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학)사명대사- 생애 업적 홍제암과 사명대사의 관계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역사학)사명대사- 생애 업적 홍제암과 사명대사의 관계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이에 따라 사명대사 역시 서산대사의 사법제자로서 인정을 받았고 이는 서산대사 뿐 아니라 그의 동문들이라 할 수 있는 선수와 태능, 언기, 인오 등과 후대들에 의해서도 꾸준히 인정받는 점이라 할 수 있다. 사명대사는 승군활동 이외에도 선문의 법맥 계승자이자 산중승단을 이끌어 갈 지도자로서 크게 촉망 받고 상중승단이자 선문이 승군 활동을 하는데 지대한 영향을 끼치며 호국불교로서의 성격을 더욱 강화하고 불교에 대한 인식을 당대 왕실과 백성들에게 긍정적으로 바꾸는 것에 일조하였다. 이봉춘, 『유정의 구국활동과 교단내의 평가』, 2010. p.179~180
홍제암과 사명대사의 관계
홍제암은 사명대사가 마지막으로 열반한 장소이다. 사명대사는 1608년에 궁에서 나와 이곳으로 들어와 3년을 지내게 되었는데 그렇게 3년 이후 열반하게 되었다. 본래 홍제암은 암자가 아니라 영자전이라고 하였으며 사명대사의 진영을 모신 곳으로 해인사에 존재하는 하나의 전각에 불과했다고 한다. 이는 만해 한용운이 해인사의 장경각에서 참배한 이후 사명대사의 영정에 참재하기 위해 영자전을 들렀다는 기록을 통해 명확히 알 수 있다. 홍제암이 지금의 격국을 갖추게 된 것은 박정희 대통령이 70년 대에 이곳을 본격적으로 지원해 준 것에 기인하며 이 장소에 존재하고 있는, 허균이 지은 사명대사의 석장비에 \"홍제존자\'라는 시호가 적혀 있는 것으로부터 말미암아 \"홍제암\"이라는 이름이 지어지게 되었다고 한다.
참고문헌
김영태, 『사명대사의 생애』, 1971.
문광, 『사명대사의 재탐색』, 2008.
이봉춘, 『유정의 구국활동과 교단내의 평가』, 2010.
  • 가격3,7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18.04.10
  • 저작시기2017.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5240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