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면역계 : 생체의 항상성을 유지하기 위해 외부 물질의 침입에 대항하는 시스템.
2. 1차방어벽
3. 내재면역반응
4. 적응면역 반응
2. 1차방어벽
3. 내재면역반응
4. 적응면역 반응
본문내용
1. 면역계 : 생체의 항상성을 유지하기 위해 외부 물질의 침입에 대항하는 시스템.
방어체계
-세포성 방어 : 면역세포들이 직접 표적과 접촉해 면역반응을 일으키는 것
-체액성 방어 : 세포가 분비한 물질들이 면역과정에 관여하는 경우로, B cell이 분비하는 항체가 대표적
방어의 특이성
-내재면역 : 면역에 관련된 여러 분자나 세포들이 감염이 일어나기 전부터 존재하고 있다가 병원균이 침투할 경우 초기의 방어에 관여한다. 비특이적으로 병원균에 대항할 수 있다.
-적응면역 : 병원균의 특이적 인지, 제거, 기억반응 등 일련의 과정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병원균을 내재면역 수준에서 제거할 수 없을 경우 활성화된다. B cell, T cell이 관여하는 면역반응.
2. 1차방어벽
1. 기계적 장벽
-피부의 상피세포들은 밀착 연접을 통해 외부 환경이 침투하는 틈새를 막고 있다.
-내부 상피들은 효소, 당단백질 등을 포함한 산성 점액을 분비하며, 섬모 운동을 통해 감염된 세균들이 함께 제거 될 수 있도록 한다.
방어체계
-세포성 방어 : 면역세포들이 직접 표적과 접촉해 면역반응을 일으키는 것
-체액성 방어 : 세포가 분비한 물질들이 면역과정에 관여하는 경우로, B cell이 분비하는 항체가 대표적
방어의 특이성
-내재면역 : 면역에 관련된 여러 분자나 세포들이 감염이 일어나기 전부터 존재하고 있다가 병원균이 침투할 경우 초기의 방어에 관여한다. 비특이적으로 병원균에 대항할 수 있다.
-적응면역 : 병원균의 특이적 인지, 제거, 기억반응 등 일련의 과정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병원균을 내재면역 수준에서 제거할 수 없을 경우 활성화된다. B cell, T cell이 관여하는 면역반응.
2. 1차방어벽
1. 기계적 장벽
-피부의 상피세포들은 밀착 연접을 통해 외부 환경이 침투하는 틈새를 막고 있다.
-내부 상피들은 효소, 당단백질 등을 포함한 산성 점액을 분비하며, 섬모 운동을 통해 감염된 세균들이 함께 제거 될 수 있도록 한다.
추천자료
생명복제 (무엇을 위한 기술인가?)
소아과 프로토콜
인간복제와 유전자 조작
모유, 인공영양, 특수분유
급성림프구성백혈병
만성 신부전
자궁근종, 모성간호학, 부인과실습, 간호학
[간호] 신장이식
현성당뇨 case study(임신 전 1형 당뇨)
Immunoglobulin의 구조, 유전자, 기능에 관한 모든것! 특A급 자료(그림 다수) 파워포인트(PPT)
미생물레포트
Configuration/Conformation 및 알러지/아토피의 차이점, 공통점
모성간호학 Case Study - 자궁내막증 (Endometriosis)
[불임의 원인과 불임 예방] [ 불임치료 ] 불임의 원인, 불인 치료방법, 불임 현황, 불임 예방법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