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사 개론 - 전통 사회의 교육과 사범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한국사 개론 - 전통 사회의 교육과 사범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아무나 될 수 없고 아무나 되어서도 안된다. 그러나 사범성을 갖춘 학문교육의 수행하고 그 학자교사의 교양을 갖추는 일을 체계있게 육성하는 방도로서 사범대학에만 그 역할을 맡겨놓을 경우 또 다른 문제가 제기될 수 있다. 소위 철밥통 문제가 그것이다. 사범성을 갖춘 인재를 배출하는 일을 어느 한 곳에서 독점하는 것은 그 자체 내에서 끊임없는 쇄신과 향상의 노력이 없는 한 질적 저하로 이어질 우려가 있다. 확실하게 보장된 신분과 미래는 자기계발을 위한 동기유발에 긍정적으로만 작용하지는 않을 것이다. 즉 교직에 대한 폐쇄성이 교직 사회를 경직되게 만들 수도 있다. 어느 정도의 융통성을 갖추고 능히 사범이 될 만한 자라면 외부에서도 받아들일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는 우리의 사범의 의미를 해하는 것이 아니다. 사범대학을 통해서 사범성을 갖출 수도 있지만 다양한 전문분야에서 그 분야에 정통한 사람들 가운데는 도덕성도 겸비한 인재가 있을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전통 사회에서 교육과 사범의 의미를 고찰해 볼 때, 오늘날 교육에 있어서 그리고 앞으로의 교육에 있어서 사범을 어떻게 구현해 나갈 것인가는 그 구체적인 방향이나 방법에 있어서 더 많은 고민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참고문헌
이경식, 「한국교육의 전통과 ‘사범’」, 『서울대학교 사대논총』54, 1997
이경식, 「한국 근현대사회와 국사교과의 부침」, 『사회과학교육』1, 서울대학교 사회교육연구소, 1997
김무진, 「조선후기 서당의 사회적 성격」, 『역사와 현실』16, 한국역사연구회, 1995
김영우, 학교제도, 한국교육학회 교육사연구회, 1995

추천자료

  • 가격1,0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18.04.02
  • 저작시기2018.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5169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