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이에 따라 사명대사 역시 서산대사의 사법제자로서 인정을 받았고 이는 서산대사 뿐 아니라 그의 동문들이라 할 수 있는 선수와 태능, 언기, 인오 등과 후대들에 의해서도 꾸준히 인정받는 점이라 할 수 있다. 사명대사는 승군활동 이외에도 선문의 법맥 계승자이자 산중승단을 이끌어 갈 지도자로서 크게 촉망 받고 상중승단이자 선문이 승군 활동을 하는데 지대한 영향을 끼치며 호국불교로서의 성격을 더욱 강화하고 불교에 대한 인식을 당대 왕실과 백성들에게 긍정적으로 바꾸는 것에 일조하였다. 이봉춘, 『유정의 구국활동과 교단내의 평가』, 2010. p.179~180
홍제암과 사명대사의 관계
홍제암은 사명대사가 마지막으로 열반한 장소이다. 사명대사는 1608년에 궁에서 나와 이곳으로 들어와 3년을 지내게 되었는데 그렇게 3년 이후 열반하게 되었다. 본래 홍제암은 암자가 아니라 영자전이라고 하였으며 사명대사의 진영을 모신 곳으로 해인사에 존재하는 하나의 전각에 불과했다고 한다. 이는 만해 한용운이 해인사의 장경각에서 참배한 이후 사명대사의 영정에 참재하기 위해 영자전을 들렀다는 기록을 통해 명확히 알 수 있다. 홍제암이 지금의 격국을 갖추게 된 것은 박정희 대통령이 70년 대에 이곳을 본격적으로 지원해 준 것에 기인하며 이 장소에 존재하고 있는, 허균이 지은 사명대사의 석장비에 \"홍제존자\'라는 시호가 적혀 있는 것으로부터 말미암아 \"홍제암\"이라는 이름이 지어지게 되었다고 한다.
참고문헌
김영태, 『사명대사의 생애』, 1971.
문광, 『사명대사의 재탐색』, 2008.
이봉춘, 『유정의 구국활동과 교단내의 평가』, 2010.
홍제암과 사명대사의 관계
홍제암은 사명대사가 마지막으로 열반한 장소이다. 사명대사는 1608년에 궁에서 나와 이곳으로 들어와 3년을 지내게 되었는데 그렇게 3년 이후 열반하게 되었다. 본래 홍제암은 암자가 아니라 영자전이라고 하였으며 사명대사의 진영을 모신 곳으로 해인사에 존재하는 하나의 전각에 불과했다고 한다. 이는 만해 한용운이 해인사의 장경각에서 참배한 이후 사명대사의 영정에 참재하기 위해 영자전을 들렀다는 기록을 통해 명확히 알 수 있다. 홍제암이 지금의 격국을 갖추게 된 것은 박정희 대통령이 70년 대에 이곳을 본격적으로 지원해 준 것에 기인하며 이 장소에 존재하고 있는, 허균이 지은 사명대사의 석장비에 \"홍제존자\'라는 시호가 적혀 있는 것으로부터 말미암아 \"홍제암\"이라는 이름이 지어지게 되었다고 한다.
참고문헌
김영태, 『사명대사의 생애』, 1971.
문광, 『사명대사의 재탐색』, 2008.
이봉춘, 『유정의 구국활동과 교단내의 평가』, 2010.
키워드
추천자료
나이팅게일의 생애와 업적
이성계의 생애와 업적
장보고의 생애와 업적
사명대사가 수련한 천년고찰 -칭송받는 대추 특산지 청송
[원효]원효대사의 삶과 그의 사상
[의상]의상대사의 삶과 그의 사상
[원효대사][원효][원효대사 사상][원효대사 저술][원효대사 통일학][원효대사 화쟁론]원효대...
[역사][역사진행][역사학][역사 어원][진보][역사 양면성][역사 보편성][역사 특수성]역사의 ...
[왕부지][왕부지의 생애][왕부지의 업적][왕부지의 사상][왕부지사상의 수용][왕부지와 왕부...
밀양 지역 축제, 문화 경제적 효과, 아랑전설, 밀양 아리랑, 사명대사, 성공 요인, 전략, 특...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