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정신보건사회복지사업
I. 정신보건사회복지의 개념
II. 정신보건사회복지의 구성요소
III. 정신보건사회복지의 기능
IV. 정신보건사회복지사의 역할
V. 정신보건사회복지의 활동분야
VI. 정신보건사회복지사의 양성
1. 정신보건사회복지사 1급
2. 정신보건사회복지사 2급
3. 정신보건사회복지사의 수련기관
4. 수련기간 및 수련과정
VII. 정신보건사회복지의 한계
* 참고문헌
I. 정신보건사회복지의 개념
II. 정신보건사회복지의 구성요소
III. 정신보건사회복지의 기능
IV. 정신보건사회복지사의 역할
V. 정신보건사회복지의 활동분야
VI. 정신보건사회복지사의 양성
1. 정신보건사회복지사 1급
2. 정신보건사회복지사 2급
3. 정신보건사회복지사의 수련기관
4. 수련기간 및 수련과정
VII. 정신보건사회복지의 한계
* 참고문헌
본문내용
주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시설
- 정신질환자종합훈련시설
VI. 정신보건사회복지사의 양성
정신보건전문요원에는 정신보건임상심리사 정신보건간호사 및 정신보건사회복지사가 있다. 정신보건사회복지사의 등급은 1급 및 2급으로 구분된다. 각 등급별 자격기준은 다음과 같다.
1) 정신보건사회복지사 1급
- 고등교육법에 의한 대학원에서 사회복지학 또는 사회사업학을 전공한 석사학위상 소지자로서 보건복지부 장관이 지정한 전문요원 수련기관에서 3년 이상 수련을 마친 자
- 2급 정신보건사회복지사 자격 취득 후 정신보건시설, 보건소 또는 국가나 지방자치단체로부터 지역사회정신보건사업을 위탁받은 기관이나 단체에서 5년 이상 정신보건분야의 임상실무경험이 있는 자
2) 정신보건사회복지사 2급
사회복지사 1급 자격소지자로서 보건복지부 장관이 지정한 전문요원 수련기관에서 1년 이상 수련을 마친 자
3) 정신보건사회복지사의 수련기관
정신보건사회복지사의 수련기관은 다음에 해당하는 시설 또는 기관으로서 보건복지부장관의 지정을 받은 시설 또는 기관으로 한다.
- 국가 또는 지방자치단체가 설치 운영하는 정신보건시설
- 전공의의 수련기관으로 지정된 정신의료기관
- 수련하고자 하는 분야의 1급 전문요원이 1인 이상 상근하거나 수련을 지도하도록 위촉한 정신보건시설
4) 수련기간 및 수련과정
1급 정신보건사회복지사의 자작 취득을 위한 수련의 경우에는 수련기간의 1/3이상을 정신의료기관에서 수련하여야 하며, 2급 정신보건사회복지사의 자격 취득을 위한 수련의 경우에는 전 수련기간을 정신의료기관에서 수련하여야 한다.
VII. 정신보건사회복지의 한계
정신병원은 늘어나지만 사회복귀시설은 늘어나지 않아서 불균형적으로 자원이 존재할 뿐만 아니라 사회복귀시설에서의 정신보건사회복지사의 역할이 새롭게 정립되어야 한다. 사회복귀시설은 지역사회 중심보호를 강조하여 정신보건사회복지사로 하여금 지역사회자원의 발굴과 활용을 강조하는데, 정신과 전문의의 지도에 따라서 활동이 이루어진다면 자율성과 적극성이 부족하게 되어 수동적으로 참여할 수밖에 없어 전문가로서의 활동이 극히 제한된다. 따라서 정신보건사회복지사의 전문적인 활동은 정신과 전문의의 지도로부터 벗어나 자율적인 활동을 강화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활동은 사회복지의 전문영역인 사례관리를 비롯한 사회적 관계망을 적절하게 활용하여 정신장애인의 사회적 기능을 강화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가족과의 관계를 회복하는 데도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 참고문헌
한국 사회복지실천과 복지경영 : 최성균/이준우 저, 파란마음, 2017
사회복지서비스 : 한국산업인력공단, 진한엠앤비, 2015
지역사회복지와 사회복지시설 : 이병록 저, 청목출판사, 2007
사회복지실천론 : 이영분/김기환 등 저, 동인, 2010
현대 복지국가의 사회복지교육 : 현외성 저, 공동체, 2014
사회복지 행정실무 : 이세형 저, 양성원, 2017
사회복지의 이해 : 윤찬영 저, 정민사, 2017
사회복지 사례관리 : 이채석 저, 어가, 2017
- 정신질환자종합훈련시설
VI. 정신보건사회복지사의 양성
정신보건전문요원에는 정신보건임상심리사 정신보건간호사 및 정신보건사회복지사가 있다. 정신보건사회복지사의 등급은 1급 및 2급으로 구분된다. 각 등급별 자격기준은 다음과 같다.
1) 정신보건사회복지사 1급
- 고등교육법에 의한 대학원에서 사회복지학 또는 사회사업학을 전공한 석사학위상 소지자로서 보건복지부 장관이 지정한 전문요원 수련기관에서 3년 이상 수련을 마친 자
- 2급 정신보건사회복지사 자격 취득 후 정신보건시설, 보건소 또는 국가나 지방자치단체로부터 지역사회정신보건사업을 위탁받은 기관이나 단체에서 5년 이상 정신보건분야의 임상실무경험이 있는 자
2) 정신보건사회복지사 2급
사회복지사 1급 자격소지자로서 보건복지부 장관이 지정한 전문요원 수련기관에서 1년 이상 수련을 마친 자
3) 정신보건사회복지사의 수련기관
정신보건사회복지사의 수련기관은 다음에 해당하는 시설 또는 기관으로서 보건복지부장관의 지정을 받은 시설 또는 기관으로 한다.
- 국가 또는 지방자치단체가 설치 운영하는 정신보건시설
- 전공의의 수련기관으로 지정된 정신의료기관
- 수련하고자 하는 분야의 1급 전문요원이 1인 이상 상근하거나 수련을 지도하도록 위촉한 정신보건시설
4) 수련기간 및 수련과정
1급 정신보건사회복지사의 자작 취득을 위한 수련의 경우에는 수련기간의 1/3이상을 정신의료기관에서 수련하여야 하며, 2급 정신보건사회복지사의 자격 취득을 위한 수련의 경우에는 전 수련기간을 정신의료기관에서 수련하여야 한다.
VII. 정신보건사회복지의 한계
정신병원은 늘어나지만 사회복귀시설은 늘어나지 않아서 불균형적으로 자원이 존재할 뿐만 아니라 사회복귀시설에서의 정신보건사회복지사의 역할이 새롭게 정립되어야 한다. 사회복귀시설은 지역사회 중심보호를 강조하여 정신보건사회복지사로 하여금 지역사회자원의 발굴과 활용을 강조하는데, 정신과 전문의의 지도에 따라서 활동이 이루어진다면 자율성과 적극성이 부족하게 되어 수동적으로 참여할 수밖에 없어 전문가로서의 활동이 극히 제한된다. 따라서 정신보건사회복지사의 전문적인 활동은 정신과 전문의의 지도로부터 벗어나 자율적인 활동을 강화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활동은 사회복지의 전문영역인 사례관리를 비롯한 사회적 관계망을 적절하게 활용하여 정신장애인의 사회적 기능을 강화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가족과의 관계를 회복하는 데도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 참고문헌
한국 사회복지실천과 복지경영 : 최성균/이준우 저, 파란마음, 2017
사회복지서비스 : 한국산업인력공단, 진한엠앤비, 2015
지역사회복지와 사회복지시설 : 이병록 저, 청목출판사, 2007
사회복지실천론 : 이영분/김기환 등 저, 동인, 2010
현대 복지국가의 사회복지교육 : 현외성 저, 공동체, 2014
사회복지 행정실무 : 이세형 저, 양성원, 2017
사회복지의 이해 : 윤찬영 저, 정민사, 2017
사회복지 사례관리 : 이채석 저, 어가, 2017
추천자료
현대사회와 복지(복지의개념,잔여적제도적복지비교,사회복지에서 중요시하는가치,구민
사회복지개념
[사회복지]학교사회복지-개념, 문제점, 전망,필요성
사회복지법제_사회복지법의개념
(사회복지)가족복지정책개념에 대하여
사회복지행정개념과필요성제시하고사회복지행정과일반행정을구분하여설명하시오.
[공공사회복지 민간사회복지]사회복지개념을 밝히고, 공공사회복지와 민간사회복지를 비교설...
가족과 사회복지의 관계를 설명하고, 가족복지의개념과 가족복지 대상영역을 정리해 보시오
교시사회복지정책의_개념
사회복지정책개념에서 광의의 개념과 협의의 개념에 대해 토론해 봅시다.
학교사회복지_학교사회복지개념, 발달, 학교사회복지사, 학교사회복지모델, 학교사회복지현황...
빈곤가족과 사회복지-빈곤가족의개념, 특성, 복지정책, 빈곤가족사례, 빈곤가족사례개)
사회복지법의법원, 사회복지의개념과법적성격, 사회복지법규의체계 이론정리(사회복지법제,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