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컬러마케팅의 개념
2. 컬러마케팅 등장배경
3. 컬러마케팅의 영향력
4. 컬러마케팅의 효과
5. 색의 마케팅 활용
6. 색상에 따른 이미지분석
7. 컬러마케팅 기업활용사례
(1) 네이버 NAVER 사례
(2) 현대카드 사례
(3) 글라소 비타민워터 사례
(4) 스타벅스 사례
(5) 패스트푸드업계 사례
8. 컬러마케팅 성공방안 제시
9. 결론 및 느낀점
2. 컬러마케팅 등장배경
3. 컬러마케팅의 영향력
4. 컬러마케팅의 효과
5. 색의 마케팅 활용
6. 색상에 따른 이미지분석
7. 컬러마케팅 기업활용사례
(1) 네이버 NAVER 사례
(2) 현대카드 사례
(3) 글라소 비타민워터 사례
(4) 스타벅스 사례
(5) 패스트푸드업계 사례
8. 컬러마케팅 성공방안 제시
9. 결론 및 느낀점
본문내용
상징들을 표현하기 때문에 다양한 색상들은 바라보는 것만으로 사람의 감정을 바꿀 수 있고 색이 주는 이미지를 통해 소비자들에게 더욱 가깝게 다가갈 수 있어쉬우면서도 강력한 마케팅 도구로 활용할 수 있다.
6. 색상에 따른 이미지분석
빨강 : 긴장 유발, 적극적, 활동적
주황 : 낙천적, 자발적, 긍정적
노랑 : 자유로움, 따뜻함, 부나 권력
분홍 : 섬세함, 여성스러움
초록 : 자연의 색, 편안함, 안정적
파랑 : 신뢰, 차분함, 성실
보라 : 신비로움, 숭고함
검정 : 세련, 권력, 공포, 저항
흰색 : 순수, 청결, 숭고
7. 컬러마케팅 기업활용사례
(1) 네이버 NAVER 사례
그린윈도우
네이버는 그린윈도우는 네이버의 검색 서비스를 상징하는 새로운 Visual Identifier이다. 검색을 의미하는 사각의 검색 창과 네이버로고의 그린을 결합하여 대한민국 대표 검색 서비스의 이미지를 시각적으로 형상화 하였다. 네이버는 대한민국 검색 포털의 최강자로서 인터넷=검색이라는 이미지를 형성해온 대표 주자이며 동시에 검색=네이버라는 대표성을 함께 가지고 있다. 네이버 그린윈도우는 이러한 소비자의 인식을 시각적으로 형상화함으로써 무형으로 전재하는 검색의 대표 이미지를 아이콘으로 진화 시킨 Visual Branding의 첫 걸음이라고 할 수 있다.
특히 검색에 기반을 둔 다양한 서비스 엔터테인먼트를 중심으로 개편되고 있는 인터넷 포털시장에서 절대적 리더십을 확고히 할 수 있도록 하는 중요한 브랜딩 요소이다.
(2) 현대카드 사례
현대카드는 신용카드 업계에서 후발 주자지만 투명카드, 미니 카드 등 새로운 디자인을 제시한 카드를 내놓으면서 사용자들에게 재미있고 세련된 스타일이라는 이미지를 지속적으로 각인시켜 사람들의 이목을 끄는데 성공하였다. 특히 4가지의 투명컬러, 9가지의 선명한 컬러로 카드를 제작해 소비자들이 마음에 드는 컬러 디자인을 선택할 수 있게 한 것은 다른 카드사와의 큰 차별화 전략이라고 할 수 있다.
(3) 글라소 비타민워터
다양한 컬러를 가진 비타민워터를 출시하고 각각의 색에 고유의 이름과 이미지를 부여했습니다. 단지 진열되어있는 것만으로도 소비자의 눈을 확 사로잡아 누구나 한번쯤은 마셔보고 싶게 만들었고 들고 다니며 하나의 패션 아이템으로 적용될 수도 있다는 것을 보여주었습니다.
일반적으로 동일한 음료 제품일 경우 많이 판매되는 몇 가지 제품만을 진열해 판매하는 것이 일반적인데, 글라소 비타민워터는 제품 진열대에서부터 시각적 효과를 주기 위해 런칭 당시 8종이었던 8가지 색상의 제품을 판매 진열대에 모두 전시하는데 공들였다.
(4) 스타벅스 사례
녹색은 우리의 몸에서 신장과 간장을 활성화하고, 더러운 공기와 식품, 물을 중화하는 기능을 한다. 또한 마음을 가라앉히는 차분한 느낌이어서 먹을 것, 특히 판다는 이미지와는 전혀 어울릴 것 같지 않는데도 스타벅스는 녹색을 선택하여 간판에서부터 인테리어, 패키지, 광고에까지 사용했다. 스타벅스의 최고 경영자 ‘하워드슐츠’는 녹색을 사용한 이유를 이렇게 설명했다. “스타벅스는 이익을 내는 회사로 성장하는 것 이상으로 야심 찬 미래를 추구하고 있습니다. 좋은 커피에 대해 소비자들을 가르칠 사명감으로 가지고 있습니다. 일상에 지친 소비자들을 경이로움과 낭만 어린 커피 전문점 안으로 초대할 분위기를 계획하고 있습니다.” 단순히 커피만을 팔 요량이었다면 녹색을 선택하지 않았을 것이다. 그러나 스타벅스는 녹색을 택함으로써 시애틀은 물론 한국의 서울에까지 전 세계 회색 빌딩 숲 속에 스타벅스란 나무 한 그루를 심어 놓을 수 있었다. ‘싱싱한 커피나무’를 제공하여 커피 한잔의 여유, 이 단순한 진리에서 녹색의 평온함을 마케팅 재료로 삼은 것이다. 더불어 환경친화적인 이미지를 주기 때문에 소비자들이 더 쉽게 다가가도록 할 수 있었다. 또한 애초에 맘먹은 대로 인스턴트 커피에 식상한 입맛뿐만 아니라 지치고 피곤한 소비자들의 마음까지 스타벅스의 공간으로 끌어들이는 데 성공했다.
(5) 패스트푸드업계 사례
-맥도날드, 파파이스 ,롯데리아, KFC
대부분 패스트푸드 매장은 간판부터 실내장식, 심지어 의자 색깔까지 거의 빨간색 아니면 노란색 등 따뜻한 계열의 색깔로 치장돼 있다.
이렇게 빨간색과 노란색 등이 쓰이게 된 사연은 미국의 심리학자 피버 버렌이 처음 길을 튼 <색채심리학>에서 유래된다. 색채심리학의 대표적인 실험은 1950년대 미국의 한 교도소에서 내부와 취조실을 분홍색 인테리어로 꾸민것이다. 실험결과 심리적으로 분홍색은 봄이 주는 이미지와 비슷해 개방적이고 달콤한 느낌을 준다는 결과를 얻었다. 또 힘이 약해지는 효과도 줘 재소자들의 성격이 부드러워지고 사고 발생률도 낮아졌다. 당초 환자들의 치료를 위해 시작됐던 색채심리학은 차츰 경제분야로 확대되면서 영역도 식품업계에서 간판에까지 널리 적용되기에 이르렀다.
빨간색 등 따뜻한 계통의 색상은 고객들로 하여금 단맛을 느끼게 해 식욕을 불러 일으킨다는 연구결과가 나온 후 식품업계는 일제히 빨간색 계통으로 인테리어 색상을 바꾸었다. 간판이 단순하게 고객에게 <이런 식품을 파는 곳입니다>라고 알리는 기능뿐만 아니라 <먹고 싶다>는 욕구를 유발하는 판촉물 역할도 하는 셈이다.
8. 컬러마케팅 성공방안 제시
컬러 마케팅이 성공하기 위한 전략은 첫 번째로 제품과 기업이 추구하는 메시지와 정체성을 명확히 부여하고 제품과 기업을 대변하는 특정 컬러를 지속해서 유지하고 드러내야 한다. 둘째는 컬러가 가지고 있는 스토리를 제품의 특성과 결합함으로써 좀 더 차별적인 가치를 전달해야 한다.
9. 결론 및 느낀점
성공한 기업들 사이에는 컬러에 대한 전략이 상당한 부분 차지하고 있었다. 결국, 기업이 성공하기 위해서는 컬러를 빼 놓고는 그 기업의 고유 브랜드가치와 성장을 어려울 것이다. 그리고 아직 우리나라에서는 컬러에 대한 연구와 체계적인 툴이 일본이나 유럽, 미국에 비해 뒤떨어져 있는 것은 사실이다. 그러므로 좀 더 체계적인 컬러에 대한 관심이 필요한 실정이다. 요즘 우리나라 기업들도 현재 컬러에 대한 광고를 많이 볼 수 있는데 기업성과 측면에서 어느 정도 성과를 이루어졌는지 흥미롭게 지켜봐야겠다.
6. 색상에 따른 이미지분석
빨강 : 긴장 유발, 적극적, 활동적
주황 : 낙천적, 자발적, 긍정적
노랑 : 자유로움, 따뜻함, 부나 권력
분홍 : 섬세함, 여성스러움
초록 : 자연의 색, 편안함, 안정적
파랑 : 신뢰, 차분함, 성실
보라 : 신비로움, 숭고함
검정 : 세련, 권력, 공포, 저항
흰색 : 순수, 청결, 숭고
7. 컬러마케팅 기업활용사례
(1) 네이버 NAVER 사례
그린윈도우
네이버는 그린윈도우는 네이버의 검색 서비스를 상징하는 새로운 Visual Identifier이다. 검색을 의미하는 사각의 검색 창과 네이버로고의 그린을 결합하여 대한민국 대표 검색 서비스의 이미지를 시각적으로 형상화 하였다. 네이버는 대한민국 검색 포털의 최강자로서 인터넷=검색이라는 이미지를 형성해온 대표 주자이며 동시에 검색=네이버라는 대표성을 함께 가지고 있다. 네이버 그린윈도우는 이러한 소비자의 인식을 시각적으로 형상화함으로써 무형으로 전재하는 검색의 대표 이미지를 아이콘으로 진화 시킨 Visual Branding의 첫 걸음이라고 할 수 있다.
특히 검색에 기반을 둔 다양한 서비스 엔터테인먼트를 중심으로 개편되고 있는 인터넷 포털시장에서 절대적 리더십을 확고히 할 수 있도록 하는 중요한 브랜딩 요소이다.
(2) 현대카드 사례
현대카드는 신용카드 업계에서 후발 주자지만 투명카드, 미니 카드 등 새로운 디자인을 제시한 카드를 내놓으면서 사용자들에게 재미있고 세련된 스타일이라는 이미지를 지속적으로 각인시켜 사람들의 이목을 끄는데 성공하였다. 특히 4가지의 투명컬러, 9가지의 선명한 컬러로 카드를 제작해 소비자들이 마음에 드는 컬러 디자인을 선택할 수 있게 한 것은 다른 카드사와의 큰 차별화 전략이라고 할 수 있다.
(3) 글라소 비타민워터
다양한 컬러를 가진 비타민워터를 출시하고 각각의 색에 고유의 이름과 이미지를 부여했습니다. 단지 진열되어있는 것만으로도 소비자의 눈을 확 사로잡아 누구나 한번쯤은 마셔보고 싶게 만들었고 들고 다니며 하나의 패션 아이템으로 적용될 수도 있다는 것을 보여주었습니다.
일반적으로 동일한 음료 제품일 경우 많이 판매되는 몇 가지 제품만을 진열해 판매하는 것이 일반적인데, 글라소 비타민워터는 제품 진열대에서부터 시각적 효과를 주기 위해 런칭 당시 8종이었던 8가지 색상의 제품을 판매 진열대에 모두 전시하는데 공들였다.
(4) 스타벅스 사례
녹색은 우리의 몸에서 신장과 간장을 활성화하고, 더러운 공기와 식품, 물을 중화하는 기능을 한다. 또한 마음을 가라앉히는 차분한 느낌이어서 먹을 것, 특히 판다는 이미지와는 전혀 어울릴 것 같지 않는데도 스타벅스는 녹색을 선택하여 간판에서부터 인테리어, 패키지, 광고에까지 사용했다. 스타벅스의 최고 경영자 ‘하워드슐츠’는 녹색을 사용한 이유를 이렇게 설명했다. “스타벅스는 이익을 내는 회사로 성장하는 것 이상으로 야심 찬 미래를 추구하고 있습니다. 좋은 커피에 대해 소비자들을 가르칠 사명감으로 가지고 있습니다. 일상에 지친 소비자들을 경이로움과 낭만 어린 커피 전문점 안으로 초대할 분위기를 계획하고 있습니다.” 단순히 커피만을 팔 요량이었다면 녹색을 선택하지 않았을 것이다. 그러나 스타벅스는 녹색을 택함으로써 시애틀은 물론 한국의 서울에까지 전 세계 회색 빌딩 숲 속에 스타벅스란 나무 한 그루를 심어 놓을 수 있었다. ‘싱싱한 커피나무’를 제공하여 커피 한잔의 여유, 이 단순한 진리에서 녹색의 평온함을 마케팅 재료로 삼은 것이다. 더불어 환경친화적인 이미지를 주기 때문에 소비자들이 더 쉽게 다가가도록 할 수 있었다. 또한 애초에 맘먹은 대로 인스턴트 커피에 식상한 입맛뿐만 아니라 지치고 피곤한 소비자들의 마음까지 스타벅스의 공간으로 끌어들이는 데 성공했다.
(5) 패스트푸드업계 사례
-맥도날드, 파파이스 ,롯데리아, KFC
대부분 패스트푸드 매장은 간판부터 실내장식, 심지어 의자 색깔까지 거의 빨간색 아니면 노란색 등 따뜻한 계열의 색깔로 치장돼 있다.
이렇게 빨간색과 노란색 등이 쓰이게 된 사연은 미국의 심리학자 피버 버렌이 처음 길을 튼 <색채심리학>에서 유래된다. 색채심리학의 대표적인 실험은 1950년대 미국의 한 교도소에서 내부와 취조실을 분홍색 인테리어로 꾸민것이다. 실험결과 심리적으로 분홍색은 봄이 주는 이미지와 비슷해 개방적이고 달콤한 느낌을 준다는 결과를 얻었다. 또 힘이 약해지는 효과도 줘 재소자들의 성격이 부드러워지고 사고 발생률도 낮아졌다. 당초 환자들의 치료를 위해 시작됐던 색채심리학은 차츰 경제분야로 확대되면서 영역도 식품업계에서 간판에까지 널리 적용되기에 이르렀다.
빨간색 등 따뜻한 계통의 색상은 고객들로 하여금 단맛을 느끼게 해 식욕을 불러 일으킨다는 연구결과가 나온 후 식품업계는 일제히 빨간색 계통으로 인테리어 색상을 바꾸었다. 간판이 단순하게 고객에게 <이런 식품을 파는 곳입니다>라고 알리는 기능뿐만 아니라 <먹고 싶다>는 욕구를 유발하는 판촉물 역할도 하는 셈이다.
8. 컬러마케팅 성공방안 제시
컬러 마케팅이 성공하기 위한 전략은 첫 번째로 제품과 기업이 추구하는 메시지와 정체성을 명확히 부여하고 제품과 기업을 대변하는 특정 컬러를 지속해서 유지하고 드러내야 한다. 둘째는 컬러가 가지고 있는 스토리를 제품의 특성과 결합함으로써 좀 더 차별적인 가치를 전달해야 한다.
9. 결론 및 느낀점
성공한 기업들 사이에는 컬러에 대한 전략이 상당한 부분 차지하고 있었다. 결국, 기업이 성공하기 위해서는 컬러를 빼 놓고는 그 기업의 고유 브랜드가치와 성장을 어려울 것이다. 그리고 아직 우리나라에서는 컬러에 대한 연구와 체계적인 툴이 일본이나 유럽, 미국에 비해 뒤떨어져 있는 것은 사실이다. 그러므로 좀 더 체계적인 컬러에 대한 관심이 필요한 실정이다. 요즘 우리나라 기업들도 현재 컬러에 대한 광고를 많이 볼 수 있는데 기업성과 측면에서 어느 정도 성과를 이루어졌는지 흥미롭게 지켜봐야겠다.
추천자료
비타500 마케팅전략사례
스포츠마케팅사례분석
신한은행의 마케팅사례 분석
[마케팅관리]휴대폰 sky의 마케팅사례조사
소셜네트워크마케팅과사례
마케팅사례분석
싸이(Psy) 강남스타일 성공사례분석과 한국의 문화컨텐츠 한류의 성공을위한 사업전망 및 한...
현대카드 기업분석과 현대카드 마케팅사례분석및 현대카드 마케팅시사점
신라면,신라면블랙,프리미엄마케팅,프리미엄마케팅사례,신라면블랙분석,라면분석,라면시장
카페베네 마케팅사례분석과 카페베네 문제점과 개선방안제안 및 카페베네 마케팅전략제안 - ...
주황색 유래.의미와상징.마케팅사례[Orange color derived meanings and symbols. Marketing ...
LUSH 러쉬 브랜드 성공요인과 마케팅 SWOT STP 4P 전략과 LUSH 다양한 마케팅사례연구및 LUSH...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