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뇌 가소성의 정의
2. 뇌발달과 뇌가소성
3. 경험에 의한 세포의 변화
4. 결정적 시기에 대한 이해
2. 뇌발달과 뇌가소성
3. 경험에 의한 세포의 변화
4. 결정적 시기에 대한 이해
본문내용
계발된 프로그램들 중 효과성이 인정되고 있는 중재들은 어린 아동들(유치원, 초등학교 저학년)을 대상으로 한다. 또한 박탈된 경험을 가진 아동들에게 조기개입을 시도했을 때 효과가 더욱 크게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Athos et al., 2007; Ghera et al., 2009; Windsor et al., 2007). 가장 효과적인 초기 개입 방식이 무엇인지나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시기는 언제인지에 대한 합의는 이루어지고 있지 않지만 비정상적인 발달을 보이는 학생에게 교육적 처치의 효과를 높일 수 있는 민감기가 존재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그러나 정상적인 유전자를 지니며 결핍되지 않은 환경에서 성장하는 아동에게 이러한 연구결과를 적용하는 것은 지양해야 한다. 특정시절에 일반적인 수준보다 높은 정도의 자극을 제공하는 것이 뇌발달을 증가시키는가에 대한 경험적 증거는 부족하다. 아동의 뇌발달을 위해 많은 자극을 제시하려 노력하는 것 보다 오히려 성장과정에서 결핍된 요소는 없는지를 되돌아보는 것이 더 중요할 수 있다.
참고문헌 ···············································································
● 김교옥(2016), 미술치료에 대한 뇌 과학적 이해, 아시아문화학술원 인문사회21 7권, 2호
● 이계주(2014), 운동학스베 의한 소뇌 시냅스 가소성, 대한운동사협회
● Rita Carter(2007), <뇌 맵핑마인드>, 서울: 말글빛냄
● 조주연(2008), 뇌가소성이 교육에 주는 시사점 고찰, 교육학연구 32권, 3호
참고문헌 ···············································································
● 김교옥(2016), 미술치료에 대한 뇌 과학적 이해, 아시아문화학술원 인문사회21 7권, 2호
● 이계주(2014), 운동학스베 의한 소뇌 시냅스 가소성, 대한운동사협회
● Rita Carter(2007), <뇌 맵핑마인드>, 서울: 말글빛냄
● 조주연(2008), 뇌가소성이 교육에 주는 시사점 고찰, 교육학연구 32권, 3호
추천자료
인간 발달 단계 중에서 특히 학교폭력과 관계가 있는 청소년기의 심리적 사회적 특성에 대하...
장애인에게 있어서 생활의 질이란 무엇이며 그 내용이 무엇을 의미하는지 서술해 보세요.
[의학] 신경가소성[neuroplasticity]에 대해서
[유아발달] 뇌 발달 단계별 특성과 어른의 역할에 대해서 서술 하시오
학교폭력과 관계가 있는 청소년기의 심리적 사회적 특성에 대하여 서술하고, 학교폭력을 줄이...
[영아발달] 최근 스마트폰의 빠른 보급과 함께 영아기에 스마트폰을 접하게 되는 경우가 증가...
인지심리학_인지신경과학에서 뇌 기능의 국소성과 가소성이 갖는 함의에 대해 기술하시오.
심리학개론-뉴런들 사이의 신호전달에 대해서 서술해 보세요.
심리학개론)뉴런들 사이의 신호전달에 대해서 서술해 보세요.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