하여 숨 쉬는 것이 장애를 받은 상태. 기도를 누르거나 조르는 것, 기도가 막히는 것 등이 있음.
32. 자동차 사고(motor vehicle injuries) [[|mot(r) |vi:kl; |ndri] : 자동차가 원인이 되어 일어난 사고
33. 영아용 의자(infant seat) [|nfnt si:t] : 영아가 사용하는 의자
34. 영아용 보행기(infant walker) [|nfnt |w:k(r)] : 영아가 사용하는 보행기
35. 중독(poisoning) [|pznŋ] : 유해물질이 체내에 들어가 기능 장애를 일으키는 것
36. 부적절한 보관(improper storage) [m|pr:p(r) |st:rd] : 보관상태가 부적절한 것
37. 단추 크기의 건전지(button-sized batteries) [|btn -saz |btris] : 크기가 단추만한 건전지, 수은 전지를 말함.
38. 전기 콘센트(electrical outlets) [|lektrkl |atlets] : 전기 배선에 설치하는 접속 기구
39. 난방기구(heat-producting element) [hi:t-|pr:dktiŋ |elmnt] : 방 안을 덥게 하는 기구
40. 결핵균(mycobacterium tuberculosis) [maikoubaekti:rim tu:|b3:rkj|loss] : 미코박테륨의 일종으로, 결핵을 일으키는 주 원인이 되는 세균. 1882년 3월 24일 로베르트 코흐에 의해 발견됨.
41. 과소환기=과탄산증(Hypercapnia)[haiprkpni] 혈중 이산화탄소 농도가 비정상적으로 높은 상태를 말함.
42. 심폐소생술(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k:rdiouplmneri r|sstet]심장과 폐의 활동이 갑자기 멈추었을 때 실시하는 응급처치
43. 손가락 빨기(Thumb sucking) [θm skiŋ] 손가락을 빠는 행위
44. 노리개젖꼭지(Pacifier) [psfair] 아기들이 심심풀이로 빨고 놀 수 있도록 만든 젖꼭지 모양의 장난감
45. 불소=플루오린(fluorine)[fl:ri:n] 독성이 있으나 수돗물에 미량으로 들어 있는 플루오린화 이온은 충치를 예방하는 효과가 있음
46. 면역 글로블린(immune globulin)[|mju:n lbjulin] B 림프구에 의해 형성된 매우 다양한 당단백질로 항원의 존재시 혈액이나 다른 분비조직에서 항체로 분비됨
47. 스테로이드(steroid) [|sterd] 생체 내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콜레스테롤·담즙산·호르몬 등이 포함됨
48. 영아 infant [|nfnt] 출생 1년까지의 아동을 말하며, 이 시기에는 전 일생에서 가장 성장발달이 빠른 중요한 시기이다.
49. 미세 운동 fine motor [fan-moutr] 몸의 전체를 움직여 큰 운동을 하는 대근육 운동과는 달리 몸의 상지, 특히 손과 손가락을 사용하는 작은 운동을 말한다.
50. 몸의 떨림, 전율 shivering [ivriŋ]
51. 애착 attachment [|ttmnt] 인간이 본래적으로 지니고 있는 경향이고 다른 개체와의 접근을 유지하려고 하거나 그것이 방해를 받았을 때에 그것을 되찾으려고 하는 행동.
52. 옹알이 babbling [bbliŋ] 아직 말을 못하는 아동이 혼자 입속말처럼 자꾸 소리 내는 짓
53. 기질 temperament [|temprmnt] 감정적인 경향이나 반응에 관계되는 성격의 한 측면
54. 이유 weaning 지금까지의 영아영양(유동식)에서 유야영양(고형식)으로 이동해가는 과정
55. 면역 Immunization [imjunizein,imju:n-] 몸속에 들어온 병원(病原) 미생물에 대항하는 항체를 생산하여 독소를 중화하거나 병원 미생물을 죽여서 다음에는 그 병에 걸리지 않도록 된 상태. 또는 그런 작용.
Ⅵ. 참고자료
나이
예방접종종류
참고사항
0 ~ 4주
결핵(BCG 피내용)
생후 4주 이내 접종
0 ~ 6개월
B형 간염
3회 접종 (0, 1, 6개월)
2~ 15개월
뇌수막염(Hib)
3회 접종 (2, 4, 6개월), 추가접종 (12~15개월)
2개월 ~ 만 6세
소아마비(폴리오)
3회 접종 (2, 4, 6개월), 추가접종 (만 4~6세)
2개월 ~ 만 12세
디프테리아/파상풍/백일해 (DPT)
3회 접종 (2, 4, 6개월),
추가접종 (15~18개월, 만 4~6세, 만 11~12세)
2개월 ~ 만 6세
디프테리아/파상풍/백일해
+폴리오 (콤보 백신)
3회 접종 (2, 4, 6개월), 추가접종 (만 4~6세)
12 ~ 15개월
수두
1회 접종 (12~15개월)
12개월 ~ 만 6세
홍역/유행성이하선염/풍진(MMR)
2회 접종 (12~15개월, 만 4~6세)
12 ~ 35개월
일본뇌염(생백신)
1회 접종 (12~23개월), 추가접종 (12개월 후)
12개월 ~ 만 12세
일본뇌염(사백신)
3회 접종 (12~36개월),추가접종 (만 6세, 12세)
6개월 ~ 만 4세
인플루엔자
우선접종권장 대상자
24개월 ~ 만 12세
장티푸스
고위험군에 한하여 접종
정규접종을 못한 아동의 예방접종
연령
백신종류
참고사항
7세 이전
첫 방문시
B형 간염(HBV),
디프테리아 파상풍 백일해 혼합 백신(DTaP),
경구용 소아마비 백신,
홍역, 볼거리, 풍진, 혼합 백신(MMR)
15개월 이상의 아동에겐 MMR 투여 전에 투베르쿨린 반응 검사를 한다.
첫 방문후 간격
1개월
B형 간염(HBV), DTaP
소아마비 백신은 소아마비의 위험성이 높은 지역에서 필수적이다.
2개월
DTaP,
경구용 소아마비 백신(TOPV)
소아마비 백신은 3번 투여했으면 더 투여하지 않는다.
8개월 이상
DTaP, B형간염,
경구용 소아마비 백신(TOPV)
키워드
추천자료
모성간호의 특성
[간호학]아동간호학
[정신건강과 간호 공통] 효율적인 스트레스 관리를 위한 첫 단계는 자신의 스트레스를 인식하...
[정신건강론 精神健康論] 틱장애(Tic disorder)의 이해 - 틱장애의 정의와 특성, 틱장애의 원...
[노인건강문제관리] 지역사회 연계를 위한 간호중재
선천성 심장질환 아동과 가족간호1. 가족이 질병에 적응하도록 돕기 2. 질병에 대한 가족교육...
선천성 심장질환 아동과 가족간호 (1. 가족이 질병에 적응하도록 돕기 2. 질병에 대한 가족교...
당뇨의 합병증을 급성과 만성으로 구분하여 정리 2017 생활과건강 2.제2형 당뇨병 환자를 위...
1)당뇨의 합병증을 급성과 만성으로 구분하여 정리 생활과건강 2017년 2)제2형 당뇨병 환자를...
1)당뇨의 합병증을 급성과 만성으로 구분하여 정리.생활과건강 2)제2형 당뇨병 환자를 위한 ...
[간호학] 영아기 심리사회적 발달 특징
[간호학] 영아기 아동의 심리사회적 성장발달 특징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