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목 차 -
Ⅰ. 서론 ---------------- p.3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문헌고찰
Ⅱ. 본론 ---------------- p.5
1. 간호사정
2. 간호과정
#.1 우선순위
#.2 우선순위
Ⅲ. 결론 ---------------- p.13
Ⅳ. 참고문헌/참고사이트 ------ p.13
Ⅰ. 서론 ---------------- p.3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문헌고찰
Ⅱ. 본론 ---------------- p.5
1. 간호사정
2. 간호과정
#.1 우선순위
#.2 우선순위
Ⅲ. 결론 ---------------- p.13
Ⅳ. 참고문헌/참고사이트 ------ p.13
본문내용
상태를 관찰한다.
→ pH, pO2, pCO2, HCO3의 변화를 통해 호흡의 효율성을 알 수 있다.
3. 체위변화가 호흡에 영향을 주는지 관찰하고 호흡곤란을 완화시키는 체위를 취해준다.
→ 반좌위는 호흡구조의 긴장과 호흡하는 일을 감소시켜 폐확장에 도움이 된다.
4. 대상자가 호흡곤란을 호소할 경우 숨을 깊게 쉬도록 교육한다.
→ 심호흡은 환기가 적절하게 이루어지도록 하여 가스교환을 도와준다.5. 처방에 따라 산소를 공급한다.
수행
1. 3시간마다 호흡양상과 리듬, 횟수를 사정했다.
3/20
7:00
10:00
13:00
15:00
호흡수
22
28
26
26
2. 동맥혈가스분석결과를 관찰했다.
DATE
pH
PO2
PCO2
3/20
7.405
72.3
35.7
3. 30도 head up 시켜주었고, 대상자는 숨을 편하게 쉴 수 있다고 말했다.
4. 대상자가 호흡곤란이 올 경우 숨을 깊게 쉬도록 교육했다.
5. 처방에 따라 산소를 공급했다.
3/15
3/16
3/17
3/20
10:00
13:00
16:00
19:35
16:00
19:00
9:00
13:00
O2 supply
3L
3L
3L
5L
5L
5L
10L
10L
평가
대상자는 현재 산소마스크를 통해 10L의 산소를 공급받고 있다. 대상자는 산소공급이 건조하다며 자주 산소마스크를 벗고 계시며 이 경우 호흡수가 증가하고 SPO2가 감소되었다. 30도 head up시킨 후 대상자에게 호흡곤란이 올 경우 숨을 깊이 쉴 수 있도록 교육했지만 시행하지 않는 모습이 관찰 되었다. 3월 20일 동맥혈 가스분석 검사결과 PO2 72.3으로 정상범위보다 낮은 상태이다.
저환기와 관련된 가스교환 장애
자료
수집
주관적 자료
“추워. 이불 좀 덮어줘”
객관적 자료
Chest PA상 양쪽 폐에 비활동성염증 보임.
항목
검사치
3/16
3/20
WBC
▲13.98
▲12.97
SEG NEU
▲89.80
▲80.40
Neutrophil
▲12.57
▲10.43
ESR
-
▲49
3/17
3/20
16:00
19:00
7:00
9:00
체온
37.5
37.7
38.2
38.0
맥박
80
80
104
124
간호진단
염증과 관련된 고체온
간호목표
장기 : 대상자의 체온이 정상범위 내를 유지한다.
단기 : 대상자의 체온이 2시간 후 37.5도 이하로 감소한다.
간호계획
및
이론적근거
1. 3시간마다 체온과 맥박을 사정한다.
→ 체온과 맥박에 관한 기초정보를 분석하여 대상자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2.고열로 인한 증상(fever양상 또는 chilling sense, 빈맥 등)을 관찰한다.
→ chilling은 때때로 심각한 인체의 감염을 뜻하는 유의미한 인체의 반응이므로 가볍게 넘겨서는 안 된다.
3. 옷을 얇고 느슨하게 입도록 하고, 침구를 가볍게 덮어준다.
→ 무거운 이불은 열 발산을 방해한다. 가벼운 침구는 공기와 닿는 단면적이 늘어나서 체온을 떨어뜨릴 수 있다.
4. 대상자의 머리, 액와 부위에 Ice-bag을 대 준다.
→ 얼음주머니를 액와, 머리, 서혜부 등의 큰 혈관 가까운 곳에 대어 열의 증발의 효과를 기한다.
5. 처방에 따라 필요시 해열제를 투여한다.
수행
1. 3시간마다 체온과 맥박을 사정했다.
3/20
7:00
10:00
13:00
15:00
체온
38.2
38.4
37.4
37.5
맥박
104
98
115
113
2.고열로 인한 증상(fever양상 또는 chilling sense 등)을 관찰했다.
3. 옷을 얇고 느슨하게 입도록 하고, 침구를 가볍게 덮어주었다.
4. 대상자의 머리, 액와 부위에 Ice-bag을 대주었다.
5. 처방된 해열제를 투여했다.
- Acupan20mg/2ml/Amp VF 투여
- mino-v 90mg/2mL/Amp IM 투여
평가
현재 대상자는 37.4도로 체온이 떨어졌지만 37.5도를 기준으로 체온이 변하는 불안정한 상태이다. 체온이 높아질 경우 빈맥현상이 나타난다. 대상자가 오한을 느낀다고 표현하고 있어 Ice-bag을 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2 염증과 관련된 고체온
Ⅲ. 결론
본 연구를 통해 지주막하출혈에 대한 원인, 증상, 진단과 치료뿐 만아니라 성인간호학 신경계 대상자간호 부분에 나온 질환들에 대해 많은 지식을 공부하고 정보를 얻을 수 있었다. 그러나 아직 대상자의 요구를 이해하고 최적의 건강상태를 증진시키기 위해서는 이보다 더 많은 지식과 기술이 필요하다는 것을 느꼈다.
지주막하 출혈로 고생하는 대상자들에게 학생간호사로서 해줄 수 있는 간호중재는 제한되어 있다. 그러나 아주 작고 세세한 간호중재들이 대상자의 상태를 좀 더 호전시키는데 밑바탕이 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학생간호사라는 신분으로 좀 더 다양한 간호 중재를 할 수 없었던 것은 사실이지만 간호사선생님들의 간호중재를 보고 관찰하면서 이 사례에 좀 더 가까이 접근할 수 있었다.
지주막하 출혈은 갑작스럽게 발생하고, 신경학적기능의 상실을 동반하여, 짧은 시간 내에 급격하게 질병의 경과가 진행된다. 또한 사망의 위험성이 높고 사망에 이르지는 않더라도 계속적인 심각한 후유 장애로 인하여 사회활동을 할 수 없게 될 수 있는 무서운 질병이다. 그러나 경고성 두통이 왔을 때 조기진단을 받고, 뇌동맥이 파열되기 전에 적절한 치료를 한다면 후에 생길 수 있는 치명적인 결과를 피할 수 있을 것이다. 앞으로 간호사가 될 학생으로서 이와 같은 생각을 가지고 임상현장에 나선다면 좀 더 나은 의료 환경을 만들 수 있지 않을까 기대해 본다.
Ⅳ. 참고문헌/참고사이트
참고문헌
조경숙 외(2015), 성인간호학(하권), 현문사, p411-507
김조자 외(2014), 비판적 사고를 적용한 간호과정, 수문사, p438-510
송경애 외(2015), 최신기본간호학(상), 수문사, p253-278
참고사이트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926723&mobile&cid=51007&categoryId=51007
http://www.amc.seoul.kr/asan/healthinfo/disease/diseaseDetail.do?contentId=31924
http://www.kmle.co.kr/
→ pH, pO2, pCO2, HCO3의 변화를 통해 호흡의 효율성을 알 수 있다.
3. 체위변화가 호흡에 영향을 주는지 관찰하고 호흡곤란을 완화시키는 체위를 취해준다.
→ 반좌위는 호흡구조의 긴장과 호흡하는 일을 감소시켜 폐확장에 도움이 된다.
4. 대상자가 호흡곤란을 호소할 경우 숨을 깊게 쉬도록 교육한다.
→ 심호흡은 환기가 적절하게 이루어지도록 하여 가스교환을 도와준다.5. 처방에 따라 산소를 공급한다.
수행
1. 3시간마다 호흡양상과 리듬, 횟수를 사정했다.
3/20
7:00
10:00
13:00
15:00
호흡수
22
28
26
26
2. 동맥혈가스분석결과를 관찰했다.
DATE
pH
PO2
PCO2
3/20
7.405
72.3
35.7
3. 30도 head up 시켜주었고, 대상자는 숨을 편하게 쉴 수 있다고 말했다.
4. 대상자가 호흡곤란이 올 경우 숨을 깊게 쉬도록 교육했다.
5. 처방에 따라 산소를 공급했다.
3/15
3/16
3/17
3/20
10:00
13:00
16:00
19:35
16:00
19:00
9:00
13:00
O2 supply
3L
3L
3L
5L
5L
5L
10L
10L
평가
대상자는 현재 산소마스크를 통해 10L의 산소를 공급받고 있다. 대상자는 산소공급이 건조하다며 자주 산소마스크를 벗고 계시며 이 경우 호흡수가 증가하고 SPO2가 감소되었다. 30도 head up시킨 후 대상자에게 호흡곤란이 올 경우 숨을 깊이 쉴 수 있도록 교육했지만 시행하지 않는 모습이 관찰 되었다. 3월 20일 동맥혈 가스분석 검사결과 PO2 72.3으로 정상범위보다 낮은 상태이다.
저환기와 관련된 가스교환 장애
자료
수집
주관적 자료
“추워. 이불 좀 덮어줘”
객관적 자료
Chest PA상 양쪽 폐에 비활동성염증 보임.
항목
검사치
3/16
3/20
WBC
▲13.98
▲12.97
SEG NEU
▲89.80
▲80.40
Neutrophil
▲12.57
▲10.43
ESR
-
▲49
3/17
3/20
16:00
19:00
7:00
9:00
체온
37.5
37.7
38.2
38.0
맥박
80
80
104
124
간호진단
염증과 관련된 고체온
간호목표
장기 : 대상자의 체온이 정상범위 내를 유지한다.
단기 : 대상자의 체온이 2시간 후 37.5도 이하로 감소한다.
간호계획
및
이론적근거
1. 3시간마다 체온과 맥박을 사정한다.
→ 체온과 맥박에 관한 기초정보를 분석하여 대상자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2.고열로 인한 증상(fever양상 또는 chilling sense, 빈맥 등)을 관찰한다.
→ chilling은 때때로 심각한 인체의 감염을 뜻하는 유의미한 인체의 반응이므로 가볍게 넘겨서는 안 된다.
3. 옷을 얇고 느슨하게 입도록 하고, 침구를 가볍게 덮어준다.
→ 무거운 이불은 열 발산을 방해한다. 가벼운 침구는 공기와 닿는 단면적이 늘어나서 체온을 떨어뜨릴 수 있다.
4. 대상자의 머리, 액와 부위에 Ice-bag을 대 준다.
→ 얼음주머니를 액와, 머리, 서혜부 등의 큰 혈관 가까운 곳에 대어 열의 증발의 효과를 기한다.
5. 처방에 따라 필요시 해열제를 투여한다.
수행
1. 3시간마다 체온과 맥박을 사정했다.
3/20
7:00
10:00
13:00
15:00
체온
38.2
38.4
37.4
37.5
맥박
104
98
115
113
2.고열로 인한 증상(fever양상 또는 chilling sense 등)을 관찰했다.
3. 옷을 얇고 느슨하게 입도록 하고, 침구를 가볍게 덮어주었다.
4. 대상자의 머리, 액와 부위에 Ice-bag을 대주었다.
5. 처방된 해열제를 투여했다.
- Acupan20mg/2ml/Amp VF 투여
- mino-v 90mg/2mL/Amp IM 투여
평가
현재 대상자는 37.4도로 체온이 떨어졌지만 37.5도를 기준으로 체온이 변하는 불안정한 상태이다. 체온이 높아질 경우 빈맥현상이 나타난다. 대상자가 오한을 느낀다고 표현하고 있어 Ice-bag을 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2 염증과 관련된 고체온
Ⅲ. 결론
본 연구를 통해 지주막하출혈에 대한 원인, 증상, 진단과 치료뿐 만아니라 성인간호학 신경계 대상자간호 부분에 나온 질환들에 대해 많은 지식을 공부하고 정보를 얻을 수 있었다. 그러나 아직 대상자의 요구를 이해하고 최적의 건강상태를 증진시키기 위해서는 이보다 더 많은 지식과 기술이 필요하다는 것을 느꼈다.
지주막하 출혈로 고생하는 대상자들에게 학생간호사로서 해줄 수 있는 간호중재는 제한되어 있다. 그러나 아주 작고 세세한 간호중재들이 대상자의 상태를 좀 더 호전시키는데 밑바탕이 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학생간호사라는 신분으로 좀 더 다양한 간호 중재를 할 수 없었던 것은 사실이지만 간호사선생님들의 간호중재를 보고 관찰하면서 이 사례에 좀 더 가까이 접근할 수 있었다.
지주막하 출혈은 갑작스럽게 발생하고, 신경학적기능의 상실을 동반하여, 짧은 시간 내에 급격하게 질병의 경과가 진행된다. 또한 사망의 위험성이 높고 사망에 이르지는 않더라도 계속적인 심각한 후유 장애로 인하여 사회활동을 할 수 없게 될 수 있는 무서운 질병이다. 그러나 경고성 두통이 왔을 때 조기진단을 받고, 뇌동맥이 파열되기 전에 적절한 치료를 한다면 후에 생길 수 있는 치명적인 결과를 피할 수 있을 것이다. 앞으로 간호사가 될 학생으로서 이와 같은 생각을 가지고 임상현장에 나선다면 좀 더 나은 의료 환경을 만들 수 있지 않을까 기대해 본다.
Ⅳ. 참고문헌/참고사이트
참고문헌
조경숙 외(2015), 성인간호학(하권), 현문사, p411-507
김조자 외(2014), 비판적 사고를 적용한 간호과정, 수문사, p438-510
송경애 외(2015), 최신기본간호학(상), 수문사, p253-278
참고사이트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926723&mobile&cid=51007&categoryId=51007
http://www.amc.seoul.kr/asan/healthinfo/disease/diseaseDetail.do?contentId=31924
http://www.kmle.co.kr/
키워드
추천자료
[간호학] 뇌출혈 케이스
노인간호학 뇌내출혈 case study
성인간호학 실습 case study 뇌내출혈 ICH(Intracerebral hemorrhage)
ICH뇌내출혈 케이스
뇌출혈(ICH) 대상자에 대한 Case study
성인간호 IICH (Intra Cerebral Hemorrhage) 뇌내출혈 케이스
ICH케이스(두개뇌출혈) 케이스 스터디
뇌출혈(cerebral hemorrhage) 케이스스터디
ICU 뇌출혈 Case study
뇌내출혈(ICH) Case Study - 문헌고찰, 간호과정(진단3개)
뇌출혈(뇌졸중, 뇌경색 등) case study - 뇌출혈 컨퍼런스
뇌출혈 케이스
Intra Cranial Hemorrhage ICH 두개내출혈 케이스 스터디 (간호과정)
[동서협진과 CASE] 두개내출혈 이후 수두증이 병발한 여환 1례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