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1) 외국인이 한국어를 배우기 열풍
2) 한국어를 배우는 원인
3) 내가 한국어를 배우게 된 우연적인 계기
2. 중국에서 배운 한국어 교재 분석
1) 교재 소개
2) 텍스트 구성 소개
3) 교재에 대한 생각
3. 결론
1) 외국인이 한국어를 배우기 열풍
2) 한국어를 배우는 원인
3) 내가 한국어를 배우게 된 우연적인 계기
2. 중국에서 배운 한국어 교재 분석
1) 교재 소개
2) 텍스트 구성 소개
3) 교재에 대한 생각
3. 결론
본문내용
화와 한국인에 대한 이해에 실용적인 점은 참 마음에 들고 배울 때 흥미로웠다. 그런데 내가 보기에는 이런 좋은 점을 비해 문제점이 더 많다고 생각한다.
우선 이 교재 내용의 양이 특히 문법과 유형 연습 부분의 양이 너무 크다고 본다. 한국어3은 일년내내 계속 했다보니까 겨우 마무리를 끝냈지만 한국어4는 일년내내 공부해도 마지막인 제40과 총 32쪽에 대해 시작하지도 못했다.
그 다음에 한국어3의 문법과 한국어4의 어휘와 문법은 너무 깊이 있게 들어갔다고 생각한다. 한국어4에서 제31과의 어휘와 문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비유하다, 눈 깜짝할 사이에, 달다, 훨훨, 행복에 젖다, -는가 하면, 초조하다, -는다고들 하다, 변덕스럽다, -기엔, 으스스하다, -만 해도, 뻘뻘, 추위를 타다, 슬슬, 피었던 때가 엊그제 같다, 겨우, 견디다, 안절부절, -는 법이다, 느긋하다, 책이 다 뭐예요, 일각이 여삼추, 낯이 익다, -는단 말이에요? 못 알아 보다, 몰라보게 컸다, -고 보니, -네 -네 해도, 실감하다, 의젓하다, -어 가다/오다, 산더미처럼 쌓이다, 무슨 일이 있어도, -는다고, 오늘따라, 마저’, 쓰고 보니 어휘와 문법을 총 몇 개를 제시하느냐에 셀 기운도 없고 당장 이 부분에서 탈출하고 싶다는 생각이 급하게 들었다. 이제 다시 생각해 보니까 우리 반에서 중퇴한 학생도 두세 명 있더라, 중퇴한 것은 다른 원인도 있겠지만 이상과 같이 두 가지 원인 때문에 중퇴한 것은 아닐까 싶다.
아무런 것에 대해 분석하면 두 방면으로 봐야 되듯이 이 책은 전에 말한 좋은 점이 말고도 큰 장점이 있다고 본다. 만약에 이 책을 공부하는 학생이 인내심이 강하고 부지런한 사람이라면 굉장히 많은 지식을 얻을 수 있겠다. 동창 중에서 2년동안 한국어를 배우다가 6급을 딴 사람도 있었다. 다른 사람에게 책의 소용도 다른 법이다. 내가 이 책을 다시 열심히 공부하면 다음 1월에 한국어능력시험(TOPIK)에서 6급을 통과할 수 있을까 한번 생각해 보았다.
3. 결론
다른 나라의 사람을 자기 나라의 언어를 배우게 하려면 처음에 흥미를 느끼게 하는 것이 상당히 중요하다. 흥미를 느끼지 못하면 언어를 배우기 시작조차 말할 수 없다. 그 다음에 학생의 수준에 맞게 교재를 고르는 것이 중요하다. 적당한 교재를 선택하면 학생의 수준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학생의 자부심도 양성시킬 수 있다. 그러면 학생이 언어를 배우기에 더 열중할 것이라 생각한다. 마지막에 학생이 비교적 높은 수준에 이르면 많은 문제를 부딪칠 것이다. 예를 들면, 내가 왜 이 외국어를 전공으로 선택했나? 이 언어를 배우면 배울수록 정말 끝이 없다, 과연 이 언어를 전공으로 졸업한 후에 밝은 진로가 있을까? 이 문제는 실제 외국인 학생들에게 지속적인 동기를 부여하는 문제이다. 이를 해결하려면 외국어를 가르치는 교사만에 기대면 안 되는 것이다, 그 나라의 경제 발전이나 미래에 달리는 문제라고 할 수 있다. 한국어를 전공으로 배우고 있는 나는 한국은 국제에서 높은 위상에 자리매김하기를 바란다.
우선 이 교재 내용의 양이 특히 문법과 유형 연습 부분의 양이 너무 크다고 본다. 한국어3은 일년내내 계속 했다보니까 겨우 마무리를 끝냈지만 한국어4는 일년내내 공부해도 마지막인 제40과 총 32쪽에 대해 시작하지도 못했다.
그 다음에 한국어3의 문법과 한국어4의 어휘와 문법은 너무 깊이 있게 들어갔다고 생각한다. 한국어4에서 제31과의 어휘와 문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비유하다, 눈 깜짝할 사이에, 달다, 훨훨, 행복에 젖다, -는가 하면, 초조하다, -는다고들 하다, 변덕스럽다, -기엔, 으스스하다, -만 해도, 뻘뻘, 추위를 타다, 슬슬, 피었던 때가 엊그제 같다, 겨우, 견디다, 안절부절, -는 법이다, 느긋하다, 책이 다 뭐예요, 일각이 여삼추, 낯이 익다, -는단 말이에요? 못 알아 보다, 몰라보게 컸다, -고 보니, -네 -네 해도, 실감하다, 의젓하다, -어 가다/오다, 산더미처럼 쌓이다, 무슨 일이 있어도, -는다고, 오늘따라, 마저’, 쓰고 보니 어휘와 문법을 총 몇 개를 제시하느냐에 셀 기운도 없고 당장 이 부분에서 탈출하고 싶다는 생각이 급하게 들었다. 이제 다시 생각해 보니까 우리 반에서 중퇴한 학생도 두세 명 있더라, 중퇴한 것은 다른 원인도 있겠지만 이상과 같이 두 가지 원인 때문에 중퇴한 것은 아닐까 싶다.
아무런 것에 대해 분석하면 두 방면으로 봐야 되듯이 이 책은 전에 말한 좋은 점이 말고도 큰 장점이 있다고 본다. 만약에 이 책을 공부하는 학생이 인내심이 강하고 부지런한 사람이라면 굉장히 많은 지식을 얻을 수 있겠다. 동창 중에서 2년동안 한국어를 배우다가 6급을 딴 사람도 있었다. 다른 사람에게 책의 소용도 다른 법이다. 내가 이 책을 다시 열심히 공부하면 다음 1월에 한국어능력시험(TOPIK)에서 6급을 통과할 수 있을까 한번 생각해 보았다.
3. 결론
다른 나라의 사람을 자기 나라의 언어를 배우게 하려면 처음에 흥미를 느끼게 하는 것이 상당히 중요하다. 흥미를 느끼지 못하면 언어를 배우기 시작조차 말할 수 없다. 그 다음에 학생의 수준에 맞게 교재를 고르는 것이 중요하다. 적당한 교재를 선택하면 학생의 수준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학생의 자부심도 양성시킬 수 있다. 그러면 학생이 언어를 배우기에 더 열중할 것이라 생각한다. 마지막에 학생이 비교적 높은 수준에 이르면 많은 문제를 부딪칠 것이다. 예를 들면, 내가 왜 이 외국어를 전공으로 선택했나? 이 언어를 배우면 배울수록 정말 끝이 없다, 과연 이 언어를 전공으로 졸업한 후에 밝은 진로가 있을까? 이 문제는 실제 외국인 학생들에게 지속적인 동기를 부여하는 문제이다. 이를 해결하려면 외국어를 가르치는 교사만에 기대면 안 되는 것이다, 그 나라의 경제 발전이나 미래에 달리는 문제라고 할 수 있다. 한국어를 전공으로 배우고 있는 나는 한국은 국제에서 높은 위상에 자리매김하기를 바란다.
추천자료
텍스트 의미 구조의 과정 중심 분석 방법 연구
한국 노인교육의 현황분석 및 교육활성화 방안
기독교교육과정분석 (종교교육과정분석 - 기독교교과목, 기독교대안학교)
법과 사회 교과서 분석
다문화가정의 현황 및 문제점 분석과 해결방안
토론 텍스터 분석 - MBC 100분 토론 383회
표준발음법과 오용사례, 실태, 표준발음법규정, 해결방안
외래어 발음 실태와 표기의 문제
노인교육의 실태 및 발전방향 - 우리나라 노인교육의 실태 및 발전방향에 대해서 논해보자.
국내 방송 프로그램 제목의 외래어 사용의 실태
한국표현교육론-교사말을 활용한 초급문법 2단계 교육과정
문법교육론(문법무용론에 대한 의견)
한국문화교육론)언어와 문화의 관계를 정리하고 언어 학습에서 문화교육이 중요한 이유를 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