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매노인을 대상으로 실시하는 치료레크리에이션(공을 활용한 협응력 증진 프로그램)과 협응력 간의 효과성 검증을 위한 단일체계설계
본 자료는 9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해당 자료는 9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9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치매노인을 대상으로 실시하는 치료레크리에이션(공을 활용한 협응력 증진 프로그램)과 협응력 간의 효과성 검증을 위한 단일체계설계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1. 문제 제기
2. 연구 목적
3. 연구 가설

Ⅱ. 이론적 배경
1. 치매
1) 치매의 이해
2) 치매의 특성
2. 치료레크리에이션(Therapeutic Recreation)
1) 치료레크리에이션의 개념
2) 치료레크리에이션 서비스 모델 및 과정
3. 치매에 대한 치료레크리에이션의 접근
1) 프로그램의 계획
2) 프로그램 설정
3) 프로그램의 평가
4. 협응력
1) 협응력의 개념
2) 협응력의 의의



Ⅲ. 연구방법
1. 연구 설계
2. 연구 대상
3. 연구 가설
4. 개입 내용
5. 측정도구 및 자료수집
1) 측정도구
(1) 개별화된 척도
(2) 사전사후 검사도구
6. 자료분석
IV. 연구결과
1. 시각적 분석결과
1) 수준
2) 평균
3) 추세

V. 결론 및 의의

참고문헌

본문내용

었다.
④ D 어르신그래프에 나타나듯이 기초선단계의 측정값 12이었으나 개입단계의 평균값은 17.5로 개입이후 협응력의 증가를 확인할 수 있었다.
⑤ E 어르신그래프에 나타나듯이 기초선단계의 측정값 15이었으나 개입단계의 평균값은 20.1로 개입이후 협응력의 증가를 확인할 수 있었다.
⑥ F 어르신그래프에 나타나듯이 기초선단계의 측정값 16이었으나 개입단계의 평균값은 21.5로 개입이후 협응력의 증가를 확인할 수 있었다.
⑦ G 어르신그래프에 나타나듯이 기초선단계의 측정값 12이었으나 개입단계의 평균값은 19.1로 개입이후 협응력의 증가를 확인할 수 있었다.
⑧ H 어르신그래프에 나타나듯이 기초선단계의 측정값 11이었으나 개입단계의 평균값은 20.3로 개입이후 협응력의 증가를 확인할 수 있었다. 어르신의 경우 10명의 연구대상 중 가장 높은 수치의 변화를 기록하였다.
⑨ I 어르신그래프에 나타나듯이 기초선단계의 측정값 13이었으나 개입단계의 평균값은 19.5로 개입이후 협응력의 증가를 확인할 수 있었다.
⑩ J 어르신그래프에 나타나듯이 기초선단계의 측정값 15이었으나 개입단계의 평균값은 20.8로 개입이후 협응력의 증가를 확인할 수 있었다.
3)추세
추세를 검토하기 위하여 개입단계 첫 번째 자료점과 마지막 자료점을 연결하여 추세선을 만들고, 추세 지수를 계산하였다.
① A 어르신의 추세지수 : (22-16 )/(6-1) = 1.2
② B 어르신의 추세지수 : (23-19 )/(6-1) = 0.8
③ C 어르신의 추세지수 : (21-18 )/(6-1) = 0.6
④ D 어르신의 추세지수 : (20-14 )/(6-1) = 1.2
⑤ E 어르신의 추세지수 : (22-19 )/(6-1) = 0.6
⑥ F 어르신의 추세지수 : (24-18 )/(6-1) = 1.2
⑦ G 어르신의 추세지수 : (23-15 )/(6-1) = 1.6
⑧ H 어르신의 추세지수 : (24-15 )/(6-1) = 1.8
⑨ I 어르신의 추세지수 : (21-17 )/(6-1) = 0.8
⑩ J 어르신의 추세지수 : (23-17 )/(6-1) = 1.2
< A 어르신>
< B 어르신>
< C 어르신>
< D 어르신>
< E 어르신>
< F 어르신>
< G 어르신>
< H 어르신>
< I 어르신>
< J 어르신>
2. 통계적 분석결과
자료의 통계적 분석을 위하여 3표준편차 띠 접근을 이용하여 프로그램에 참여한 치매 노인의 변화과정을 분석하였다. 3표준편차 띠 접근은 개별 자료점과 연이은 자료점들의 사이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지를 결정하기 위해 사용되기 때문에 치매노인을 대상으로 실시하는 치료레크리에이션(공을 활용한 협응력 증진 프로그램)과 협응력 간의 효과성 검증해 낼 수 있을 것이라는 결과를 기대 했다
그러나 시각적 분석 결과 연구대상자 10명 중 A, B, C, D 4명만이 긍정구역이나 부정구역에서의 자료점이 확인되었다. 연구대상자 40%만이 유의미한 수준의 변화 즉, 협응력의 증진이라는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이러한 시각적 분석으로 “치료레크리에이션 프로그램(공을 활용한 협응력 증진 프로그램)을 수행한 치매노인은 협응력 증진의 효과가 있을것이다.”라는 가설을 검증하는데에 실패한 것으로 판단된다.
< A 어르신>
< B 어르신>
< C 어르신>
< D 어르신>
< E 어르신>
< F 어르신>
< G 어르신>
< H 어르신>
< I 어르신>
< J 어르신>
V. 결론 및 의의
이 연구는 연구과정에 여러 가지 제약이 있고, 10명의 치매노인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으나 전체의 사례 수가 부족해서 모든 치매노인을 일반화하는 데는 한계가 존재한다.
수준, 평균, 추세 분석에 있어서는 연구대상의 측정결과가 유의미한 것으로 판단되었으나 통계적인 분석을 통하여 10명의 연구대상 가운데 4명만이 유의미한 변화를 보인 것으로 연구에서 검증하고자 하는 “치료레크리에이션 프로그램(공을 활용한 협응력 증진 프로그램”)을 수행한 치매노인은 협응력 증진의 효과가 있을것이다.“라는 가설은 검증되지 못했다.
연구대상에 대한 개입이 주 1회 진행된 점과 짧은 기간 동안 총 7회의 프로그램 진행으로 인한 개입 횟수가 부족으로 인하여 공을 활용한 협응력 증진에 대한 검증을 일반화하기에는 한계점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치매노인을 대상으로 하는 치료레크리에이션 프로그램(공을 활용하는 협응력 증진 프로그램)은 협응력을 증진하는 데 효과적일 수 있다는 가설을 검증하기 위한 새로운 노력이 될 수 있을 것이라고 판단된다.
참고문헌
권중돈 외(2002). 「치매와 가족」. 서울: 학지사.
김경철(1991). 「여가와 레크리에이션」. 서울: 보경사.
김영숙(2002) .「치매에 대한 통합적 접근법」. 서울: 교육과학사.
노용구(2002). 「치료레크리에이션」. 서울: 대경북스, .
양순미(2000). “치매 데이케어프로그램의 효과성 연구”. 가톨릭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석사 학위논문.
이윤로 외(2000). 「치매노인과 사회복지실천」. 서울: 학지사.
(2003). 「치매노인과 사회복지서비스」, 서울: 학지사.
정가현(2002). “움직임교육이 자폐아동의 협응력에 미치는 효과”.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 학교 대학원.
조영윤(2005). “치료레크리에이션이 치매노인에게 미치는 효과성 사례연구-인지기능과 일 상생활수행능력을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한남대학교.
채준안 이복희(1995). 「치료레크리에이션의 이해」. 서울: 홍익재.
채준안(2000). 「치료레크리에이션 입문」, 서울: 인간과 복지.
천혜정(1997). “치료레크리에이션프로그램이 노인의 정서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용 인대학교.
최경환(2002). “치료레크리에이션이 정신분열병의 대인관계능력향상에 미치는 영향”, 인제 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한국디지털치료레크리에이션 협회(2004). 「노인을 위한 치료레크리에이션 개입전략」.
현외성 외(2001). 「노인케어론」, 서울: 양서원.
홍성아(1998). “치료레크리에이션이 뇌졸중 노인의 심리사회 적응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사 례 연구”, 숭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 가격3,000
  • 페이지수28페이지
  • 등록일2018.04.01
  • 저작시기2018.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5158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