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문헌고찰 • • • • • 1p
◈ 뼈와 골격조직 • • • • 1p~2p
◈ Impingement Syndrome • • • • 2p~6p
◈ Hallux Valgus • • • • 6p~8p
◈ 수술명과 간호내용 • • • • 9p~11p
Ⅱ.간호력 • • • • • 12p~15P
Ⅲ.LAB DATA • • • • • 16P
Ⅳ.MEDICATION • • • • • 17p~18P
Ⅴ.간호과정 • • • • • 19P~23p
Ⅵ.참고문헌
◈ 뼈와 골격조직 • • • • 1p~2p
◈ Impingement Syndrome • • • • 2p~6p
◈ Hallux Valgus • • • • 6p~8p
◈ 수술명과 간호내용 • • • • 9p~11p
Ⅱ.간호력 • • • • • 12p~15P
Ⅲ.LAB DATA • • • • • 16P
Ⅳ.MEDICATION • • • • • 17p~18P
Ⅴ.간호과정 • • • • • 19P~23p
Ⅵ.참고문헌
본문내용
V/S 확인한다.
▶V/S은 신체변화를 알 수 있는 가장 기본적인 지표가 된다.
② 감염의 증상이 있는지 사정한다.
▶발열이나 발적 등으로 감염이 되었는지를 알 수 있다.
③ Dressing 하는 법을 배우고 Dressing이 멸균적으로 잘 이루어지는지를 확인한다.
▶Dressing이 얼마나 멸균적으로 이루어졌느냐에 따라서 감염의 위험성 확륙도 달라진 다.
④ 빠른 쾌유를 돕기 위해 발 뒤꿈치를 뒤로 잡아당기는 근육운동을 실시한다.
▶근육의 상태가 좋아야 감염의 위험성 확률이 낮아진다.
5. 중재
① 4시간마다 V/S 확인했다.
(자주 vital 체크하러 왔는데 귀찮아 하시지 않고 잘 협조해 주셨다.)
08:00AM 20-130/80-76-36.1
12:00AM 20-120/70-68-36.6
16:00PM 20-130/90-76-36.2
② 감염의 증상이 있는지 확인했다.
- 수술당일 3월 8일부터 3월 15까지 감염의 증상이 있는지 하루에 두 번씩(아침, 저녁) 가서 관찰하였다. 왼쪽 발목부터 시작해서 발가락을 제외한 발 전체가 붕대로 감겨져 있다. 그렇기 때문에 발가락을 보고 발적, 발열이 있는지를 확인을 하고 피부도 어떤 지와 혈액 순환이 잘 되는지에 대해 사정했다. 발이 저린다는지, 감각이 없다든지, 간 지럽다든지 에 대해 꼼꼼히 대답해 주셨다. (“발은 수술당일과 그 후 이틀까지는 감 각이 없었는데 지금은 매우 좋고요. 저린다거나 그런 증상은 없어요. 그런데 현재 발 이 매우 가려워요. ”
③ 의사선생님께서 드레싱 하실 때 가서 상처부위를 확인하고 드레싱을 하는 법도 보았다. 환자는 상처부위를 보기 징그럽다며 보지 않았다. 드레싱은 멸균적으로 잘 이루어졌다.
④ 하루에 두 번씩 가서 발 뒤꿈치를 종아리 쪽으로 올려주는 운동을 4-5번 해주고 환자에 게도 자주 하면 빨리 쾌유되는 것에 영향을 준다고 설명을 하고 자주 하도록 권장했다.
(환자보고 한 번 해보라고 했더니 잘 따라하셨다. 그러나 들어올리는 힘이 좀 약하다. 자주 하라고 권장했다. )
6. 목표
- 3월 15일까지 감염의 증상 하나도 나오지 않았고 쾌유는 잘 되고 있다.
#3. 통증 또는 움직임에 대한 두려움과 관련된 운동장애
1. 사정
▶주관적 자료
- “다리가 한쪽 수술하니까 운동이 어려워”
- “어디 가려고 해도 화장실 말고는 혼자 어려워”
- “다리 붕대를 너무 두껍게 감았나 무거워서 화장실에서도 혼자 변기에 앉았다가도 다리 가 아프고..”
- “목발을 이용하는데도 화장실 말고는 아직 어려워, 혼자 갔다가 다치기라도 하면. 어휴 큰일나.”
▶객관적 자료
- 07.03.08 수술로 인해 통증이 옴.
- 07.03.08 침대에 계속 누워서 안정을 취함
- 07.03.10 목발을 제공함
- 07.03.11 목발 짚고 화장실에 다닐 정도는 됨
2. 간호진단
- 통증 또는 움직임에 대한 두려움과 관련된 운동장애
3. 목표
①단기 목표 : 07.03.13일까지 운동에 대한 두려움을 해소함.
②장기 목표 : 07.03.15일까지 혼자 목발을 짚고 30m 걷도록 함.
4. 계획 (이론적 근거)
① V/S을 6시간마다 측정한다.
▶V/S은 신체변화를 알 수 있는 가장 기본적인 지표가 된다.
② 목발의 사용법, 목발 보행의 종류를 설명하고 시행해보도록 한다.
▶환자가 이해를 하고 목발을 이용해 운동을 꾸준히 하도록 할 수 있다.
③ 운동 시 위험성에 관련된 내용은 다 설명 드리고 낙상예방을 위한 내용도 설명 드린다.
▶환자가 스스로 낙상으로부터의 위험에서 벗어날 수 있다.
5. 간호중재
① V/S을 6시간마다 측정했다.
(V/S 측정 때문에 신경 쓰인다고 하시다가 나중에는 협조적으로 임해주셨다)
08:00AM 20-120/80-72-36.1
14:00pM 20-120/70-68-36.7
20:00PM 20-120/90-76-36.5
② 목발의 사용법, 목발 보행의 종류를 설명하고 시행해 보도록 했다.
(환자에게 목발 보행의 종류 보여드리고 설명드리니 잘 이해하시고 잘 따라하셨다.)
③ 운동 시 위험성에 관련된 내용은 다 설명 드리고 낙상예방을 위한 내용도 설명 드린다.
(03.13일 낙상하지 않을 정도라고 말씀하셨어도 낙상예방 교육에 대해 설명 드리고, 환 자는 잘 이해 하심)
6. 평가
- 07.03.13 : 운동에 대한 두려움은 사라지고 목발 짚고 화장실 잘 다니신다.
- 07.03.15 : 목발 짚고 걸으시라고 하셨더니, Swing-through 보행법으로 병실(6호실)에 서 간호센터 있는 곳까지 나오셨다.
참 고 문 헌
☞ http://family119.com.ne.kr/mbone.html
☞ http://blog.naver.com/minyoung
☞ http://www.moonhwa.or.kr/05_healthinfo/healthinfo03.php?pmode=read&uid
☞ http://blog.naver.com/tkfkd2003?Redirect=Log&logNo
☞ http://blog.naver.com/wekky?Redirect=Log&logNo=20028023579
☞ http://blog.naver.com/mytermyr?Redirect=Log&logNo=80017378290
☞ http://cafe.naver.com/o2kjh.cafe?iframe_url=/ArticleRead.nhn%3Farticleid=1523
☞ 인체 구조와 기능 Ⅰ - 110p~111p
-(계축문화사/최명애 외/2003년 3월 20일 발행)
☞ 성인간호학 Medical-Surgical Nursing Ⅰ - 655p,697p
-(정담미디어/김분한 외/2004년 11월 30일)
☞ 진단적 검사와 간호 - 646p~662p
-(현문사/송미순 외/2002년 4월 25일 발행)
☞ 의약품집 - (서울대학교/정운찬/2002년 9월 15일 발행)
- 단국대학교 전용 약품집
☞ 포켓 간호진단 가이드 - 177p, 180p 등
-(현문사/고성희 외/2002년 8월 20일 발행)
☞ 간호진단과 중재 - 355p~362p, 505p~514p
-(서울대학교/이은옥 외/1992년 8월 20일 발행)
▶V/S은 신체변화를 알 수 있는 가장 기본적인 지표가 된다.
② 감염의 증상이 있는지 사정한다.
▶발열이나 발적 등으로 감염이 되었는지를 알 수 있다.
③ Dressing 하는 법을 배우고 Dressing이 멸균적으로 잘 이루어지는지를 확인한다.
▶Dressing이 얼마나 멸균적으로 이루어졌느냐에 따라서 감염의 위험성 확륙도 달라진 다.
④ 빠른 쾌유를 돕기 위해 발 뒤꿈치를 뒤로 잡아당기는 근육운동을 실시한다.
▶근육의 상태가 좋아야 감염의 위험성 확률이 낮아진다.
5. 중재
① 4시간마다 V/S 확인했다.
(자주 vital 체크하러 왔는데 귀찮아 하시지 않고 잘 협조해 주셨다.)
08:00AM 20-130/80-76-36.1
12:00AM 20-120/70-68-36.6
16:00PM 20-130/90-76-36.2
② 감염의 증상이 있는지 확인했다.
- 수술당일 3월 8일부터 3월 15까지 감염의 증상이 있는지 하루에 두 번씩(아침, 저녁) 가서 관찰하였다. 왼쪽 발목부터 시작해서 발가락을 제외한 발 전체가 붕대로 감겨져 있다. 그렇기 때문에 발가락을 보고 발적, 발열이 있는지를 확인을 하고 피부도 어떤 지와 혈액 순환이 잘 되는지에 대해 사정했다. 발이 저린다는지, 감각이 없다든지, 간 지럽다든지 에 대해 꼼꼼히 대답해 주셨다. (“발은 수술당일과 그 후 이틀까지는 감 각이 없었는데 지금은 매우 좋고요. 저린다거나 그런 증상은 없어요. 그런데 현재 발 이 매우 가려워요. ”
③ 의사선생님께서 드레싱 하실 때 가서 상처부위를 확인하고 드레싱을 하는 법도 보았다. 환자는 상처부위를 보기 징그럽다며 보지 않았다. 드레싱은 멸균적으로 잘 이루어졌다.
④ 하루에 두 번씩 가서 발 뒤꿈치를 종아리 쪽으로 올려주는 운동을 4-5번 해주고 환자에 게도 자주 하면 빨리 쾌유되는 것에 영향을 준다고 설명을 하고 자주 하도록 권장했다.
(환자보고 한 번 해보라고 했더니 잘 따라하셨다. 그러나 들어올리는 힘이 좀 약하다. 자주 하라고 권장했다. )
6. 목표
- 3월 15일까지 감염의 증상 하나도 나오지 않았고 쾌유는 잘 되고 있다.
#3. 통증 또는 움직임에 대한 두려움과 관련된 운동장애
1. 사정
▶주관적 자료
- “다리가 한쪽 수술하니까 운동이 어려워”
- “어디 가려고 해도 화장실 말고는 혼자 어려워”
- “다리 붕대를 너무 두껍게 감았나 무거워서 화장실에서도 혼자 변기에 앉았다가도 다리 가 아프고..”
- “목발을 이용하는데도 화장실 말고는 아직 어려워, 혼자 갔다가 다치기라도 하면. 어휴 큰일나.”
▶객관적 자료
- 07.03.08 수술로 인해 통증이 옴.
- 07.03.08 침대에 계속 누워서 안정을 취함
- 07.03.10 목발을 제공함
- 07.03.11 목발 짚고 화장실에 다닐 정도는 됨
2. 간호진단
- 통증 또는 움직임에 대한 두려움과 관련된 운동장애
3. 목표
①단기 목표 : 07.03.13일까지 운동에 대한 두려움을 해소함.
②장기 목표 : 07.03.15일까지 혼자 목발을 짚고 30m 걷도록 함.
4. 계획 (이론적 근거)
① V/S을 6시간마다 측정한다.
▶V/S은 신체변화를 알 수 있는 가장 기본적인 지표가 된다.
② 목발의 사용법, 목발 보행의 종류를 설명하고 시행해보도록 한다.
▶환자가 이해를 하고 목발을 이용해 운동을 꾸준히 하도록 할 수 있다.
③ 운동 시 위험성에 관련된 내용은 다 설명 드리고 낙상예방을 위한 내용도 설명 드린다.
▶환자가 스스로 낙상으로부터의 위험에서 벗어날 수 있다.
5. 간호중재
① V/S을 6시간마다 측정했다.
(V/S 측정 때문에 신경 쓰인다고 하시다가 나중에는 협조적으로 임해주셨다)
08:00AM 20-120/80-72-36.1
14:00pM 20-120/70-68-36.7
20:00PM 20-120/90-76-36.5
② 목발의 사용법, 목발 보행의 종류를 설명하고 시행해 보도록 했다.
(환자에게 목발 보행의 종류 보여드리고 설명드리니 잘 이해하시고 잘 따라하셨다.)
③ 운동 시 위험성에 관련된 내용은 다 설명 드리고 낙상예방을 위한 내용도 설명 드린다.
(03.13일 낙상하지 않을 정도라고 말씀하셨어도 낙상예방 교육에 대해 설명 드리고, 환 자는 잘 이해 하심)
6. 평가
- 07.03.13 : 운동에 대한 두려움은 사라지고 목발 짚고 화장실 잘 다니신다.
- 07.03.15 : 목발 짚고 걸으시라고 하셨더니, Swing-through 보행법으로 병실(6호실)에 서 간호센터 있는 곳까지 나오셨다.
참 고 문 헌
☞ http://family119.com.ne.kr/mbone.html
☞ http://blog.naver.com/minyoung
☞ http://www.moonhwa.or.kr/05_healthinfo/healthinfo03.php?pmode=read&uid
☞ http://blog.naver.com/tkfkd2003?Redirect=Log&logNo
☞ http://blog.naver.com/wekky?Redirect=Log&logNo=20028023579
☞ http://blog.naver.com/mytermyr?Redirect=Log&logNo=80017378290
☞ http://cafe.naver.com/o2kjh.cafe?iframe_url=/ArticleRead.nhn%3Farticleid=1523
☞ 인체 구조와 기능 Ⅰ - 110p~111p
-(계축문화사/최명애 외/2003년 3월 20일 발행)
☞ 성인간호학 Medical-Surgical Nursing Ⅰ - 655p,697p
-(정담미디어/김분한 외/2004년 11월 30일)
☞ 진단적 검사와 간호 - 646p~662p
-(현문사/송미순 외/2002년 4월 25일 발행)
☞ 의약품집 - (서울대학교/정운찬/2002년 9월 15일 발행)
- 단국대학교 전용 약품집
☞ 포켓 간호진단 가이드 - 177p, 180p 등
-(현문사/고성희 외/2002년 8월 20일 발행)
☞ 간호진단과 중재 - 355p~362p, 505p~514p
-(서울대학교/이은옥 외/1992년 8월 20일 발행)
키워드
추천자료
산부인과 자연질식 분만 case study(실습보고서)
아동 간호학 실습 (소아당뇨 case study)
소화기 내과 실습 담관암 case study
NICU 신생아 중환자실 실습 황달 case study
성인간호학 실습 케이스(case study)- 폐암 (lung cancer)
성인간호학 실습 - 'laryngeal Ca 에대한 Case study'
[성인간호내과실습] 급성림프성백혈병 AML case study
자궁경부암 케이스 스터디 case study [모성간호-산부인과 실습]
지역사회 간호학 실습 - 보건소 가족간호 case study 컨퍼런스
지역사회 간호학 실습 - 보건소 가족간호 case study 컨퍼런스 만점 자료!!
성인간호학실습 심부전 heart failure case study
대장암 CASE STUDY, 성인간호 실습 A+성적 받은 자료입니다! 문헌고찰有 간호과정有
아동간호학 임상실습 폐렴 케이스폐렴 간호과정Pneumonia case study A+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