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브생로랑 마케팅연구] 이브생로랑(입생로랑) 브랜드분석과 이브생로랑 SWOTSTP분석및 마케팅전략 사례연구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이브생로랑 마케팅연구] 이브생로랑(입생로랑) 브랜드분석과 이브생로랑 SWOTSTP분석및 마케팅전략 사례연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이브 생 로랑 브랜드소개

2. 이브 생 로랑 인물소개

3. 명품브랜드의 의미

4. 프랑스 패션사업의 발전

5. 명품시장 상황분석

6. 이브생로랑 기업 History

7. 입생로랑 주요 상품라인

8. 이브생로랑 SWOT분석
(1) Strength
(2) Weakness
(3) Opportunity
(4) Threat

9. 이브생로랑 STP분석
(1) Segmentaion
(2) Targeting
(3) Positioning

10. 이브생로랑 마케팅전략
(1) 문화마케팅
(2) 페미니즘 마케팅
(3) 콜라보레이션 마케팅
(4) 한정판 마케팅
(5) PPL 마케팅

본문내용

Dame De Paris)’, ‘온종일 숲 속에서(Des Journees Entieres Dans Les Arbres)’ 등의 의상을 제작하기도 했다.
(2) 페미니즘 마케팅
이브 생 로랑은 기성복 라인인 리브 고시 컬렉션을 통해 고상한 하이 패션과 대중적인 스트리트 패션의 높은 벽을 허물었고, 늘 ‘나는 여성이 내 옷 안에서 좀더 당당해지길 원한다’고 말하곤 했다. 이브 생 로랑에게 패션이란 고상한 귀부인도 자유분방한 스트리트 패션을 입을 수 있고 반대로 자유분방한 소녀도 멋진 슈트를 입을 수 있는 것이었다. 또한 이브 생 로랑은 르 스모킹을 통해 남성의 전유물이었던 팬츠 슈트를 여성도 입을 수 있도록 했고, 시스루 룩을 통해 감춰야 했던 여성의 신체를 드러냄으로써 여성이 보다 자유로워질 수 있는 발판을 마련했다. 이러한 점에 비추어 이브 생 로랑은 패션계에서 ‘진정으로 여성을 위로하는 옷을 만들었다’고 평가 받는다.
(3) 콜라보레이션 마케팅
생 로랑의 현 크리에이티브 디렉터인 에디 슬리만은 1971년 롤링 스톤스(The Rolling Stones)의 믹 재거(Mick Jagger)와 비앙카 재거(Bianca Jagger)의 결혼식 의상을 디자인 했던 이브 생 로랑처럼 뮤지션들과의 협업을 통해 생 로랑만의 록 시크(Rock Chic)적인 브랜드 이미지를 구축해 나가고 있다.
2013년부터 시작한 생 로랑 뮤직 프로젝트는 벡(Beck)의 리더인 벡 한센(Beck Hansen), 코트니 러브(Courtney Love), 킴 고든(Kim Gordon), 마릴린 맨슨(Marilyn Manson), 아리엘 핑크(Ariel Pink) 등 록을 대표하는 뮤지션들과 생 로랑이 함께하는 캠페인으로서 뮤지션들이 생 로랑의 의상을 입고 모델로 등장했다.
뮤직 프로젝트와 함께 생 로랑 런웨이 쇼를 위한 오리지널 사운드 트랙(Original Sound Track) 작업도 진행 중에 있다. 지금까지 다프트 펑크(Daft Punk), 디오시즈(Thee Oh Sees)가 생 로랑 컬렉션의 백그라운드 음악을 만들었다. 에디 슬리만은 다프트 펑크가 8년 만에 선보이는 신보의 티저 영상 및 무대 의상을 직접 디자인하기도 했다. 생 로랑의 블랙 재킷을 착용한 다프트 펑크 이미지는 생 로랑의 공식 홈페이지 YSL.com 및 페이스북(facebook.com/ysl), 유튜브(youtube.com/ysl)에서 처음으로 공개되었다.
2013년 9월 생 로랑은 뮤직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록&블루스의 전설적인 인물을 모아 촬영하는 아키텍츠 오브 록 앤 블루스(Architects Of Rock And Blues) 프로젝트를 시작했다. 제리 리 루이스(Jerry Lee Lewis), 비비 킹(B.B King), 척 베리(Chuck Berry)가 생 로랑의 클래식 룩과 턱시도 슈트를 입고 촬영에 임했는데 이는 스튜디오가 아닌 실제 공연장에서 촬영된 것으로 알려졌다.
(4) 한정판 마케팅
한정판 마케팅은 다양한 분야에서 이루어지고 있다. 뷰티 브랜드에서는 계절에 맞춘 다양한 시즌 상품을 판매하고, 패션 브랜드에서는 유명 연예인이나 타 브랜드와의 콜라보레이션을 통해 수많은 한정판을 생산해내고 있다. 이런 한정 생산 상품들은 빠르면 초 단위로 예약이 마감되며, 판매가 끝난 후에는 원래 판매되었던 가격의 2~3배에 달하는 프리미엄이 붙은 가격으로 되팔리기도 한다. 한정 상품들은 희소성과 특별함을 강조해 소비자를 자극한다. 통상 판매되는 다른 제품들과는 차별성을 지니기 때문에 독특성 욕구와 과시적 성향과도 큰 연관이 있다.
입생로랑은 홀리데이 에디션을 출시했는데, 이 상품들은 스파클 클래쉬 컬렉션이라고 해서 기존 상품들보다 더 화려한 케이스에 내용물이 담겨 있다. 홀리데이 에디션 역시 높은 인기를 자랑하며, 구매하기 위해 찾아온 사람들이 너무 많아 백화점 측에서 번호표를 배부할 정도였다고 한다.
(5) PPL 마케팅
PPL(product placement)은 직역하면 제품 배치다. 즉 필요한 위치에 제품을 갖다 놓는 것을 의미하는데, 원래 영화를 제작할 때 각 장면에 사용될 소품을 적절한 장소에 배치하는 것을 일컫던 말이다. 초기에는 영화 제작부서에서 시나리오를 보고 기업이나 점포를 방문해 각 신(scene)에 필요한 소품을 요청해 배치했다. 이 시기만 해도 영화사보다는 기업이 주도권을 갖고 있었다.
하지만 영화에 등장했던 제품이나 브랜드에 소비자들이 반응을 보이고, 심지어는 매출도 증가하자 기업들이 먼저 자신의 제품을 사용해 달라고 요청하거나 때로는 제품 사용의 대가로 제작비를 지원해 주기도 했다. PPL이 본격적인 마케팅 수단으로 사용된 영화 〈ET〉에서는 주인공이 ET를 유인하기 위해 사용되었던 허쉬(Hershey)의 초콜릿이 1개월 만에 영화 개봉 전 대비 65%의 매출 상승을 보였다. 2012년 방송된 드라마 〈신사의 품격〉에서 배우들이 사용했던 선글라스, 옷핀 등은 실제로 매장에서 매진되었으며, 여주인공이 자주 찾던 빵집 '뚜레쥬르'는 방송 2주간 매출이 전달 대비 166% 상승했다.
이처럼 영화나 TV 프로그램 속에 등장한 제품이나 브랜드의 인지도와 매출이 상승하자 기업들은 과거와 달리 적극적으로 PPL을 마케팅 수단으로 사용하기 시작했다. 즉, 이제 PPL은 단순히 콘텐츠 내에서 소품을 배치하는 것을 넘어섰다. 마케팅 및 광고, PR 수단으로서 PPL이란 '주로 영화 제작사나 방송사에 제품이나 제작비를 협찬해 주고 그 대가로 기업이나 제품, 브랜드 로고를 노출시키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여기서 중요한 점은 협찬(sponsorship)의 대가로 제품이나 로고를 노출시키는 것이다. 따라서 PPL을 이용한 기업들은 영화나 프로그램 말미에 엔딩 크레딧에서 자막으로 확인할 수 있다.
입생로랑의 연예인을 통한 협찬 사례로는 인천대학교에서 촬영한 ‘별에서 온 그대’라는 드라마가 국내에서 뿐만 아니라 해외에서도 큰 효과를 봤다.
인터넷에 ‘전지현’이라는 검색어를 치면 전지현 립스틱, 선글라스, 가방 등 온갖 제품들이 나온다. 그 중 극 중에서 전지현이 하고 나온 입생로랑 틴트는 유례없는 매출을 기록하고 매진되었다.
  • 가격5,000
  • 페이지수15페이지
  • 등록일2018.05.01
  • 저작시기2018.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5388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