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서론
본론
1, 노인과 영양상태 관련 연구
2, 용어의 정의 3, 연구의 목적 4, 문헌 고찰
5, 영양 상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6, 빈곤 노인의 영양불량 관련 요인
결론: 평가
참고문헌
본론
1, 노인과 영양상태 관련 연구
2, 용어의 정의 3, 연구의 목적 4, 문헌 고찰
5, 영양 상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6, 빈곤 노인의 영양불량 관련 요인
결론: 평가
참고문헌
본문내용
과에 의한 영양불량 유병률은 여성 노인 18.8%, 남 진노인 10.6%로 여성 노인의 영양불량이 더 심한 것으로 보고하였다. 최종 시점에서 영양불량의 위험도를 평가한 결과, 나이를 통제했을 때 여성의 영양불량 위험이 남성 노인보다 1.95배 더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국내 연구에서도 대도시 지역과 농촌 지역 모두 여자 노인이 남자 노인보다 영양 상태가 더 불량한 것으로 나타났다(박연환 등, 2007년; 한혜자 등, 2007년). 한혜자 등 (2007년)은 농촌 지역 노인의 경우 남자 노인의 MAN 점수는 평균 25.3점, 여자 노인은 23.1점으로 남성 노인에 비해 여성 노인의 영양 상태가 더 낮은 것으로 보고하였다. 영양섭취량을 측정한 연구(임경숙 등, 2004년)에서도 영양소별 권장량 섭취량의 75% 미만 섭취자의 비율이 남성로 인은 27.4%, 여성 노인은 36.1%로에너지 섭취량이 부족한 노인의 비율은 여성이 더 높았으며, 단백질 섭취량이 부족한 경우도 남성 노인의 28.5%, 여성 노인의 34.5%로 여성 노인의 에너지와 단백질 섭취량 부족률이 더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반면에, 일 지역 노인의 영양섭취량을 조사한 양 경미(2005년)의 연구에서는 남녀의 1일 평균에너지 섭취량이 각각 권장량의 각각 79.3%, 86.3% 수준으로 여성 노인의 섭취량이 다소 많았으나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여성 노인이 영양불량 위험이 크며 영양소 섭취량도 적어 남성 노인보다는 영양불량 수준이 더 높을 것으로 보인가.
6, 빈곤 노인의 영양불량 관련 요인
노화와 관련된 질병이나 생활습관, 사회적 또는 환경적 요인들은 영양상태에 상당한 영향을 미친다. 그런데도 영양 문제는 흔히 인식되지 못하거나 간과되고 있다(Lando et al. 2010년). 선행 연구에서 빈곤 노인을 대상으로 영양 상태와 영양소 섭취수준을 조사한 연구가 많지 않아 정확히 알 수는 없지만, 본 과제결과를 통해 신체적 기능상태와 구강 건강상태, 주관적 건강상태, 식욕부진, 우울 등의 건강 수준과 식사준비에 대한 어려움 등의 식이 관련 요인에 따른 차이가 있으며, 특히 식욕부진과 식사준비에 대한 어려움이 빈곤 노인의 영양불량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임을 확인하였다. 반면에, 선행연구에서 영양불량의 위험요인으로 언급되었던 대상자의 나이, 성별 등의 인구학적 특성과 음주, 흡연, 신체 활동 등의 건강 행위가 본 연구에서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평가
여러 선행연구(박 미연 등, 2006년; 이명숙, 2012년; 임경숙 등, 2004년; 최수미 등, 2012년; 한혜자 등, 2007년; Johnansson et al. 2008년)에서 나이 증가에 따른 영양 상태와 영양불량 위험의 유의한 증가를 보고하고 있는데, 본 과제에서도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보이지는 않았으나 나이가 증가할수록 영양 상태가 나빠지는 경향을 보였다. 그러나 일부 연구(박연환 등, 2007년; 양 숙자, 2005년)에서는 오히려 고령 노인보다 연소 노인에서 더 영양위험도가 높은 것으로 보고하였다. 이는 영양소 섭취량과 이에 따른 신체구성요소의 변화가 나타나는 것은 75세 이후 고령이지만 이러한 상태를 초래하는 위험요인들이 나타나는 시기는 이보다 나이가 낮은 노년기 초기이며(박연환 등, 2007년), 영양불량 위험요인을 가진 노인들이 점차 나이가 듦에 따라 영양불량을 유발하는 것으로 확인됨(Johnansson et al. 2008년)으로서, 영양 중재의 조기 개입이 중요할 것으로 생각한다. 여기서 성별에 따른 영양 상태의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본 과제대상자 중 남성 노인의 수가 여성 노인보다 작아 성별에 따른 편차가 크지 않았기 때문에 성별에 따른 영양 상태의 차이를 정확히 측정하는데 제 한점이 있다. 그런데도, 본 과제의 결과는 성별에 따른 영양 상태 의 차이가 없다고 보고한 일부 선행연구(최수미 등, 2012년; Johanson et al. 2009년)의 결과를 지지한다. 반면에, 남성 노인이 여성 노인보다 영양불량 위험이 크다고 한 연구결과(박연환 등, 2007년; 임경숙 등, 2004년)나, 여성 노인이 남성 노인보다 영양불량 위험이 크다고 한 연구결과(한혜자 등, 2007년)와는 상반된다.
이렇듯 일치되지 않는 연구결과들은 아마도 성별에 따른 영양 상태의 차이를 분석할 때 대상자의 나이와 사회문화적 차이 등에 의한 영향이 함께 고려되지 않았기 때문으로 보인다. 한편 일부 연구(최수미 등, 2012년)에서 남성 노인의 경우 대부분 가족과 함께 생활하고 있으므로 서양과 달리 가족이 식사준비를 해주고 있으므로 영양결핍 위험이 더 적을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다. 여기서 성별에 따른 배우자 유무와 동거유형을 분석한 결과, 남성 노인과 여성 노인 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 성별에 따른 식사준비의 어려움에도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본 과제대상자 중 남성 노인의 비율이 미미하였고 실제로 식사를 준비하는 사람이 누구인지에 대한 조사가 이루어지지 않아 영양 상태에 미치는 성별의 영향을 명확히 밝히기에는 제한점이 있다. 따라서 향후 노인의 영양 상태와 성별에 따른 위험요인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사회문화적 요인 등을 함께 고려하는 것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한다.
참고문헌
이영미. 2012. 영양판정. 효일문화사
여자 노인의 정신 건강과 혈액성상 및 식생활과의 관련성 = A study of a mutual relationship between the mental health of female elderly and their hematological parameters and the pattern of their eating habits
한진숙, 경북대학교 교육대학원,[2016] [국내석사]
장남수 외. 2011. 지역사회 영양학. 광문각.
모수미 외. 2004, 생활주기영양학. 효일문화사.
김숙희 외 2인, 2007, 식생활과 건강 , 서울 : 신광출판사.
임경숙, 2004. 초등학교 급식의 영양관리 현황 및 개선 방안 연구, 대한영양사협회학술
6, 빈곤 노인의 영양불량 관련 요인
노화와 관련된 질병이나 생활습관, 사회적 또는 환경적 요인들은 영양상태에 상당한 영향을 미친다. 그런데도 영양 문제는 흔히 인식되지 못하거나 간과되고 있다(Lando et al. 2010년). 선행 연구에서 빈곤 노인을 대상으로 영양 상태와 영양소 섭취수준을 조사한 연구가 많지 않아 정확히 알 수는 없지만, 본 과제결과를 통해 신체적 기능상태와 구강 건강상태, 주관적 건강상태, 식욕부진, 우울 등의 건강 수준과 식사준비에 대한 어려움 등의 식이 관련 요인에 따른 차이가 있으며, 특히 식욕부진과 식사준비에 대한 어려움이 빈곤 노인의 영양불량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임을 확인하였다. 반면에, 선행연구에서 영양불량의 위험요인으로 언급되었던 대상자의 나이, 성별 등의 인구학적 특성과 음주, 흡연, 신체 활동 등의 건강 행위가 본 연구에서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평가
여러 선행연구(박 미연 등, 2006년; 이명숙, 2012년; 임경숙 등, 2004년; 최수미 등, 2012년; 한혜자 등, 2007년; Johnansson et al. 2008년)에서 나이 증가에 따른 영양 상태와 영양불량 위험의 유의한 증가를 보고하고 있는데, 본 과제에서도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보이지는 않았으나 나이가 증가할수록 영양 상태가 나빠지는 경향을 보였다. 그러나 일부 연구(박연환 등, 2007년; 양 숙자, 2005년)에서는 오히려 고령 노인보다 연소 노인에서 더 영양위험도가 높은 것으로 보고하였다. 이는 영양소 섭취량과 이에 따른 신체구성요소의 변화가 나타나는 것은 75세 이후 고령이지만 이러한 상태를 초래하는 위험요인들이 나타나는 시기는 이보다 나이가 낮은 노년기 초기이며(박연환 등, 2007년), 영양불량 위험요인을 가진 노인들이 점차 나이가 듦에 따라 영양불량을 유발하는 것으로 확인됨(Johnansson et al. 2008년)으로서, 영양 중재의 조기 개입이 중요할 것으로 생각한다. 여기서 성별에 따른 영양 상태의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본 과제대상자 중 남성 노인의 수가 여성 노인보다 작아 성별에 따른 편차가 크지 않았기 때문에 성별에 따른 영양 상태의 차이를 정확히 측정하는데 제 한점이 있다. 그런데도, 본 과제의 결과는 성별에 따른 영양 상태 의 차이가 없다고 보고한 일부 선행연구(최수미 등, 2012년; Johanson et al. 2009년)의 결과를 지지한다. 반면에, 남성 노인이 여성 노인보다 영양불량 위험이 크다고 한 연구결과(박연환 등, 2007년; 임경숙 등, 2004년)나, 여성 노인이 남성 노인보다 영양불량 위험이 크다고 한 연구결과(한혜자 등, 2007년)와는 상반된다.
이렇듯 일치되지 않는 연구결과들은 아마도 성별에 따른 영양 상태의 차이를 분석할 때 대상자의 나이와 사회문화적 차이 등에 의한 영향이 함께 고려되지 않았기 때문으로 보인다. 한편 일부 연구(최수미 등, 2012년)에서 남성 노인의 경우 대부분 가족과 함께 생활하고 있으므로 서양과 달리 가족이 식사준비를 해주고 있으므로 영양결핍 위험이 더 적을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다. 여기서 성별에 따른 배우자 유무와 동거유형을 분석한 결과, 남성 노인과 여성 노인 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 성별에 따른 식사준비의 어려움에도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본 과제대상자 중 남성 노인의 비율이 미미하였고 실제로 식사를 준비하는 사람이 누구인지에 대한 조사가 이루어지지 않아 영양 상태에 미치는 성별의 영향을 명확히 밝히기에는 제한점이 있다. 따라서 향후 노인의 영양 상태와 성별에 따른 위험요인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사회문화적 요인 등을 함께 고려하는 것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한다.
참고문헌
이영미. 2012. 영양판정. 효일문화사
여자 노인의 정신 건강과 혈액성상 및 식생활과의 관련성 = A study of a mutual relationship between the mental health of female elderly and their hematological parameters and the pattern of their eating habits
한진숙, 경북대학교 교육대학원,[2016] [국내석사]
장남수 외. 2011. 지역사회 영양학. 광문각.
모수미 외. 2004, 생활주기영양학. 효일문화사.
김숙희 외 2인, 2007, 식생활과 건강 , 서울 : 신광출판사.
임경숙, 2004. 초등학교 급식의 영양관리 현황 및 개선 방안 연구, 대한영양사협회학술
추천자료
레포트_영양학(지역주민을 위한 영양 관련 지원 정책 및 프로그램)
당뇨병 발생현황과 원인 및 당뇨병 치료와 영양관리 방법에 관한 논의(보건통계와 병원 처방 ...
[영양][영양분][영양소][탄수화물][지방][단백질][무기질][비타민][올바른 식습관]영양, 영양...
아동들의 영양과 관련하여 유아기관 또는 가정에서 같이 해 볼 수 있는 활동 계획안 작성하기
아동의 식생활과 영양 관련 문제
초등학교 세계사 교육 교재 및 관련 논문(연구 성과물) 검토
위생과 영양에 관련된 영유아교육기관에서의 관리방법과 내용을 작성
영유아 영양과 관련된 자료(신문기사 등)를 스크랩하여 내가 찾은 정보 요약, 새로 알게 된 ...
[노인간호학] 노인과영양, 노인의영양요규량, 노인영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노인영양과 관...
영양과 관련된 질병의 위험을 줄이기 위해서는 어떤 식품을 어떻게 섭취해야 할 것인지 건강...
[노인건강관리] 노년기 영양(노년기의 영양관리) - 노인의 영양요구량, 노년기의 영양과 관련...
건강증진론=제4차 국민건강증진계획의 중점과제인 영양의 건강체중 유지 및 생애주기별 영양...
식욕부진과 관련된 영양부족 간호과정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