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목차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2. 문헌고찰
Ⅱ. 본론
1. 자료수집
2. 간호문제
3. 간호진단
4. 간호과정적용
1. 연구의 필요성
2. 문헌고찰
Ⅱ. 본론
1. 자료수집
2. 간호문제
3. 간호진단
4. 간호과정적용
본문내용
동원하였다.
2-② 규칙적인 취침시간과 기상시간을 정하였다.
3-① 환자가 비약물적인 치료를 생활화하도록 도왔다.(운동,작업요법)
3-② 소량의 카페인이 함유된 음료를 제한하고 취침 전에 따뜻한 우유를 먹도록 하였다.
3-③ 선택된 치료방법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격려하였다.
4-① 조용하고 안정된 환경을 제공한다.(텔레비전 소리를 낯주고 기타 소음을 제거한다)
4-② 이완요법(명상용법)을 실시한다.
4-③ 불안과 관련된 문제를 표현하도록 격려 하였다.
4-④ 필요시 환자의 병실을 옮겨 드린다.(4인실에서 -1인실로)
1. 사정을 통해 수면양상을 알 수 있고 간호하는데 바탕이 된다.
2. 규칙적인 생활을 통해 수면시간을 줄일 수 있다.
3. 낮 동안 활동량을 증가시키므로 밤의 수면을 돕는다.
4. 불안을 제거 함으로써 숙면을 취할수 있다.
1~2. 낮 동안의 운동을 권장하여 무기력을 완화시켰고 낮잠을 제한하는 노력을 보였다.
3~4. 하루에 8시간 정도의 수면을 취하게 있게 되었다고 말씀 하였다.
#5. 섭취 및 활동 감소와 관련된 변비
사정
간호진단
목표
계획
수행
이론적
근거
평가
주관적 자료
객관적 자료
“변을 못 봐서 배가 벙벙하고 속이 갑갑해.”
내 배가 아파 죽겠다. 약 좀 도라.
간병인 :
도통 먹지도 안하고 움직이도 안 하는데 우예 변을 보겄노
- 대상자의 복부 청진시 장음이 감소되어 있음
- 5일째 대변을 보지 못하심
- 복부통증을 호소하심
- 복부팽만
- 식욕부진
- 굵고 딱딱한 변
- 활동저하
#5. 섭취 및 활동 감소와 관련된 변비
<단기목표>
대상자는 변비로 인한 불편감을 호소하지 않는다.
<장기목표>
대상자는 규칙적인 배변양상을 보인다.
1. 대상자의 현재 배변양상을 사정한다.
2. 섭취량과 배설량을 관찰한다.
3. 수분, 유제품 섬유질 섭취량을 늘린다.
4. 대상자의 활동단계를 증가시킨다.
5. 복부마사지 방법에 대해 교육한다.
6. 필요시 처방된 비코그린을 복용한다.
1. 배변습관과 횟수, 특성 등에 관해 구체적으로 표현하도록 대상자를 격려하였다.
2-① 섭취량과 배설량을 주의 깊게 사정하고 기록하였다.
3-① 수분과 유제품, 섬유질이 많이 포함된 음식의 섭취와 변비와의 관계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3-② 하루에 2000cc (6~8잔) 정도의 수분을 섭취할 것을 권장하였다.
3-③ 우유, 요구르트 등의 유제품 섭취를 권장하였다.
3-④ 커피나 탄산음료와 같은 카페인이 함유된 음료는 오히려 탈수 작용을 일으켜 변비를 악화시킴을 설명하였다.
3
-⑤ 당근, 사과, 미역 등 섬유질이 많이 포함된 음식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섭취할 것을 격려하였다.
4-① 침대에 누워있기 보다는 가능한 앉아 있는 시간을 늘릴 것을 교육하였다.
4-② 규칙적으로 Walker를 이용하여 병동을 한 바퀴씩 돌도록 격려하였다.
4-③ 점차적으로 활동을 증진시킬 것을 설명하였다.
5-① 간병인에게 복부 마사지 방법에 대해 설명하고 대상자에게 실시할 수 있도록 격려하였다.
5-② 마사지를 하기 전 양쪽 손바닥을 비벼서 열을 낼 것을 설명하였다.
5-③ 오른손으로 왼쪽 손목을 잡고 왼쪽손바닥을 펴서 대상자의 배꼽 주변을 오른쪽으로 큰 원을 그리며 횡행결장과 하행결장을 부드럽게 마사지한 후 반대방향으로도 반복할 것을 교육하였다.
5-④ 아침식사를 마치고 20분 정도 후에 마사지를 실시함이 효과적임을 설명하였다.
6-① 비코그린의 작용에 관해 설명하였다.
6-② 잠들기 전에 비코그린 2정을 복용할 것을 지시하였다.
6-③ 부작용의 발현 여부에 대해 주의 깊게 관찰하였다.
1-① 배변습관을 유지하지 않는 것, 변의를 무시하거나 배변시간을 충분히 갖지 않는 것은 변비의 원인이 된다.
2-① 정확한 섭취량과 배설량을 알기 위함이며 섭취량과 배설량을 측정함으로써 수분전해질 불균형의 정도에 대해 알 수 있다.
3-① 수분과 섬유질이 많이 포함된 음식 섭취의 중요성을 알도록 하기 위함이다.
3-①②③ 충분한 수분섭취와 유제품의 섭취는 변비를 완화시킨다.
3-④ 커피나 탄산음료와 같은 카페인이 함유된 음료는 탈수 작용을 일으켜 변비를 악화시킬 수 있다.
3-⑤ 섬유질이 많이 함유된 음식에는 당근, 사과, 미역, 다시마, 고구마, 토마토 등이 있다.
4-①②③ 규칙적인 운동은 변비를 완화시키는데 도움이 되며 활동은 점차적으로 증가시켜야 무리가 가지 않는다.
5-①②③④ 복부마사지를 함으로써 장의 활동을 촉진시킬 수 있다.
5-③ 횡행결장과 하행결장을 마사지하는 것은 배변을 자극시킨다.
6-① 비코그린은 변비 및 변비로 인한 식욕부진, 복부팽만, 장내 가스, 치질 등의 증상을 완화시킨다.
6-② 잠들기 전 하제를 투여하여 다음날 아침에 배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6-③ 비코그린을 투여함으로써 심한 복통, 설사, 구토 등의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다.
1-① 대상자의 비효율적인 배변양상에 대해 알 수 있었다.
2-① 섭취량과 배설량의 불균형을 관찰할 수 있었다.
3-①②③④⑤ 대상자는 조금 무른 변을 보는 데에는 성공하였다고 하셨으며 속이 갑갑함과 복부 통증도 완화되었다고 하셨다.
3-① 대상자는 설명한 것을 이해하였다는 것을 말로써 표현하였다.
3-②③④ 물은 많이 마시려고 노력은 하는데 잘 되지 않는다고 하셨으며 콩이 함유된 우유가 입맛에 맞아 자주 마시고 있다고 말씀하셨다.
3-⑤ 병원 식단에 섬유질이 함유된 음식이 많이 포함되어 있어 많은 양을 섭취할 수 있었다고 하셨다.
4-①②③ 대상자는 여전히 침대에 누워 보내는 시간이 많았으며 간간히 Walker를 이용하여 병동을 한 바퀴씩 돌아다니는 모습이 관찰되었으며 아직 정상 굵기와 크기의 변을 보지는 못했지만 딱딱하고 동글동글한 변에서 조금 무른 변을 보는 데에는 성공하였다고 하셨다.
5-①②③④ 간병인께서는 아침 식사를 마치고 20분 정도 후에 복부 마사지를 실시하고 있다고 하셨으며 그 결과 대상자가 약간 무른 변을 볼 수 있었다고 하셨다.
6-①② 대상자는 비코그린을 먹고 다음날 시원하게 변을 보았다고 하셨다.
6-③ 대상자에게서 비코그린의 복용으로 인한 부작용의 증상은 나타나지 않았다.
2-② 규칙적인 취침시간과 기상시간을 정하였다.
3-① 환자가 비약물적인 치료를 생활화하도록 도왔다.(운동,작업요법)
3-② 소량의 카페인이 함유된 음료를 제한하고 취침 전에 따뜻한 우유를 먹도록 하였다.
3-③ 선택된 치료방법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격려하였다.
4-① 조용하고 안정된 환경을 제공한다.(텔레비전 소리를 낯주고 기타 소음을 제거한다)
4-② 이완요법(명상용법)을 실시한다.
4-③ 불안과 관련된 문제를 표현하도록 격려 하였다.
4-④ 필요시 환자의 병실을 옮겨 드린다.(4인실에서 -1인실로)
1. 사정을 통해 수면양상을 알 수 있고 간호하는데 바탕이 된다.
2. 규칙적인 생활을 통해 수면시간을 줄일 수 있다.
3. 낮 동안 활동량을 증가시키므로 밤의 수면을 돕는다.
4. 불안을 제거 함으로써 숙면을 취할수 있다.
1~2. 낮 동안의 운동을 권장하여 무기력을 완화시켰고 낮잠을 제한하는 노력을 보였다.
3~4. 하루에 8시간 정도의 수면을 취하게 있게 되었다고 말씀 하였다.
#5. 섭취 및 활동 감소와 관련된 변비
사정
간호진단
목표
계획
수행
이론적
근거
평가
주관적 자료
객관적 자료
“변을 못 봐서 배가 벙벙하고 속이 갑갑해.”
내 배가 아파 죽겠다. 약 좀 도라.
간병인 :
도통 먹지도 안하고 움직이도 안 하는데 우예 변을 보겄노
- 대상자의 복부 청진시 장음이 감소되어 있음
- 5일째 대변을 보지 못하심
- 복부통증을 호소하심
- 복부팽만
- 식욕부진
- 굵고 딱딱한 변
- 활동저하
#5. 섭취 및 활동 감소와 관련된 변비
<단기목표>
대상자는 변비로 인한 불편감을 호소하지 않는다.
<장기목표>
대상자는 규칙적인 배변양상을 보인다.
1. 대상자의 현재 배변양상을 사정한다.
2. 섭취량과 배설량을 관찰한다.
3. 수분, 유제품 섬유질 섭취량을 늘린다.
4. 대상자의 활동단계를 증가시킨다.
5. 복부마사지 방법에 대해 교육한다.
6. 필요시 처방된 비코그린을 복용한다.
1. 배변습관과 횟수, 특성 등에 관해 구체적으로 표현하도록 대상자를 격려하였다.
2-① 섭취량과 배설량을 주의 깊게 사정하고 기록하였다.
3-① 수분과 유제품, 섬유질이 많이 포함된 음식의 섭취와 변비와의 관계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3-② 하루에 2000cc (6~8잔) 정도의 수분을 섭취할 것을 권장하였다.
3-③ 우유, 요구르트 등의 유제품 섭취를 권장하였다.
3-④ 커피나 탄산음료와 같은 카페인이 함유된 음료는 오히려 탈수 작용을 일으켜 변비를 악화시킴을 설명하였다.
3
-⑤ 당근, 사과, 미역 등 섬유질이 많이 포함된 음식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섭취할 것을 격려하였다.
4-① 침대에 누워있기 보다는 가능한 앉아 있는 시간을 늘릴 것을 교육하였다.
4-② 규칙적으로 Walker를 이용하여 병동을 한 바퀴씩 돌도록 격려하였다.
4-③ 점차적으로 활동을 증진시킬 것을 설명하였다.
5-① 간병인에게 복부 마사지 방법에 대해 설명하고 대상자에게 실시할 수 있도록 격려하였다.
5-② 마사지를 하기 전 양쪽 손바닥을 비벼서 열을 낼 것을 설명하였다.
5-③ 오른손으로 왼쪽 손목을 잡고 왼쪽손바닥을 펴서 대상자의 배꼽 주변을 오른쪽으로 큰 원을 그리며 횡행결장과 하행결장을 부드럽게 마사지한 후 반대방향으로도 반복할 것을 교육하였다.
5-④ 아침식사를 마치고 20분 정도 후에 마사지를 실시함이 효과적임을 설명하였다.
6-① 비코그린의 작용에 관해 설명하였다.
6-② 잠들기 전에 비코그린 2정을 복용할 것을 지시하였다.
6-③ 부작용의 발현 여부에 대해 주의 깊게 관찰하였다.
1-① 배변습관을 유지하지 않는 것, 변의를 무시하거나 배변시간을 충분히 갖지 않는 것은 변비의 원인이 된다.
2-① 정확한 섭취량과 배설량을 알기 위함이며 섭취량과 배설량을 측정함으로써 수분전해질 불균형의 정도에 대해 알 수 있다.
3-① 수분과 섬유질이 많이 포함된 음식 섭취의 중요성을 알도록 하기 위함이다.
3-①②③ 충분한 수분섭취와 유제품의 섭취는 변비를 완화시킨다.
3-④ 커피나 탄산음료와 같은 카페인이 함유된 음료는 탈수 작용을 일으켜 변비를 악화시킬 수 있다.
3-⑤ 섬유질이 많이 함유된 음식에는 당근, 사과, 미역, 다시마, 고구마, 토마토 등이 있다.
4-①②③ 규칙적인 운동은 변비를 완화시키는데 도움이 되며 활동은 점차적으로 증가시켜야 무리가 가지 않는다.
5-①②③④ 복부마사지를 함으로써 장의 활동을 촉진시킬 수 있다.
5-③ 횡행결장과 하행결장을 마사지하는 것은 배변을 자극시킨다.
6-① 비코그린은 변비 및 변비로 인한 식욕부진, 복부팽만, 장내 가스, 치질 등의 증상을 완화시킨다.
6-② 잠들기 전 하제를 투여하여 다음날 아침에 배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6-③ 비코그린을 투여함으로써 심한 복통, 설사, 구토 등의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다.
1-① 대상자의 비효율적인 배변양상에 대해 알 수 있었다.
2-① 섭취량과 배설량의 불균형을 관찰할 수 있었다.
3-①②③④⑤ 대상자는 조금 무른 변을 보는 데에는 성공하였다고 하셨으며 속이 갑갑함과 복부 통증도 완화되었다고 하셨다.
3-① 대상자는 설명한 것을 이해하였다는 것을 말로써 표현하였다.
3-②③④ 물은 많이 마시려고 노력은 하는데 잘 되지 않는다고 하셨으며 콩이 함유된 우유가 입맛에 맞아 자주 마시고 있다고 말씀하셨다.
3-⑤ 병원 식단에 섬유질이 함유된 음식이 많이 포함되어 있어 많은 양을 섭취할 수 있었다고 하셨다.
4-①②③ 대상자는 여전히 침대에 누워 보내는 시간이 많았으며 간간히 Walker를 이용하여 병동을 한 바퀴씩 돌아다니는 모습이 관찰되었으며 아직 정상 굵기와 크기의 변을 보지는 못했지만 딱딱하고 동글동글한 변에서 조금 무른 변을 보는 데에는 성공하였다고 하셨다.
5-①②③④ 간병인께서는 아침 식사를 마치고 20분 정도 후에 복부 마사지를 실시하고 있다고 하셨으며 그 결과 대상자가 약간 무른 변을 볼 수 있었다고 하셨다.
6-①② 대상자는 비코그린을 먹고 다음날 시원하게 변을 보았다고 하셨다.
6-③ 대상자에게서 비코그린의 복용으로 인한 부작용의 증상은 나타나지 않았다.
키워드
추천자료
가족간호과정 case study
[Case Study, 케이스] 정신병원-SPR(Schizophrenia, 정신분열병) 간호과정
신경외과 실습 case study 간호과정 포함
통증 간호과정 적용(정형외과 수술 후 통증 간호과정 , 실습 case study)
자궁근종(myoma) 간호과정 적용 사례 보고서(Case Study)
[여성간호학][임산부 간호진단][임산부 간호과정][임산부 간호] 케이스 스터디(Case Study)
[성인간호학][LC][간경화][liver cirrhosis] 케이스 스터디(Case Study), 간호진단,간호과정
[성인간호학][DM][당뇨] 케이스 스터디(Case Study),간호과정, 간호진단
지역사회간호학 case study, 보건소 컨퍼런스, 가족간호과정
양성전립선비대증(BPH) 케이스 스터디 case study - 문헌고찰, 통증, 지식부족, 수면장애 간...
중이염case study [아동간호학 실습 중이염 컨퍼런스 과거력~간호과정까지 완벽]
대장암 case study [ 대장암 컨퍼런스 - 문헌고찰 진단 약물 간호과정까지 완벽 자료 !! ]
case study 태변흡인 증후군(MAS) 간호진단, 간호과정 ,병태생리, NICU
Acute endocarditis 급성 심내막염 케이스 스터디 A+ (심내막염 케이스, 급성 심내막염 케이...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