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U case study - DKA ESRD SDH
본 자료는 6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해당 자료는 6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6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MICU case study - DKA ESRD SDH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문헌고찰 ------------------------------------------------------------1
2. 간호사정 ------------------------------------------------------------5
3. 중환자 상례기록지 -------------------------------------------------7
4. 임상&특수 검사 ----------------------------------------------------8
5. 투 약 ---------------------------------------------------------------14
6. 간호과정 -----------------------------------------------------------16

본문내용

지러움, 구역, 구토, 가려움, 배뇨장애 등
합성마약
ativan
4mg
IV
마취전 투약, 내시경검사, 기관지경검사, 동맥촬영시의 불안, 긴장, 급성 불안, 급성 흥분 또는 급성조증
헛소리, 진전, 불면, 불안, 환각, 망상 졸음, 어지러움, 휘청거림, 기립성 조절장애 등
정신신경용제
tabactam
2.25g
IV
하기도감염, 비뇨기감염, 복강 내 감염, 호중구 감소증 환자의 발열 및 감염증, 세균성 패혈증
칸디다성균 교대감염, 백혈구감소증, 혈소판감소증, 두통, 불면증, 설사, 오심, 구토, 발진, 혈중크레아티닌증가, 주사부위반응 등
주로 그람양성, 음성균에 작용하는 것
denogan
1g
IV
외과 수술, 암, 감염성 질환, 악성질환으로 인한 발열
홍반, 담마진, 일시적 구토, 혈소판감소증 등
해열진통소염
renalmin
1T
PO
투석환자, 만성신부전에 의한 질소혈증 환자의 비타민 B, C 보급
구역, 구토, 설사, 식욕부진, 복부팽만감, 알레르기성 과민증상, 고요산혈증, 간손상 등
혼합비타민제
humalog
3ml
SC
인슐린 요법이 요구되는 당뇨병
저혈당, 고혈당 및 당뇨병성케톤산증, 당뇨병 망막증,
주사부위 국소반응(발적, 종창, 가려움 등),
전신 과민반응(쇽, 혈압강하, 두드러기 등)
당뇨병용제
carnit
500mg
PO
위, 십이지장궤양, 위염, 위산과다
칼슘보급
구역, 변비, 설사, 고칼슘혈증, 알카리증, 신결석, 요로결석, 가려움증 등
제산제
6. 간호과정
1)간호진단 도출(우선순위)
# 기도 내 분비물과 관련된 기도개방유지불능
# 대사율변화와 관련된 비효율적조직관류
# 침습적처치와 관련된 감염위험성
# 활동감소로 인한 피부손상위험성
# 허약감으로 인한 낙상위험성
간호사정
(의미있는 자료)
간호진단
간호계획
간호수행
평가 및
재사정
1.호흡 시 악설음 청진됨.
2.기도 내 분비물 있음
-색 : Yellow
-양 : Moderate
-양상 : Thick
3.스스로 객담배출을 하지 못함.
4.산소포화도 감소됨.
P O2
2/28
67.9
78.8
2/29
65.3
O2 SAT
2/28
93.6
2/29
94.1
기도 내 분비물과 관련된 기도개방유지불능
1.규칙적으로 활력징후를 측정한다.
2.4시간마다 호흡양상(호흡음,횟수,리듬 등)을 관찰한다.
3.침상머리를 30도 정도 올려준다.
4.매 4시간마다 체위변경을 시행한다.
5.필요시 흉곽타진법을 시행하여 객담배출을 돕는다.
6.산소요법 시행에 대해 모니터링 한다.
7.ABGA 검사결과를 확인한다.
8.객담의 양, 농도, 색깔을 관찰하고 기록한다.
1.매 duty 마다 활력징후를 측정함.
2.4시간마다 호흡양상을 관찰함.
3.침상머리를 30도 올려줌.
4.매 4시간마다 체위변경을 시행함.
5.흉곽타진법 시행을 관찰함.
6.산소요법을 시행하고 있음을 확인함.
7.ABGA검사결과를 확인함.
부분해결됨:산소포화도가 95%이상 유지되고 객담을 스스로 배출함
1.BST 수치가 상승됨.
날짜
시간
수치
27일
3PM
High
28일
7AM
189
29일
7PM
386
1일
4PM
295
2.말초부위에 부종이 관찰됨.
3.BUN/Creatinine 수치가 상승됨.Creatinine
2/27
5.6
2/28
4.1
2/29
2.5
BUN
2/27
58.0
2/28
36.1
대사율 변화와 관련된 비효율적 조직관류
1.규칙적으로 활력징후를 측정한다.
2.BST 수치를 주기적으로 모니터링 한다.
3.부종, 말초 혈액순환을 사정한다.
4.BUN/Creatinine 수치를 모니터링한다.
5.섭취량과 배설량을 측정하고 소변양상을 관찰한다.
1.매 duty 마다 활력징후를 측정함.
2.BST 수치를 주기적으로 확인함.
3.말초부위의 부종을 확인하고 맥박을 측정함.
4.BUN/Creatinine 수치를 모니터링함.
5.섭취량/배설량을 측정하고 기록하는 것을 관찰함.
해결 안됨 : BST수치가 정상범위보다 높게 측정됨
1.WBC,CRP 수치가 상승함
WBC
2/27
13.12
2/29
17.41
CRP
2/28
23.72
2. AVF를 가지고 계심
3. 체온이 상승함 (2/27)
시간
체온(℃)
11PM
37.7
12 MN
38.1
1 AM
37.7
2 AM
37.8
침습적 처치와 관련된 감염 위험성
1.간호 전, 후 손을 씻는다
2.매시간마다 체온이 상승하는지 사정한다
3.백혈구 수치를 모니터하고 상승 혹은 하강 시 보고한다.
4.적절한 항생제를 투여한다.
5.감염의 징후를 모니터링한다.
1.환자 접촉 전, 간호 시행 전 손을 씻음
2.매 시간마다 체온을 확인함
3.백혈구 수치를 모니터링함
4.처방된 항생제가 투여되고 있는지 확인함
5.AVF부위에 감염의 징후가 있는지 확인함.
부분 해결됨 : 체온이 정상범위로 측정됨
1.욕창 점수(Braden scale) : 15점
2.Both arm 억제대 적용중임.
3.움직임이 거의 관찰되지않음.
활동감소로 인한 피부손상위험성
1.매 Duty마다 피부상태를 관찰하고 기록한다.
2.4시간마다 체위를 변경해준다.
3.피부손상예방을 위해 공기침요를 적용한다.
4.시트를 건조하고 주름이 지지않게 관리한다.
5.압력을 받는 부위는 베개를 사용하여 높게한다.
1.매 Duty마다 피부상태를 관찰함.
2.4시간마다 체위를 변경해줌.
3.피부손상예방을 위해 공기침요 적용을 확인함.
4.시트를 건조하고 주름이 지지않게 관리함.
5.압력을 받는 부위는 베개를 사용하여 높게함.
해결됨 : 스스로 움직이는 것이 관찰되었고 억제대 적용을 제거함으로써 피부손상의 위험성이 감소되었음.
1.전신적으로 허약한 모습이 관찰됨.
2.낙상점수 9점
허약감으로 인한 낙상위험성
1.낙상요인 또는 낙상유발요인을 파악한다.
2.side rail을 올려준다.
3.환자가 쉽게 닿을수 있는곳에 필요한 물건을 놓아준다.
4.환자 이송시 침대, 또는 수송용 들것의 바퀴를 잠근다.
1.낙상요인 또는 낙상유발요인을 파악함.
2.side rail을 올려줌.
3.환자가 쉽게 닿을수 있는곳에 필요한 물건을 놓아줌.
4.환자 이송시 침대, 또는 수송용 들것의 바퀴를 잠금.
지속적으로 낙상요인을 평가하면서 side rail을 적용하고 있음.

키워드

  • 가격2,500
  • 페이지수18페이지
  • 등록일2018.04.02
  • 저작시기2017.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5154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