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넘겨받은 것일까? 인간이 생존 본능을 느끼기 위해서는 치열한 목적이 있어야 된다. 무사가 아버지의 원수를 갚기위해 몸이 으스러지는 고통을 감내하는 것처럼 어떤 치열한 목적이 극한 현실에서 생존 본능을 불붙이는 것이다. 내가 도달한 결론은 그도 다른 아버지처럼 자신의 후손에게서 대리만족을 느끼고자 했던 것이다. 밤마다 복수를 위해 칼을 갈고 있는 복수의 화신처럼 말이다.
조금 다른 관점에서 보기위한 노력이 결국 희생양과는 동떨어진 프로메테우스의 모습을 만들어 버렸지만 나름대로 인간인 나의 입장에서 생각을 했고 서양 사상인 정복 지향적이고 강자 중심을 바탕으로 생각해냈다. 윤동주 시의 고결한 프로메테우스는 아니지만 희생적이고 선구적인 프로메테우스보다 더 본능에 충실하고 정직한 인간의 모습이라 생각한다.
조금 다른 관점에서 보기위한 노력이 결국 희생양과는 동떨어진 프로메테우스의 모습을 만들어 버렸지만 나름대로 인간인 나의 입장에서 생각을 했고 서양 사상인 정복 지향적이고 강자 중심을 바탕으로 생각해냈다. 윤동주 시의 고결한 프로메테우스는 아니지만 희생적이고 선구적인 프로메테우스보다 더 본능에 충실하고 정직한 인간의 모습이라 생각한다.
추천자료
안티고네(Antigone)의 문학적 신화 창조와 변천
그리스 로마 신화
그리스 로마 신화의 12신
소설 속에 그려진 여성상에 대한 연구 -『금오신화』에 나타난 여성상 규명
현대의 신화 [프랑켄슈타인]
이윤기의 그리스․로마 신화를 읽고....
오디세우스신화에 나타난 계몽과 신화
단군신화의 역사성 -『삼국유사』, 『제왕운기』, 『세종실록』에 나타난 단군신화 비교
[민속학의이해A+] 민속에 나타난 한국신앙,한국신화의 인본주의
영화 ‘퍼시 잭슨과 번개도둑’ 속 그리스 로마 신화
그리스 로마 신화 (다양한 사랑이야기, 그리스 신화에도 다양한 사랑이야기가 나온다.)
그리스 로마 신화 그림의 종류에 대해
<그리스 로마 신화> 감상문
[문학과 인간탐구] 그리스 신화 속의 사랑과 질투 中 피그말리온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