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복지의 목표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사회복지의 목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I. 빈곤문제
1. 절대적 빈곤
2. 상대적 빈곤

II. 가족의 복지기능 상실

III. 사회정의의 실현

IV. 인간다운 삶에 대한 재해석

* 참고문헌

본문내용

와 충분히 나누고 있는가?
시설에서의 삶이나 재가복지의 대상이 되는 복지 수혜자들의 살이 바로 이러하지는 않은가? 이들에게 진정 희로애락이 있을까? 그 희로애락이 어느 정도나 될까? 그들은 누구와 희로애락을 나누는가? 이런 것들이 앞으로 가장 첨예한 복지의 문제로 등장할 것이다.
인간의 삶 가운데 존재하는 희로애락은 반드시 물질이 전제되는 것은 아니다. 때로는 풍요로운 물질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희로애락이 없을 수 있다. 인생의 희로애락은 물질적 욕구와 반드시 상관관계에 있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물질적 욕구충족과는 전혀 다른 방법으로 접근해야 하는 것이다.
모든 사람들, 비록 복지의 수해자들에게도 그들의 삶에 희로애락이 있어야 하고, 그 희로애락을 함께 나눌 사람이 있어야한다. 이런 점에서 앞으로는 복지의 수혜자와 공급자가 따로 있을 수 없다. 모두가 수혜자인 동시에 공급자가 되어야 한다. 이런 차원에서 보면 국가나 지방자치단체가 행정적으로 개입해서 해결할 수 있는 성질의 것이 아니다. 이것은 바로 지역사회 공동체의 몫일 수밖에 없다.
* 참고문헌
한국 사회복지실천과 복지경영 : 최성균/이준우 저, 파란마음, 2017
사회복지서비스 : 한국산업인력공단, 진한엠앤비, 2015
지역사회복지와 사회복지시설 : 이병록 저, 청목출판사, 2007
사회복지실천론 : 이영분/김기환 등 저, 동인, 2010
현대 복지국가의 사회복지교육 : 현외성 저, 공동체, 2014
사회복지 행정실무 : 이세형 저, 양성원, 2017
사회복지의 이해 : 윤찬영 저, 정민사, 2017
사회복지 사례관리 : 이채석 저, 어가, 2017
  • 가격1,6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18.04.03
  • 저작시기2018.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5182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