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큐메니칼 운동 (Ecumenical Movement - 에큐메니칼 운동사(史)와 그것에 대한 회고)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에큐메니칼 운동 (Ecumenical Movement - 에큐메니칼 운동사(史)와 그것에 대한 회고)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 WCC는 반공이데올로기를 극복하고 세계의 냉전 구조를 종식시키고 평화를 실현하려고 노력하였다. 이러한 WCC의 신학적 입장은 한국 예수교장로회가 분열된 원인을 제공하기도 하였다. 현재 WCC는 남북통일을 위해서 남북 교계지도자의 만남을 스위스 글리온 회의, 일본 도잔소 회의, 미국 워싱톤 회의 등을 계속 추진하고 있다.
5. 해방의 신학운동
WCC는 남미해방의 신학, 흑인해방의 신학, 민중 신학, 여성해방의 신학 등 다양한 해방의 신학이 탄생할 수 있는 정신적신학적 배경이 되었다. 또한 이러한 해방 신학은 WCC를 중심으로 발전되었다. 초기의 책임사회의 구현은 점차 구조악의 문제를 의식하면서 구조악의 개선과 개혁을 위해서는 혁명적인 해방운동을 요구하였다. 이러한 역사적 상황은 눌렸던 민중들의 해방을 강력하게 이끌어 갔다.
Ⅳ. 나오는 말
19세기 선교사들이 피 선교 지역의 선교현장에서 교파주의의 한계를 깨닫게 되면서부터 시작된 운동은 마침내 1948년 WCC를 창립하게 된다. '전 세계'(whole world)를 향한 ‘총체적 복음’(whole gospel)을 ‘전 교회’(whole church, all the church)적으로 증거하는 것을 목표로 하여 정진(精進)하는 WCC의 모습 속에서 본인(본 레포트 발제자)은 현대 교회가 추구해야할 모델을 발견하게 되었다.
본 레포트에서 살펴보았듯이, WCC는 제 1차 암스텔담 대회(1948)에서부터 제 7차 켄버러 대회(1991)를 개최함으로써 각 시대적 상황, 세계사적 상황 속에서 중요한 문제점들을 지적하여 논의하였다. 본 레포트에는 WCC에서 논의된 여성문제에 대한 내용을 수록하지 못하였지만, WCC는 제 1차 대회 때부터 여성문제에 깊은 관심을 가져왔으며, 현재까지도 그러하다. 또한 제 5차 대회(1975)에서 논의된 과학과 기술 발전에 의해 제기된 환경문제, 유전공학의 발전에 의해 제기된 윤리적 문제, 핵무기 사용 및 생산의 죄악성 문제 등을 WCC에서 다룬다는 사실이 무척 흥미로웠다.
이처럼 에큐메니칼 운동(Ecumenical Movement)의 역사를 통하여 우리는 현대 교회가 추구해야할 방향을 모색해 볼 수 있었다. 세계사적 상황에 민감하여 그 문제에 대하여 사색(思索)하나 그러한 변화와 움직임에 유동성을 잃지 않는 교회의 모습을 잠시 그려본다.
Ⅴ. 참고문헌
1. 김홍기, 「교회와 세계」 “에큐메니칼 운동사의 회고와 전망(1)”, (1998년 11월).
2. 김홍기, 「교회와 세계」 “에큐니즘과 선교”, (1998년 12월).
3. 김홍기, 「교회사 Ⅱ 강의록」.
4. 세계교회협의회 엮음, 이형기 옮김, 「세계교회협의회 역대총회종합보고서」, (서울: 한국장로교출판사, 1993).
5. 말린 벤엘데렌 지음, 이형기 옮김, 「세계교회협의회 40년사」, (서울: 한국장로교출판사, 1993).
6. Williston Walker, A History of the Christian Church, (New York; Charles Scribner's Sons, 1959).
  • 가격1,4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8.03.26
  • 저작시기2018.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5112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