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임신 중 불편감과 자가간호교육
1) 임신 1기
2) 임신 2기
3) 임신 3기
2. 임신의 자가간호증진을 위한 일반적 간호관리
Ⅲ. 결론
Ⅳ. 참고문헌
Ⅱ. 본론
1. 임신 중 불편감과 자가간호교육
1) 임신 1기
2) 임신 2기
3) 임신 3기
2. 임신의 자가간호증진을 위한 일반적 간호관리
Ⅲ. 결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
반스타킹은 혈전성 정맥염의 발생위험을 증가시킬 수 있으므로 착용하지 말아야 함.
옷을 여러 겹 입는 것은 임신 말기에 열감을 느끼게 할 수 있음.
7) 운동
임신 중 운동: 기분전환, 혈액순환 촉진, 숙면, 에너지 상승, 요통완화, 산후 건강회복
임신기간과 질병유무에 따라 운동시간, 난이도 조절 필요함.
- 조산·유산 위험성 있는 임부, 부종·심계항진 등의 증상을 호소하는 임부, 빈혈·고혈압·
심장병 등을 진단받은 임부는 운동을 제한하여야 함.
- 건강한 임부의 경우 비임신 여성과 동일하게 매일 30분 운동하는 것이 좋음.
8) 수면과 휴식
임신 1기, 3기 대사요구량 증가 → 피로를 느낌
수면의 질을 향상시키는 방법
- 취침과 기상 시간을 일정하게 유지
- 저녁식사 이후 수분섭취를 제한하여 화장실 가는 횟수를 줄임.
- 하지 혈액순환 증진을 위해 변형된 심스 체위(Modified Sim's Position) 취함.
- 임신 4개월 이후 자궁순환을 방해할 수 있는 앙와위를 피함.
9) 성생활과 성
오심, 빈뇨 등과 같은 증상은 성적 욕구 ↓, 에스트로겐 수치 상승으로 성적 욕구 ↑
임신기간 동안에도 성관계가 가능하다는 것을 알려줌.
- 성교만이 아닌 애무, 손잡기, 키스, 포옹과 같은 것도 성적 표현이 될 수 있음.
- 임신 말기에는 여성상위, 측위 체위 등 여성이 편안한 체위를 제안함. - 임신 중 다태임신 다태임신: 둘 이상의 태아를 동시에 임신한 경우
, 질 출혈, 전치태반 전치태반: 태반이 자궁 출구에 매우 근접해 있거나 출구를 덮고 있을 때를 말하며, 전 전치태반과 부분 전치태반의 경우 자궁 하절부가 형성되고 자궁 출구가 열리게 되면 혈관이 파열되어 출혈이 동반된다.
등을 겪었다면 성생활이 제안됨.
10) 직장
미용사, 수의사, 오랫동안 서 있는 직업 등에서 오랜 시간 노동은 저체중 출생이나 조산을 초래할 수 있음. ⇒ 노동 중간 적절한 휴식을 취해야 함.
(e.g. 8시간 근무 동안 10~15분 정도 2번 휴식)
고용주는 임부가 위험에 노출되지 않고 업무 부담을 느끼지 않도록 해주어야 함.
11) 여행
안전수칙을 잘 지킨다면 자동차 또는 비행기로 여행이 가능(항상 3-point 안전벨트)
임신 2기: 문제 발생 확률이 가장 낮은 시기이므로 여행에 적절함.
12) 면역과 약물
현재 임부의 예방접종으로 인한 위험의 증가는 충분히 밝혀진 바가 없음.
임신 전 병원 방문 시 MMR(홍역, 이하선염, 풍진), B형간염, 디프테리아, 파상풍에 대한 면역 논의 후 예방주사 필요함.
어떠한 약물이든 복용 전에는 의료인과 상의가 필요함.
Ⅲ. 결론
우리는 심 현경님이 임신을 유지 할 경우 임신 중에 느낄 수 있는 불편감과 그에 따른 자가간호법을 알고 교육을 해 주기 위해 이 자료를 만들게 되었다.
임신은 임신 1기, 임신 2기, 임신 3기로 나눌 수 있는데 그 기간 동안에 임부가 느낄 수 있는 불편감은 각각 다르며 그에 따른 자가간호법 또한 다양하다. 자가간호 증진을 위해서는 임부의 개인 위생간호 ( 회음부, 구강, 목욕 등 ), 유방 간호, 의복의 관리, 과도하지 않은 운동 및 수면과 휴식(여행), 성 생활 유지, 직장 생활, 면역 및 약물의 관리 등 일반적인 간호관리가 필요하다.
안전한 임신 유지와 건강한 아이의 출산을 위해서는 주위 환경과 주변사람들의 도움이 영향을 미치지만 무엇보다도 임부 스스로의 자가 간호를 위한 노력이 더욱 더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Ⅳ. 참고문헌
1. 김혜원 외 (2011). 여성건강간호학 Ι. 서울: 정담미디어, pp.346~351
2. 정문숙 외 (2005). 여성건강간호학 Ι. 서울: 정담미디어, pp.146~149
반스타킹은 혈전성 정맥염의 발생위험을 증가시킬 수 있으므로 착용하지 말아야 함.
옷을 여러 겹 입는 것은 임신 말기에 열감을 느끼게 할 수 있음.
7) 운동
임신 중 운동: 기분전환, 혈액순환 촉진, 숙면, 에너지 상승, 요통완화, 산후 건강회복
임신기간과 질병유무에 따라 운동시간, 난이도 조절 필요함.
- 조산·유산 위험성 있는 임부, 부종·심계항진 등의 증상을 호소하는 임부, 빈혈·고혈압·
심장병 등을 진단받은 임부는 운동을 제한하여야 함.
- 건강한 임부의 경우 비임신 여성과 동일하게 매일 30분 운동하는 것이 좋음.
8) 수면과 휴식
임신 1기, 3기 대사요구량 증가 → 피로를 느낌
수면의 질을 향상시키는 방법
- 취침과 기상 시간을 일정하게 유지
- 저녁식사 이후 수분섭취를 제한하여 화장실 가는 횟수를 줄임.
- 하지 혈액순환 증진을 위해 변형된 심스 체위(Modified Sim's Position) 취함.
- 임신 4개월 이후 자궁순환을 방해할 수 있는 앙와위를 피함.
9) 성생활과 성
오심, 빈뇨 등과 같은 증상은 성적 욕구 ↓, 에스트로겐 수치 상승으로 성적 욕구 ↑
임신기간 동안에도 성관계가 가능하다는 것을 알려줌.
- 성교만이 아닌 애무, 손잡기, 키스, 포옹과 같은 것도 성적 표현이 될 수 있음.
- 임신 말기에는 여성상위, 측위 체위 등 여성이 편안한 체위를 제안함. - 임신 중 다태임신 다태임신: 둘 이상의 태아를 동시에 임신한 경우
, 질 출혈, 전치태반 전치태반: 태반이 자궁 출구에 매우 근접해 있거나 출구를 덮고 있을 때를 말하며, 전 전치태반과 부분 전치태반의 경우 자궁 하절부가 형성되고 자궁 출구가 열리게 되면 혈관이 파열되어 출혈이 동반된다.
등을 겪었다면 성생활이 제안됨.
10) 직장
미용사, 수의사, 오랫동안 서 있는 직업 등에서 오랜 시간 노동은 저체중 출생이나 조산을 초래할 수 있음. ⇒ 노동 중간 적절한 휴식을 취해야 함.
(e.g. 8시간 근무 동안 10~15분 정도 2번 휴식)
고용주는 임부가 위험에 노출되지 않고 업무 부담을 느끼지 않도록 해주어야 함.
11) 여행
안전수칙을 잘 지킨다면 자동차 또는 비행기로 여행이 가능(항상 3-point 안전벨트)
임신 2기: 문제 발생 확률이 가장 낮은 시기이므로 여행에 적절함.
12) 면역과 약물
현재 임부의 예방접종으로 인한 위험의 증가는 충분히 밝혀진 바가 없음.
임신 전 병원 방문 시 MMR(홍역, 이하선염, 풍진), B형간염, 디프테리아, 파상풍에 대한 면역 논의 후 예방주사 필요함.
어떠한 약물이든 복용 전에는 의료인과 상의가 필요함.
Ⅲ. 결론
우리는 심 현경님이 임신을 유지 할 경우 임신 중에 느낄 수 있는 불편감과 그에 따른 자가간호법을 알고 교육을 해 주기 위해 이 자료를 만들게 되었다.
임신은 임신 1기, 임신 2기, 임신 3기로 나눌 수 있는데 그 기간 동안에 임부가 느낄 수 있는 불편감은 각각 다르며 그에 따른 자가간호법 또한 다양하다. 자가간호 증진을 위해서는 임부의 개인 위생간호 ( 회음부, 구강, 목욕 등 ), 유방 간호, 의복의 관리, 과도하지 않은 운동 및 수면과 휴식(여행), 성 생활 유지, 직장 생활, 면역 및 약물의 관리 등 일반적인 간호관리가 필요하다.
안전한 임신 유지와 건강한 아이의 출산을 위해서는 주위 환경과 주변사람들의 도움이 영향을 미치지만 무엇보다도 임부 스스로의 자가 간호를 위한 노력이 더욱 더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Ⅳ. 참고문헌
1. 김혜원 외 (2011). 여성건강간호학 Ι. 서울: 정담미디어, pp.346~351
2. 정문숙 외 (2005). 여성건강간호학 Ι. 서울: 정담미디어, pp.146~149
키워드
추천자료
기본간호학 수술간호 (수술 전중후 요약)
성인간호학 외과 실습 신생물 간호과정 neoplasm case study
(지역사회간호학) 방문 간호사례 보고서/간호과정/보건소실습
[간호학] 영화 <남자가 사랑할 때 (When a Man Loves a Woman)> 정신간호학 사례적용
[보건교육 C형] 초(중.고)학생의 안전과 사고예방에 대한 교육-보건교육
[아동간호학] 뇌기능 사정과 무의식 아동간호
노인간호학 사전학습: 와상노인 간호, 고혈압(Hypertension), 당뇨(DM, Diabetes mellitus), ...
★ 성인간호학 - 폐결핵 ( 정의, 발병원인, 증상, 진단, 검사, 치료, 간호, 합병증, 예방법 )
성인간호학 여성간호학 수술실 자궁근종케이스스터디
[지역사회간호학] 만성 질환 간호 재활 간호 사업
아동간호학) Bronchial Asthma(기관지 천식) 케이스 스터디, 기관지 천식 케이스, 천식 케이...
방문보건 케이스 스터디 A+ (방문보건 CASE, 방문보건 간호과정, 지역사회간호학 실습, 보건...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