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경외과 실습 case study 간호과정 포함
본 자료는 7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해당 자료는 7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7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신경외과 실습 case study 간호과정 포함 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부딪쳐 병원에 입원함 (3월 4일)
- 대상자는 뇌내출혈을 진단 받음 (3월 4일)
→ 대상자의 CT 촬영 결과 왼쪽 측두엽 부분에 출혈되어 있음 (3월 11일)
- 대상자는 통증 지표를 통해서 통증 정도가 0에서 10 중 8로 답하였다. (3월 5일)
활력 징후
혈 압
맥 박
2/24 (오후 10시 50분)
148/83 mmHg
86회/분
- 입원 당시 혈압과 맥박 (3월 11일)
¤ 간호 진단 : 뇌 내 출혈과 관련된 급성 두통 (3월 17일)
¤ 간호 목표 (3월 17일)
- 장기 목표 : 2008년 3월 24일까지 대상자의 두통이 감소한다.
- 기대되는 결과 : 2008년 3월 20일까지 대상자는 뇌 내 출혈량이 감소한다.
2008년 3월 20일까지 두통의 통증 정도가 8에서 1로 감소한다.
¤ 간호 계획 (3월 17일)
1) 대상자의 두통으로 인한 통증 정도를 사정한다,
- 통증 정도를 10cm 자를 이용하여 0은 통증이 없는 상태, 10은 통증이 심한 상태라는 것을 설명하고, 매일 통증의 정도를 사정한다.
2) 통증이 심할 경우 진통제를 투여할 수 있음을 대상자와 보호자에게 알려준다.
3) 지속적인 CT 검사로 뇌내의 혈액량의 변화를 모니터한다.
4) 6시간 마다 활력 징후를 측정하고, 활력 징후가 정상 범위에 벗어났는지 모니터한다.
5) 안정을 취하도록 한다.
6) 두통 악화, 목 뒤의 뻣뻣함, 어지러움, 혈변 등 뇌 내 출혈로 인한 뇌압상승의 증상이 나타날 경우 바로 의료진에게 알리도록 교육한다.
7) 뇌압을 상승 시키는 세게 코풀기, 변비, 심한 기침 등의 행동을 삼가도록 교육한다.
진단 2. 감염 위험성 (Risk for infection)
¤ SD
- “다리가 아파, 관이 있어서 불편하고,,” (3월 5일)
- “머리 수술한 데가 아파” (3월 4일)
¤ OD
- 대상자는 2월 25일 Lt. leg traction 시술함 (3월 4일)
- 2월 24일 교통사고로 인한 머리의 외상으로 3월 7일 골편제거수술을 함 (3월 11일)
- 대상자는 감염을 예방하는 Isepacin을 2월 24일부터 매일 주사를 맞고 있음 (3월 12일)
- 혈액검사에서 Lymphocyte가 감소함. Lymphocyte는 혈액 내에 존재하며 면 역을 담당하는 세포로, 이 수치가 떨어지면 면역력이 약화됨을 의미함. 대상자의 경우 외상으로 인해 면역력이 감소한 것임 (3월 17일)
검사 항목
참 고 범 위
3/17
Lymphocyte
25 ~ 40 %
16.6 ▼
¤ 간호 진단 : 치료적 시술과 외상으로 인한 피부 손상과 관련된 감염 위험성: 다리, 머리 (3월 17일)
¤ 간호 목표 (3월 17일)
- 장기 목표 : 대상자는 2008년 3월 24일까지 감염증상이 나타나지 않는다.
- 기대되는 결과 : 대상자는 2008년 3월 20일까지 머리와 다리의 외상부위가 완화된다.
¤ 간호 계획 (3월 17일)
1) 대상자에게 머리와 다리의 외상부분의 상처 드레싱을 하루 한 번씩 무균적으로 수행한 다.
2) 대상자와 보호자에게 감염 시 나타나는 증상과, 증상이 나타날 때 즉시 의료진에게 알리 도록 교육한다.
- 보호자에게 대상자가 열이 나고, 호흡이 가쁜 것을 호소할 때 의료진에게 알리도록 한다.
3) 대상자의 혈압과 체온, 맥박, 호흡을 4시간 간격으로 측정한다.
∵ 체온 상승, 맥박과 호흡 상승은 감염을 나타내는 간접적인 진단 방법을 주기적으로 측정하여 감염 여부를 지속적으로 관찰한다.
4) 대상자의 혈액학적 변화를 지속적으로 모니터한다.
진단 3. 보호자 역할 부담 위험성 (Risk for Caregiver role strain)
¤ SD
- 보호자는 “빨리 퇴원해야지 여기는 자는 곳이 불편하니깐 힘들어 죽겠어” (3월 11일)
“얘가 화장실을 못가니까 소변을 처리하는게 힘들어 .” (3월 12일)
“무릎이 아파서 죽겠어.” (3월 12일)
“간호하다가 내가 병나게 생겼어” 라고 말하면서 얼굴에 힘든 모습을 보였다. (3월 12일)
- 대상자는 “오래 입원 하고 있는데 어머니가 혼자서 계속 간호하고 계서서 걱정이야.”
(3월 12일)
¤ OD
- 보호자 이외에 대상자를 간병할 수 있는 가족이 없다. (3월 12일)
- 형이 와서 잠깐 간병을 하지만, 병원 입원 이후 계속 보호자가 간병을 해왔다.
(3월 17일)
- 대상자를 간병하기 위해 23일 째 병원에서 생활하고 있다. (3월 17일)
¤ 간호 진단 : 오랜 기간의 대상자 간병으로 인한 보호자 건강 문제 악화와 관련된 보호자 역할 부담 위험성 (3월 17일)
¤ 간호 목표 (3월 17일)
- 장기 목표 : 보호자는 대상자의 간호 역할에 대해서 긍정적으로 표현한다.
- 기대되는 결과 : 2008년 3월 25일까지 보호자는 병원에서 관절염 통증 감소를 위해 관 절염 통증 완화 요법을 수행한다.
¤ 간호 계획 (3월 17일)
1) 보호자에게 병원 생활하는 데 힘들게 하는 신체적 질병이 무엇이 있는지 사정한다.
2) 보호자에게 통증이 있을 경우 평소에는 어떤 방법으로 대처했는지 사정한다.
3) 보호자에게 통증의 정도를 사정하기 위해 통증 척도를 이용한다.
4) 통증을 악화시키는 요인과 완화시키는 요인을 사정한다.
5) 불편한 잠자리로 인한 통증 악화를 해결하기 위해 담요를 제공하고, 무릎 부분에 받칠 수 있는 물건을 대도록 한다.
6) 보호자에게 무릎 부분을 굽혔다 폈다 운동을 하루에 10회씩 3번 반복하도록 교육한다.
Ⅲ. 결론
이번 뇌내출혈 대상자의 사정하고 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의 간호 중재를 하면서 신경계 대상자의 경우에는 약간의 출혈이 생명의 지장이 있을 만큼 크게 작용한다는 사실을 깨달았다. 이번 실습을 통해서 환자뿐만 아니라 보호자에게도 섬세한 배려가 필요한 것이 간호사임을 배우게 되었다.
Reference
성인간호학 개정판(2007). Joyce M. Black 외. 서울 : 정담 미디어
성인간호학 제2판(2002). 김조자 외. 서울 : 현문사
신경과학(2005). 이광우 외. 서울 : 법문사
진단검사의 활용 (2006). 김순호 외. 서울 : 서울 의학사
대한 뇌졸중 학회 공식 홈페이지

키워드

신경외과,   실습,   case,   간호,   진단,   통증,   감염,   보호자
  • 가격3,000
  • 페이지수21페이지
  • 등록일2009.09.07
  • 저작시기2008.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5158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