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V프로그램 분석 및 비평)이웃집 찰스를 보고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TV프로그램 분석 및 비평)이웃집 찰스를 보고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TV프로그램 분석 및 비평
- 이웃집 찰스를 보고 -

Ⅰ. 서론 : 프로그램 선정 이유
Ⅱ. <이웃집 찰스> 소개 및 개요
Ⅲ. 분석 및 비평

1. 긍정적인 부분
2. 비판적으로 보아야 할 부분

본문내용

그에 따른 오디션 기회\'라는 힘을 통해 \'제작자의 희망적인 이야기를 듣는\' 종결 균형에 이르게 된다.
이처럼 <이웃집 찰스> 내의 대다수의 에피소드는 이러한 균형-불균형-균형의 종결구조를 가지게 되는데 결과적으로 이러한 서사 구조 방식은 제한된 방송 시간, 재미의 확보 등을 위하여 필연적으로 프로그램 내부에서 보여 지는 다문화 사회, 그리고 외국인 이주자의 어려움과 갈등들의 해결을 \'스스로의 노력\'에 귀결시키는 결과를 낳게 된다.
즉, 작 중의 주인공들은 스스로가 마주치게 된 문제를 개인적인 노력을 통해 스스로 해결해나가야 하고 그러한 모습을 보여주고 있는데 이를 통해 사회구조적으로 야기된 \'사회 문제로서의 다문화 사회 문제\'를 사사화 시키고 개인적 문제로 치환함으로써 단순히 \'인종이 다른 개인의 문제\'로 탈바꿈 시킨다. 즉, 사회구조로 인한 갈등을 탈맥락화시키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진행 방법과 내용 구성은 결과적으로 프로그램의 시청자, 즉 수용자가 외국인 이주자 및 다문화 사회 내에 존재하는 문제 등에 대한 문제의식을 갖지 않고 프로그램 내용을 받아들이며 갈등상황에 대한 몰입과 긴장을 가지기보다는 결국에는 노력에 의한 \'해피엔딩\'이라는 소설과도 같은 결과를 기대하게 만든다. 그리고 이러한 프로그램 구성은 결과적으로 이 프로그램을 보는 시청자들로 하여금 다문화 문제를 생각함에 있어 어떠한 대안적 사고를 하고 문제의식을 갖는 것을 방해하는 요소로 작용할 가능성이 크다고 생각한다.
(2) 재미 요소를 위한 타자화
<이웃집 찰스>에서 가장 많이 보이는 갈등의 원인 중 하나가 바로 \'언어적 어려움\'이다. 오랫동안 한국 생활을 하였기 때문에 일상적 대화를 할 정도의 한국어는 구사가 가능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제대로 된 정규 교육을 받지 못하였기 때문에 읽기나 쓰기에 있어서는 대부분의 외국인들이 능숙한 모습을 보여주지 못한다.
하지만, 이러한 \'교육 부재\'와 \'제도적 부재\'의 문제는 은폐한 체 프로그램은 한국어에 익숙하지 못한 외국인들이 하는 언어적 실수를 코믹한 자막처리 등을 통해 우스꽝스러움으로 포장하고 코믹 요소로 탈바꿈 시킨다.
이는 결국 <이웃집 찰스> 역시 시청률을 목표로 하는 리얼 다큐멘터리 형식의 예능프로그램임을 이야기하는 것이며 궁극적으로 외국인의 문제를 해결해야 할 사회문제라기보다는 방송용 소재로 대우하며 웃김, 코믹의 대상으로 \'타자화\'시키는 것으로 보인다는 점에서 비판할 수 있다.
  • 가격3,7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8.04.10
  • 저작시기2017.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5241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