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인 내과케이스] 백혈병 (leukemia) 케이스 스터디
본 자료는 9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해당 자료는 9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9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성인 내과케이스] 백혈병 (leukemia) 케이스 스터디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I. 서 론
 1. 연구의 필요성

II. 이론적 배경
 1.급성 골수성 백혈병(Acute myeloblastic leukemia)
  (1) 발병원인
  (2) 증상
  (3) 진단
  (4) 병기
  (5)치료
   1.화학요법
    1) 관해(Remission)도입요법
    2) 관해후요법
   2. 방사선요법
   3. 골수이식요법(조혈간세포이식요법) :가능한 빨리 BMT 실시하기.
   4. 지지요법
  (6)병기별치료법
  (7)치료의 합병증, 부작용, 대책.
  (8)예후
 2. 이식편대숙주질환(Graft-versus-host-disease, GVHD)
  1) 급성이식편대 숙주질환
   ★ aGVHD가 오는 원리
   ★임상증상
    (1)피부
    (2)간
    (3)위장관
   ★aGVHD risk factor
   ★aGVHD의 중증도
    정도
    피부(발진)
    간(빌리루빈)
    소화(설사)
  2)만성이식편대숙주질환
   ★cGVHD가 오는 원리
   ★cGVHD 임상양상
    (1)증상
    (2)병기
   ★cGVHD진단

III.본 론
 1. 대상자사정
  1) 인적사항
  2) 일상생활
  3) 주호소(Chief Complaint)
  4) PI, 입원치료/경과요약
 2. 대상자 관찰
 3. 간호기간 중 환자 상태
 4. Pathological Findings an Diagnosis
  1) 임상병리검사자료
 5. 진단검사

IV. 투 약
 상품명(코드)
 문제 목록
 6. 간호진단
  #1. 기침과 관련된 안위변화
  #2. 질병(GVHD)과 관련된 양안(eye ball)통증
  #3. 질병(GVHD)과 관련된 , 말초정맥 주입과 관련된 감염 위험성
  #4. Oral GVHD와 관련된 영양부족 가능성
  #5. 안전간호: 낙상예방

IV. 결 론

참 고 문 헌

본문내용

0MGSP
(Magnesium sulfate inj.)를 투여한다.
많은 효소계의 활성화제로 산화성 phosphorylation, 체온조절, 근육수축, 신경흥분성 유리에 보조인자로 작용한다..
저마그네슘혈증의 치료 및 TPN 투여시 Mg 결핍예방에 사용한다.
10MGSP 투여에 대해 설명한 후
(32mEq/2A #1)
투여함.
10MGSP 투여에 대해 이해하심.
환자의 I/0를
정확히 체크한다.
I/0를 확인함으로써 현재 환자의 영양 상태에 대하여 확인할 수 있다.
06:00AM~02:00PM
02:00PM~08:00PM
08:00PM~06:00AM의 I/O를 체크한 후 현재 영양 상태에 대하여 확인함.
환자는 I/O 체크에 대하여 이해하고 자신의 섭취량과 영양정보에 대하여 이야기 함.
환자의 체중을 체크한다.
환자의 체중을 매일 측정함으로서 체중변화에 따른 영양 상태에 대하여 확인할 수 있다.
환자에게 체중 측정의 필요성에 대하여 설명한 후
환자의 체중을 매일 같은 시간에 측정함.
11/2-48.4kg ,11/3-47.7kg
11/4-47.1kg, 11/5-47.7kg
11/6-47.7kg, 11/7-48.2kg
11/8-47.8kg, 11/9-47.9kg
11/10-47.5kg 11/11-47kg 11/12-46.8kg 11/13-47.2kg
11/14-47.3kg 로
약간의 체중감소가 있으나 큰 체중변화를 보이지 않음.
환자는 체중 측정의 필요성에 대하여 이해하고 매일 같은 시간에 체중을 측정하겠다고 말함.
고열량, 고단백, 수분섭취, 소화가 쉬운 식이를 격려한다.
고열량, 고단백, 소화가 쉬운 식이를 격려함으로써 부족한 영양을 보충할 수 있도록 한다.
식사 시 환자에게 찾아가 영양을 골고루 섭취 할 것을 교육하고 구강상태 이상으로 죽 이외에 다른 음식을 섭취하지 못하는 것에 대해 이해해 드린 후 두유, 우유, 과일, 죽 등 다른 영양을 섭취하여 보충할 것을 권유함.
환자는 식사 시 먹을 수 있는 정해진 양의 죽을 다 먹겠다고 하였고 죽 외에 두유, 우유, 귤 등을 먹어 부족한 영양을 보충하였다고 말함.
#5. 안전간호: 낙상예방
-장기목표: 환자는 낙상가능성에 대하여 이해하고 안전사고가 없다.
-단기목표: 환자는 침상 안정 시 side rail을 올린다.
<관련자료>
Subjective data: “침상 난간을 꼭 올려야 하나요? 난 불편해서 내리고 있을께요.”
Objective data: 65세 된 여자 환자로 전신 쇠약감 보임.
낙상 가능성 있음.
간호계획
이론적 근거
간호수행
평가
안전간호(낙상 예방) 설명 후 시행한다.
안전간호(낙상예방)에 대하여 교육함으로써 잠재적인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안전간호(낙상예방) 내용을 교육하고 시행함
(항상 side rail을 올려준다, 침상 주변 부속 기구를 정리한다, 바닥이 미끄럽지 않은 신발을 신도록 한다, 이동식 폴대를 사용하는 경우 수액줄이나 폴대의 바퀴에 걸려 넘어지지 않도록 주의한다 등)
환자는 낙상예방 내용에 대하여 이해한다고 하였고 항상 side rail을 올리고 이동시 주의하겠다고 말함.
Call Bell 사용법을 교육함.
Call Bell 사용법을 교육함으로써 위험 시 즉각적으로 처치를 받을 수 있다.
환자에게 낙상이나 위험한 상황시 Call Bell을 사용하도록 교육함.
환자는 이해하였다고 표현함.
IV. 결 론
급성 골수성 백혈병은 비림프구 계통의 백혈구전구세포의 암성 증식에 의한 것으로 골수내의 평형이 깨지며 정상혈구가 감소되고 백혈병세포가 장기에 침윤함으로 인해 장기손상을 가져와 치료 받지 않는 경우 수주 ~수개월내에 사망하는 질환이다. 증상은 피로해지기 쉽고 가슴 두근거림, 헐떡임 등 빈혈증세 외에도 열이 나고 잠잘 때 땀을 흘리는 증세 등이 생기고, 치은출혈, 비출혈, 피하출혈 등을 일으키기 쉬운 출혈경향을 보이는 경우도 많으며, 특히 전골 수구성 백혈병은 출혈이 일어나기 쉽다.
정상 백혈구감소에 의한 증상은 잘 낫지 않는 감염증(구내염, 폐염, 요로감염), 원인불명의 발열이 나타나고 적혈구감소(빈혈)에 의한 증상은 안면창백, 호흡곤란, 동계, 전신권태감 등이 나타난다. 급성 골수성 백혈병의 일차적인 치료는 화학요법이다. 방사선요법은 적당한 조건을 갖춘 경우에 사용될 수 있으며 또한 골수이식과 생물학적인 방법이다.
본 환자는 Acute myeloid leukemia(M2)으로 합병증인 Oropharyngeal candidiasis, Bronchiolitis로 일상생활을 하는데 큰 불편감을 겪고 있었다. 본 환자는 기침과 관련된 안위변화, 질병과 관련된/ 말초정맥 주입과 관련된 감염 위험성, 안전간호: 낙상예방, Oral GvHD와 관련된 영양부족 가능성이라는 문제를 가지고 있었다. 이 중 환자에게 있어서 가장 큰 문제는 기침으로 관련된 안위변화와 질병과 관련된/ 말초정맥 주입과 관련된 감염 위험성이었다. 본 환자는 기침으로 인해 수면과 일상 활동에 있어서 안위변화를 느꼈고 이에 적절한 사정과 처치가 필요했다. 따라서 본 간호 학생은 환자에게 보다 편안함과 안정을 제공해 주기 위해여 필요한 투약, 처치와 더불어 정서적인 지지를 제공하였다.
참 고 문 헌
1. 전명희(1998). 중조식염수와 클로로헥시딘 가글링이 급성백혈병 환자의 구강감염 예방에 미치는 효과에 관한 연구. 성인간호학회 (The Korean Academic Society of Adult Nursing).
2. 김조자, 김용순, 박지원, 유지수, 임영신, 전춘영(1993). 간호진단과 간호계획. 대한간호 협회.
3. 최정신(1997). 간호진단과 이론적 근거. 현문사.
4.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2006). 백혈병 (성인 급성 골수성 백혈병). 대구대학 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5. 이규형 이제환 이정신 서철원 김상위 김성배 김정균 김신 김우건 김상희(1997). 동종골 수이식 후의 이식편대숙주 질환의 빈도와 임상양상. 대한조혈모세포이식학회지.
6. 김혜숙 김현주 이재순 김현희 강소영 이미정 변준혜 양태영 오수미 정유헌 최영옥 이은 정(1999). 백혈병 환자의 간호사례 연구. 임상간호연구지.
  • 가격2,400
  • 페이지수28페이지
  • 등록일2013.11.09
  • 저작시기2013.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9200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